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Dipstick Urine Protein, as a Predictor of Cardiovascular Mortality in Korean Men: Korea Medical Insurance Corporation Study

        하경수,김현창,강대룡,남정모,안성복,서일,Ha, Kyoung-Soo,Kim, Hyeon-Chang,Kang, Dae-Ryong,Nam, Chung-Mo,Ahn, Song-Vogue,Suh, Il The Korean Society for Preventive Medicine 2006 예방의학회지 Vol.39 No.5

        Objectives: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if the dipstick proteinuria can predict cardiovascular mortality in a population of Korean men. Methods: We measured urine protein and other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 100059 Korean men, aged between 35-59 years in 1990 and 1992. Levels of proteinuria measured by dipstick method were trace or less, 1+, 2+, and 3+ or greater. The primary outcomes were deaths from all causes, cardiovascular disease, cancer, and others in a 12 year follow-up from 1993 to 2004. Results: The multivariate-adjusted relative risks (95% CI) for cardiovascular death according to the level of proteinuria (1+, 2+, 3+ and more) in 1990 examination were 2.18 (1.36-3.48), 2.55 (1.37-4.78), and 4.57 (2.16-9.66) respectively. The corresponding relative risks according to the level of proteinuria in 1992 examination were 2.49 (1.71-3.64), 2.64 (1.53-4.58), and 2.78 (1.15-6.73). The relative risks for cardiovascular death of men with proteinuria (1+ or greater) once and twice among the examinations were 2.18 (1.63-2.92) and 3.75 (2.27-6.18), compared with men without proteinuria in 1990 and 1992 examinations. Conclusions: Our results showed that dipstick proteinuria is associated with cardiovascular mortality in Korean men. Dipstick proteinuria could be a predictor for cardiovascular mortality.

      • KCI등재

        젊은 성인에서 교정 QT간격과 심혈관질환 위험요인의 관련성: 강화연구

        안성복,김현창,허남욱,하경수,장후선,김진배,서일,Ahn, Song-Vogue,Kim, Hyeon-Chang,Hur, Nam-Wook,Ha, Kyoung-Soo,Jang, Hoo-Sun,Kim, Jin-Bae,Suh, Il 대한예방의학회 2006 예방의학회지 Vol.39 No.6

        Objectives : Prolongation of the heart rate-corrected QT (QTc) interval has been reported to be associated with cardiovascular morbidity and mortality. However, few studies hav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QTc interval and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 young healthy peopl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ssociations between the QTc interval and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 young healthy adults. Methods : This study was performed as part of the Kangwha study, which started in 1986, and is an on-going follow-up study on blood pressure and related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 follow-up examinations during 2005,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cluding anthropometrics, blood pressure, blood chemistry and carotid ultrasonography, were measured, and questionnaires on health behaviors completed by 127 men and 149 women aged 25 years. The QTc interval was measured on the resting 12-lead electrocardiogram using an automatic analysis program. Results : The mean QTc interval was significantly longer in women $(419{\pm}17ms)$ than in men $(405{\pm}17ms)$ (p<0.001).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QTc interval and waist-hip ratio (p=0.030) in men. Women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QTc interval and systolic blood pressure (p=0.017). On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QTc interval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waist-hip ratio in men (p=0.012) and with the systolic blood pressure (p=0.020) in women. Conclusions : In young healthy Korean adults, the QTc interval was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the waist-hip ratio in men and with the systolic blood pressure in women.

      • KCI등재

        상황버섯 열수추출물의 항산화 활성과 식후 혈당 상승 억제 효과

        최황용 ( Hwang Yong Choi ),하경수 ( Kyoung Soo Ha ),조성훈 ( Sung Hoon Jo ),가은혜 ( Eun Hye Ka ),장흥배 ( Hung Bae Chang ),권영인 ( Young In Kwon ) 한국식품영양학회 2012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25 No.2

        현대인은 급속한 사회의 성장으로 인하여 과거의 식생활 습관보다는 서구화된 식생활로 변하였고, 또한 물질적 풍요 로움으로 인해 과잉 에너지로 현재 비만, 당뇨병 등 생활 습관성 질병이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런 체내에서 과잉에너지는 대사가 진행되면서 산화되어 라디칼의 형태로 변하게 되고, 이런 산화된 라디칼은 체내에서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발한다. 이런 과잉 에너지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는 당뇨병의 환자에서 흔히 발생된다. 이런 당뇨병 환자들은 지속적인 고혈당으로 인한 산화적 스트레스로 인해 말초신경에 손상을 입어 백내장 및 족부궤양 등 많은 당뇨합병증에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당뇨병의 효과적인 완화를 위해서는 Glucose index(GI)가 낮은 음식도 중요하지만, 항산화효과를 가지는 음식 또한 중요하다. 이러한 당뇨병의 질병적 특성으로 볼 때 항산화활성과 식후 혈당 상승 억제활성을 동시에 갖는 SWE의 경우 당뇨병 질병 완화에 적합한 소재로 사료된다. 탄수화물을 주식으로 하는 우리나라 식생활의 패턴으로 보았을 때 SWE의 경우 맥아당을 분해하는 maltase, 자당을 분해하는 sucrase에 대한 저해활성이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하여 식후에 분해된 이탄당에 의한 혈당 상승을 억제할 것으로 보여진다. 특히 이탄당 중 sucrose에 대한 in vivo 실험을 수행한 결과, 0.5 g/㎏-body weight 농도에서 식후 30분에 효과적으로 혈당 상승을 억제하였다. 이탄당 외에 polysaccharide에 대한 혈당 상승 억제효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glucoamylase저해활성을 측정 결과, 5 ㎎/㎖ 의 농도에서 96±0.8%의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내어 polysaccharide에 대한 혈당 상승 억제효과도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혈당 상승 억제 활성은 양성대조군인 약물과 비교하였을 때는 다소 낮은 활성을지닌 것으로 보이나, 상황버섯은 다양한 당류를 자실체 및 균사체에 함유하고 있어서 상황버섯을 열수추출하는 과정에서 버섯 내의 각종 당류가 함께 추출되어 당질분해효소활성을 억제하는 활성물질과 함께 함유되어 혈당 상승 억제를다소 경감시킨 것을 감안한다면 향후 활성물질의 분리정제를 통한 순도를 개선함으로써 활성을 증강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상황버섯에 대한 항산화 효능을 알아보기 위해 DPPH라디칼 소거능, peroxyl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농도의존적으로 라디칼이 소거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SWE는 당뇨병의 고혈당으로 인한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해유발되는 당뇨합병증에 대한 경감효과를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향후 상황버섯 추출물에 대한 분리정제를 통한 고순도 활성물질의 확보, 약동력학적 연구 및 임상시험을 통하여 당뇨병의 치료 및 당뇨합병증 완화에 도움이 될소재의 개발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inhibitory activities of a water extract of Sanghwang mushroom (Phellinus linteusau) (SWE) against α-glucosidases were evaluated in this study. Inhibiting these enzymes involved in the absorption of disaccharides significantly decreases the postprandial increase in blood glucose level after a mixed carbohydrate diet.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and 1, 1-diphenyl-2-picryl hydrazyl scavenging activities of the SWE were evaluated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he SWE associated with complications of long-term diabetes. Furthermore, the postprandial blood glucose lowering effect of SWE was compared to a known type 2 diabetes drug (Acarbose®) in a Sprague-Dawley rat model. SWE significantly reduced the blood glucose increase after sucrose loading. These results suggest that SWE, which has high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and high antioxidant activities, has the potential to contribute to a useful dietary strategy for controlling postprandial hyperglycemia.

      • KCI등재

        국내산 보리와 밀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균 활성

        조성훈(Sung-Hoon Jo),조차영(Cha-Young Cho),하경수(Kyoung-Soo Ha),최은지(Eun-Ji Choi),강유리(Yu-Ri Kang),권영인(Young-In Kwo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3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2 No.7

        본 연구에서는 4가지의 맥류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과 항균활성 그리고 지표성분인 DMBQ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4가지 맥류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측정 결과 겉보리(UB), 통보리(PB), 쌀보리(NB) 순으로 도정도가 진행됨에 따라 항산화 활성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통밀(WG)은 겉보리와 유사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냈다. 총 페놀 함량과 항산화 활성을 피어슨 상관계수로 비교 분석한 결과, 0.9934로 높은 유의성을 나타냈다. 4가지 대표적인 식중독 유발균을 대상으로 항균 활성을 측정한 결과 모든 추출물에서 Staphylococcus(S.) aureus에 대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고, NB, PB, UB 추출물은 15.69±0.20, 16.87±0.05, 17.91±0.10mm 순으로 S. aureus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겉보리(UB)는 배아와 겨, 통보리(PB)는 배아, 쌀보리(NB)는 배유만을 포함하고 있는 상태인데, 도정이 진행됨에 따라 DMBQ가 함유되어 있는 배아와 겨 부분이 제거되어 항균 활성이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대조군으로 분석한 통밀(WG) 추출물은 22.37±0.04 mm로 보리 추출물들과 비교하였을 때 상대적으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DMBQ의 양을 분석하였을 때 WG 추출물이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비교해 보았을 때 배아와 겨 부분에 주로 함유되어 있는 DMBQ의 양에 따라 맥류의 항균, 항산화력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가공정도에 따라 각기 다른 기능성을 나타내는 것을 이용해 용도에 따라 가공공정을 조절하여 새로운 소재로의 개발이 가능할 것을 알 수 있었다. 맥류 추출물은 항산화력과 항균력 두 가지를 모두 갖춘 천연물 유래 식품보존제로서의 개발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In this study, the antibacterial activities of selected barleys (UB, unhulled barley; PB, pearl barley; and NB, naked barley) and wheat (WG, wheat with germ and endosperm) extracts were evaluated against the food-borne pathogens Staphylococcus aureus KCTC 1927, Escherichia coli KCTC 2593, Salmonella Typhimurium KCTC 2054, and Bacillus cereus KCTC 1014. The amount of the antibacterial biomarker, 2,6-dimethoxy-1,4-benzoquinone (DMBQ), present in selected barleys and wheat, was measured by HPLC. Furthermore, antioxidant activity of samples was determined using the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ORAC) assay. WG (22.35±0.04 mm) was found to be highly inhibitory to Staphylococcus aureus followed by UB (17.91±0.10 mm), PB (16.87±0.05 mm), and NB (15.69±0.20 mm).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the selected grains was correlated with antioxidant activities and the amount of DMBQ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0.7831).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he selected grains was also correlated with the total phenolic conten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0.9934). WG extract showed significantly higher antibacterial activity, compared with barley extracts such as UB, PB, and NB.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barley has a potential in the development of natural antimicrobials and food preservatives for controlling food-borne pathogens.

      • KCI등재

        발아에 따른 콩류의 식후 혈당 상승 억제효능과 항산화 활성

        조차영 ( Cha Young Cho ),최황용 ( Hwang Yong Choi ),조성훈 ( Sung Hoon Jo ),하경수 ( Kyoung Soo Ha ),정지상 ( Ji Sang Chung ),장해동 ( Hae Dong Jang ),권영인 ( Young In Kwon ) 한국식품영양학회 2012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25 No.2

        본 연구에서는 5가지의 콩의 발아에 따른 총 페놀 함량과항산화 활성 및 식후 혈당 감소 효과를 분석하였다. 식후 혈당 감소 능력 측정 결과, 대두, 녹두, 강낭콩, 팥은 동일한 농도에서 발아 전 αglucosidase 저해활성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나, 발아에 따라 대부분의 콩에서 α-glucosidase 저해활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α-Amylase의 저해활성은 α -glucosidase와 동일한 농도에서 대두와 서리태가 발아에 따라증가하였다. 그리고 실험동물(SD rat)에 sucrose를 투여에 따른 식후 혈당 저해 효과를 측정한 결과, 발아시킨 콩들이 식후혈당저해효과를 나타냈다. 그러나 α-glucosidase, α-amylase 억제활성과 동물실험을 통한 식후 혈당 저해효과를 비교해 보았을 때 효능이 일치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발아시킨 콩들이 α- glucosidase의 효소(sucrase, maltase, isomaltase, glucoamylase등)들에 특이적으로 결합하여 각기 다른 활성반응을 나타낼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발아에 따른 녹두의 총페놀 화합물이 가장 많이 증가하였으며(51.5%), 대두(22.2%),팥(20.6%), 서리태(20.2%), 강낭콩(15.3%) 순으로 전체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ORAC assay를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5종의 콩들이 발아에 따라 증가되었으며, 총 페놀 함량과 피어슨 상관계수로 비교하였을 때 유의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단백질 및 지방탄수화물의 훌륭한 급원인 콩을 발아시킴으로써 효율적인 혈당관리식품소재로서 사용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After a mixed carbohydrate diet, inhibition of α-amylase and α-glucosidase involved in the digestion and absorption of carbohydrates can significantly decrease the postprandial increase of blood glucose level. In the course of screening these useful enzyme inhibitors, we selected five kinds of bean, using an in-vitro enzyme inhibition assay method. To evaluate the effect of germination process on the functionality of the bean, we investigated the inhibitory activities of the water extracts of non-germinated bean and germinated bean against α-amylase and α-glucosidase, relevant to postprandial hyperglycemia. We also investigated the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ORAC), total phenolics content, and postprandial blood glucose lowering effect in rats (Sprague-Dawley rat model). Most germinated bean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compared with non-germinated beans. Among germinated beans, Glycine max had the highest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53.3%). The water extract of germinated Phaseolus vulgaris L. had the highest α-amylase inhibitory activity (95.1%), followed by Glycine max (58.7%), and Glycine max L. Merr (54.1%). Furthermore, the five germinated beans also showed high antioxidant activities in ORAC assay. Results suggested that the germination process may improve and enhance the anti-hyperglycemia potential and antioxidant activity of the be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