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1과 티아지드 상승효과에 의한 항이뇨호르몬과다분비증후군 1예

        하태경,권성준,Ha, Tae-Kyung,Kwon, Sung-Joon 대한위암학회 2006 대한위암학회지 Vol.6 No.3

        Hyponatremia is a dangerous electrolyte disturbance in patients on chemotherapy and may cause sudden death if not detected early. SIADH (syndrome of inappropriate antidiuretic hormone) is one of the known causes of hyponatremia in patients undergoing chemotherapy. Few chemotherapeutic agents, however, are reported to cause SIADH. The current study reports that SIADH developed in a 55 year old woman on S-1 ($80\;mg/m^{2}$) and cisplatin ($60\;mg/m^{2}$) chemotherapy for the peritoneal metastasis of gastric cancer. The patient underwent a total gastrectomy, a splenectomy, and a segmental resection of the transverse colon for gastric cancer. She had used thiazide and ${\beta}-blocker$ to treat hyperiension for 12 years. She admitted to our hospital with complaining of general weakness, dysarthria, loss of appetite, and urinary discomfort. The serum level of sodium and potassium were 94 mEq/L and 2.2 mEq/L respectively. The hyponatremia completely resolved uneventfully after 3% saline infusion, which led to normalized electrolyte balance. The patient was discharged on the 13th hospital day. 저나트륨혈증은 항암화학요법 중에 발생하는 전해질 장애 중의 하나이며, 조기에 발견하여 치료하지 않을 경우 급사할 수 있다. 저나트륨혈증을 유발하는 여러 원인중에 항이뇨호르몬과다분비증후군(syndrome of inappropriate antidiuretic hormone, SIADH)이 항암화학요법을 시행받은 환자들에게서 발생하였다고 보고되고 있다. SIADH를 유발하는 항암제는 아직까지 몇 가지 외에는 많이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예는 위암으로 위전절제술, 비장절제술, 횡행결장구역절제술을 시행 받은 55세 여자로 수술 후 복막전이가 발견되어 S-1 ($80\;mg/m^{2}$)과 cisplatin ($60\;mg/m^{2}$)을 이용한 항암화학요법 중 SIADH가 발생하였다. 환자는 3% 생리식염수를 투여한 후 저나트륨혈증이 정상화되어 퇴원하였다.

      • KCI등재

        O<sub>2</sub>/BCl<sub>3</sub>/Ar 플라즈마를 이용한 HfAlO<sub>3</sub> 박막의 식각특성 연구

        하태경,우종창,김창일,Ha, Tae-Kyung,Woo, Jong-Chang,Kim, Chang-Il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10 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Vol.23 No.12

        In this study, $HfAlO_3$ thin films using gate insulator of MOSFET were etched in inductively coupled plasma. The etch characteristics of the $HfAlO_3$ thin films has been investigated by varying $O_2/BCl_3$/Ar gas mixing ratio, a RF power, a DC bias voltage and a process pressure. As the $O_2$ concentration increases further, $HfAlO_3$ was redeposited. As increasing RF power and DC bias voltage, etch rates of the $HfAlO_3$ thin films increased. Whereas, as decreasing of the process pressure, etch rates of the $HfAlO_3$ thin films increased. The chemical reaction on the surface of the etched the $HfAlO_3$ thin films was investigated with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XPS). These peaks moved a binding energy. This chemical shift indicates that there are chemical reactions between the $HfAlO_3$ thin films and radicals and the resulting etch by-products remain on the surface.

      • 위암환자에서 위절제술 시 근위부 절제연거리의 임상적 중요성

        하태경,권성준,Ha, Tae-Kyung,Kwon, Sung-Joon 대한위암학회 2006 대한위암학회지 Vol.6 No.4

        목적: 위암환자에서 위절제술 시행 시 절제연거리가 종양의 특성에 따라 재발률, 재발양상 및 예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명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연구자들은 이런 관점에서 분석하여 보다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한 대상환자를 선별하여 맞춤치료의 기준을 찾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본원에서 1992년 6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위암으로 위절제술을 시행 받은 환자 중 절제연 암침윤 음성이었던 4,472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추적기간 중앙값은 37개월($1{\sim}162$개월)이었다. 결과: 조기위암 환자군에서 절제연거리가 2 cm 미만인 군과 이상인 군 사이에 재발률, 재발양상 및 5년 생존율에 차이가 없었다. 진행위암 환자는 절제연거리 3 cm를 기준으로 분류하였을 때 그 이상인 경우와 미만인 환자군의 생존율에 의미있는 차이가 있었다(P=0.02). 진행위암 환자 중 미만형, 위하부 1/3 위암, Borrmann 3, 4형은 절제연거리가 3 cm 이상인 군이 미만인 군에 비해 생존율의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P<0.05).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다변량 생존분석 결과 연령, 병기, 수술방법, Borrmann형, 근치도가 독립적인 인자였다. 결론: 위암환자에서 위절제술 시행 시 종양의 변연부와 근위부 위절제연까지의 거리는 조기위암의 경우 재발률 및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의미 있는 인자로 생각되지 않으며, 진행위암은 미만형, 하부 1/3, Borrmann 3, 4형의 경우에는 절제연을 3 cm 이상 확보하는 것이 환자의 생존율 향상에 중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Purpose: The way in which the resection margin distance for gastric cancer patients who undergo a gastric resection influences the recurrence rate, aspects of recurrence, and the prognosi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of the tumor is not known. We aim to find a standard for tailor-made treatment after selecting patients in this point of view who need a more sufficient resection margin. Materials and Methods: A retrospective study was done on 1,472 patients who underwent a gastrectomy due to gastric cancer at our hospital from 1992 to 2005. The median follow-up period was 37 months.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currence rate, the aspects of recurrence, and the 5-year survival rate between early gastric cancer (EGC) patients with a resection margin distance of less than 2 cm compared with EGC patients with a resection margin distance of greater than 2 cm. However,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urvival rate were found in advanced gastric cancer (AGC) patients when the patients were classified into groups with resection margin distances less than or greater than 3 cm (P=0.02).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ed especially in cases of diffuse histologic-type tumors located in the lower third of the stomach and in cases with Borrmann type-3 and -4 tumors. Conclusion: The distance between the tumor resection margin and the proximal gastric resection margin has no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urvival rate in EGC patients if the resection margin is negative. However, to improve a patient's survival rate, it is important to guarantee a resection margin of more than 3 cm in AGC patients, especially when the tumor is a diffuse histologic type located in the lower third of the stomach or a Borrmann type 3 and 4.

      • 원격 전이 여부에 따른 4기 위암의 세분류(IVa 및 IVb)

        하태경,권성준,Ha, Tae-Kyung,Kwon, Sung-Joon 대한위암학회 2006 대한위암학회지 Vol.6 No.3

        목적: 위암 병기 4기는 다른 병기에서와 같이 여러 T인자 및 N인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특히 원격 전이가 존재하는 경우가 포함되어 있다. 4기에 속하는 위암 중 원격 전이군(M1)의 경우는 근치적 절제가 불가능한 경우로서 비 원격 전이군(M0)과 함께 동일 병기로 분류되어 있어 원격 전이 유무에 따라 환자의 생존율에 의미있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가능성을 가지고 비교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2년 6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본원에서 위암으로 수술한 1,630명 가운데 위절제술이 가능했던 4기 환자 308명을 대상으로 원격 전이 유무에 따른 여러 임상병리학적 인자들의 특성과 생존율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추적기간의 중앙값은 43개월(범위, $1{\sim}154$개월)이었다. 결과: M0군의 5년 생존율은 35%, M1군은 16%로 M0군의 생존율은 M1군에 비해 의미 있게 높았으며(P=0.0000), M0군 중 T1-3N3M0군과 T4N1-2M0군간의 생존율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현재의 TNM 분류법상 4기로 구분되는 예들을 비교 분석한 결과 M0군은 M1군에 비해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예후가 좋으므로 M0군은 stage IVa로, M1군은 stage IVb로 세분류하는 것이 타당하겠다. Purpose: The TNM staging system showed limitation in stratifying patients into different prognostic groups with gastric cancer Since the treatment for stage IV gastric cancer with distant metastasis (M1) is defined as non-curative one, we hypothesized that the survival rate of stage IV gastric cancer with M1 is different to that of stage IV gastric cancer with no distant metastasis (M0), which will provide a rationale to subdivide stage IV into IVa and IVb. Materials and Methods: From June 1992 to December 2005, of 1,630 gastric cancer patients who underwent surgery, 308 patients with stage IV gastric cancer were selected and analyzed. The clinicopathologic characteristics and survival of the patients, according to distant metastasis, were determined retrospectively. Median follow-up period was 13 months (range: $1{\sim}154$ month). Results: 5 year survival rate of M0 and M1 group was 35% and 16% respectively with statistic significance (P=0.0000). When the survival rate of M0 group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difference of T and M factor, T1-3N3M0 and T4N1-2M0 group showed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P=0.1898). Conclusion: Given the result in this study, we suggest that the stage IV gastric cancer be subclassified into stage IVa and IVb according to M factor.

      • 진행성 위암환자에 있어 TS-1 또는 TS-1/CDDP의 항암효과 및 안정성

        하태경,권성준,Ha,, Tae-Kyung,Kwon, Sung-Joon 대한위암학회 2006 대한위암학회지 Vol.6 No.3

        목적: 진행성 위암환자에게 여러 종류의 항암요법이 시행되고 있으나 심각한 부작용 발현 없이 예후증진을 이룰 수 있는 약제는 아직 개발되지 않고 있다. 이처럼 표준요법의 개발이 시급한 시점에서 TS-1이 한국인 위암환자에서 어떤 항암효과 및 안정성을 보이는지 알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진행성 위암으로 진단된 78명을 대상으로 TS-1 단독 또는 TS-1/CDDP 병용요법을 시행하였다. TS-1은 $80\;mg/m^{2}/day$을 단독요법의 경우 4주 복용 및 2주 휴약을, 병용요법인 경우엔 3주 복용 및 2주 휴약을 1 cycle로 하였다. CDDP은 $60\;mg/m^{2}$ 용량으로 제8일째에 정맥 주사하였다. 결과: 수술 전 요법군과 재발 및 비근치적 수술군에서의 종양 반응률은 각각 87.5%, 및 32.4%였고, 단독요법군 28.6%, 병용요법군 48.4%였다. 재발 및 비근치적 수술군의 경우 종양의 반응률에 따른 생존율 차이는 의미 있는 차이(P=0.0016)를 보였고, 1년 생존율은 단독요법 56.1%, 병용요법 58.5%였으며 두 군간의 차이는 의미가 없었다. 전체 환자에서 치료관련 부작용 발현빈도(grade 3 이상)는 단독 및 병용요법의 경우 14.3% 및 36.8%였다. 결론: 한국인 진행성 위암환자를 대상으로 시행한 TS-1 단독 또는 CDDP와의 병용요법은 높지 않은 부작용 발현빈도와 높은 종양 반응률을 보였으며, 향후 용량 조절과 스케줄 조절을 통해 표준항암요법의 하나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Purpose: Although several chemotherapy regimens used against advanced gastric cancer (AGC) have been studied extensively in an attempt to further improve the prognosis of patients, to date, no standard chemo-therapeutic regimens have been establishe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anti-tumor efficacy and safety of TS-1 or TS-1 plus cisplatin (CDDP). Material and Methods: We treated 78 patients with AGC either with $80\;mg/m^{2}$ of TS-1 for 28 days, which was followed by a 2-week rest, or with $80\;mg/m^{2}$ of TS-1 for 21 days and $80\;mg/m^{2}$ of CDDP on day 8 every 5 weeks. Results: Tumor response rates in the neoadjuvant chemotherapy group and in the recurrent or post-palliative surgery group were 87.5% and 32.4%, respectively, and they were 28.6% and 48.4%, respectively, in the TS-1 group and the TS-1 plus CDDP group. The survival rates in the recurrent and the post-palliative surgery group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degree of tumor response (P=0.0016), but the one-year survival rates according to the kinds of regimens (TS-1 or TS-1/CDDP group)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he incidences of grade 3 or 4 adverse effects in the TS-1 and the TS-1/CDDP groups were 14.3% and 36.8%, respectively. Conclusion: The anti-tumor efficacy and safety of TS-1 and TS-1 plus CDDP in Korean patients with AGC seemed to be high with modest adverse effects, thus suggesting the possible use of this regimen as a standard chemotherapy for gastric cancer.

      • 위암환자의 재발유형에 따른 임상병리학적 특성

        하태경,권성준,Ha, Tae Kyung,Kwon, Sung Joon 대한위암학회 2007 대한위암학회지 Vol.7 No.1

        목적: 위암 환자 수술 후 재발의 임상병리학적 특성에 대한 이해는 재발의 조기 발견과 이에 따른 보다 나은 치료 성적을 얻기 위하여 필수적인 정보이다. 즉 종양의 특성에 따른 재발의 유형, 재발시기, 재발 이후의 경과 등을 이해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2년 6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본원 외과에서 위암으로 근치적수술을 시행 받은 1,338명의 환자 가운데 재발 유형을 모르는 경우(n=60), 사고사 및 타 질환으로 사망한 경우(n=55)를 제외한 1,223명을 연구 대상자로 하였다. 재발예(n=241)와 비재발예(n=982) 사이의 임상병리학적 특성 및 재발예 가운데 재발의 유형에 따른 임상병리학적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재발예는 비재발예에 비하여 위전절제술, 진행된 병기, 림프관이나 혈관 침윤예, 위전벽암, 크기가 큰 암, 미분화암, 미만형, Borrmann 4형이 의미 있게 많았다. 복막파종은 여성, stage III, 위상부 및 위전벽암, 미분화암, 미만형, Borrmann 4형이 의미 있게 많았고, 혈행성전이는 조기위암, stage I, 국소전이는 Borrmann 1, 2, 3형이 의미 있게 많았다. 복막파종의 경우 혈행성전이나 국소전이에 비하여 재발 후 생존기간이 짧았다(7.0개월, 9.5개월, 12.5개월). 조기재발군은 병기3, 4기, N3, 림프관침윤율이 높았고, 후기재발군은 병기3기, N1이 조기재발군에 비해 의미 있게 많았다. 결론: 위암의 임상병리학적 특성에 대한 이해가 위암수술 후 재발을 조기에 발견하는 데 중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Purpose: Evaluating the clinicopathologic characteristics of recurred gastric cancer is essential for early detection of the recurrence and for better clinical outcom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the patterns of the recurrence, the timing of the recurrence, and the clinical result after recurrence according to the clinicopathologic characteristics of gastric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From June 1992 to December 2005, of the 1338 gastric cancer patients who underwent a curative gastric resection, 241 patients who recurred during the follow-up period were selected and their cases were analyzed. The clinicopathologic characteristics of the patients, the time to recurrence after operation and survival were determined retrospectively according to the type of recurrence. Results: For the recurrent group, the numbers of total gastrectomies, advanced stages, lymphatic and/or venous infiltrations, whole stomach cancer cases, large tumors, undifferentiated tumors, and Borrmann type 4 tumors were higher than they were for the non-recurrent group, and the differenc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When the recurrence types were classified as peritoneal seeding, hematogenous recurrence, and locoregional recurrence, independent risk factors were female gender, stage III, upper third, and whlole stomach cancer, and undifferentiated- type, diffuse-type, and Borrmann type 4 tumors for peritoneal seeding; early gastric cancer, stage I for hematogenous recurrence; and Borrmann type 1, 2, and 3 tumors for locoregional recurrence. Survival duration after detection of the recurrence was shorter for peritoneal seeding than for hematogenous or locoregional recurrence (7.0 months vs. 9.5 months and 12.5 months). Conclusion: For early detection of the recurrence after curative surgery for gastric cancer, it is important to recognize that the high risk factors for recurrence vary with the clinicopathologic data for the patients.

      • UICC/AJCC 제7판 위암 병기 분류법은 제6판 분류법에 비하여 예후 예측을 증진시키는가?

        하태경,김현자,권성준,Ha, Tae-Kyung,Kim, Hyun-Ja,Kwon, Sung-Joon 대한위암학회 2009 대한위암학회지 Vol.9 No.4

        목적: 제6판 UICC TNM 분류법과 비교하여 새로 개정될 제7판 분류법이 위암 환자들의 예후를 예측하는데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지를 그 유용성과 함께 비교 분석한다. 대상 및 방법: 1992년 6월부터 2006년 12월 사이에 한양대학교병원 외과에서 위암으로 수술 받은 1,633명을 대상으로 제6판 및 제7판(예정) UICC TNM 병기분류법에 따른 예후 예측과 관련된 사항들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제7판 분류에 의한 T2와 T3 사이 생존율의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으나 N0, N1, N2, N3a, N3b 사이 생존율은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제7판에 따른 병기 III와 병기 IV 사이의 생존율 차이는 유의하였으나 병기 Ia와 Ib사이, Ib와 IIa사이, IIa와 IIb사이, IIb와 IIIa 사이의 생존율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동일병기로 분류되었으나 구성요소의 차이에 따라 생존율의 동질성을 확보하지 못하는 경우가 병기 IV를 제외하면 제6판보다 제7판에서 더 많았다. 결론: 제7판 분류법은 제6판 분류법에 비하여 너무 복잡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서로 다른 병기 사이의 생존율의 차별화나 동일 병기를 이루고 있는 서로 다른 인자로 구성된 경우들 사이에서의 생존율의 동질성 평가에서 부족하였다. 그러나 근치 인자와 비근치 인자를 같은 병기로 구분한 제6판의 병기 IV 분류 기준을 수정하여 서로 다른 병기로 분리 해 놓은 제7판에서의 변화는 적절하다고 평가할 수 있겠다. Purpose: We evaluated the efficacy and prognostic predictability of the $7^{th}$ UICC TNM classification compared to $6^{th}$ UICC TNM classification in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June 1992 and December 2006, 1,633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who had undergone gastric surgery and who had been analyzed by the $6^{th}$ UICC method were analyzed using the new $7^{th}$ UICC system. Results: Significant differences in 5-year survival rates were observed for $7^{th}$ UICC N0, N1, N2, N3a, and N3b compared to $6^{th}$ UICC.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5-year survival rates between T2 and T3. Distinct survival differences were present between stage III (IIIa, IIIb, and IIIc) and stage IV in $7^{th}$ UICC. Significant differences in 5-year survival rates were not expected for Ia versus Ib, Ib versus IIa, and IIb versus IIIa. The survival rates for the same stages were not homogeneously differentiated by $7^{th}$ UICC except for stage IV. Conclusion: The $7^{th}$ UICC classification system is not better able to predict patient survival compared to 6th UICC in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but is better for accurate prognosis of patients with stage IV gastric cancer.

      • KCI등재후보

        단일 및 혼합 산화금속 나노물질이 폐상피세포주(A549)에 미치는 세포유전독성 평가

        하태경(Tae Kyung Ha),김양지(Yang Jee Kim),최영주(Young Joo Choi),이중원(Joong Won Lee),이영현(Younghyun Lee),이선영(Sunyeong Lee),정해원(Hai Won Chung) 서울대학교 보건환경연구소 2012 보건학논집 Vol.49 No.1

        Objectives: Recently, growing nanotechnology industry leads to concerns about unknown health effects of nanoparticles in humans. Metal and metal oxide nanomaterials are used in skin care products, abrasives, and polishers. However, the toxicity of these nanoparticles is not fully understoo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toxicity of three kinds of metal oxide nanoparticles (CuO, Al₂O₃, and CuAl₂O₄). Methods: To evaluate cell death induced by the metal oxide nanoparticles, we performed MTT assay in the carcinomic human lung epithelial cell line (A549). We examined the genotoxic effects of the nanoparticles in A549 cells using alkaline single cell gel electrophoresis (Comet) assay. The level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generation induced by the metal oxide nanoparticlesinA549 cells was determined by flow cytometry using the fluorescent dye, 2, 7’-dichlorofluorescin diacetate (DCF-DA). Results: Dose-dependent decrease in cell survival was observed after treatment of CuO, Al₂O₄ and CuAl₂O₄. Dose-response trend in the nanoparticles induced DNA damage could be seen in A549 cells treated with CuO, Al₂O₃, and CuAl₂O₄. The relative levels of intracellular ROS induced by nanoparticles treatment were significantly augmented. DCF fluorescence intensity in the 50㎍/㎖of CuO, Al₂O₃, and CuAl₂O₄ treated cells was increased by 441, 176 and 235 %, respectively, a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aken together, CuO, Al₂O₃, and CuAl₂O₄ nanoparticles induced DNA damage and generation of intracellular ROS, eventually, triggering the cell death.

      • 변분 평활법과 오토인코더를 이용한 반도체 설비 진공챔버 리크감지 방법

        하태경(Ha Tae Kyung),신현정(Shin Hyunjung) 한국정보과학회 2021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21 No.6

        본 연구는 반도체 공정 설비에서는 이상탐지는 생산성과 직결되는 중요한 이슈이다. 센서 데이터를 활용하여 분석하기 위해서는 공정마다 반복되는 센서 신호를 스무딩(smoothing)하고 세그먼트(segmentation)하는 과정이 필수적이다. 제안하는 방법에서는 센서 신호의 특성을 살릴 수 있는 스무딩 방법을 설계하였다. 각 구간에서 생성된 정보들은 오토인코더를 통하여 구간 특성 값으로 추출된다. MLP 분류기로 실험한 결과 이상탐지 정확도는 84%로, 기존 방법에 비해 월등히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