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식도발성 발화의 명료도에 대한 연구

        표화영,Pyo, Hwa-Young 한국음향학회 2007 韓國音響學會誌 Vol.26 No.5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peech intelligibility of esophageal speech, which is the way that the laryngectomized people who lost their voices by total laryngectomy can phonate by using the airstream driven into esophagus, not trachea. Three normal listeners transcribed the CVVand VCV syllables produced by 10 esophageal speakers. As a result, overall intelligibility of esophageal speech was 27%. Affricates showed the highest intelligibility, and fricatives, the lowest. In the aspect of the place of articulation, palatals were the most intelligble, and alveolars, the least. Most of the aspirated consonants showed a low intelligibility. The consonants in VCV syllables were more intelligible than the ones in CVV syllables. The low intelligibility of esophageal speakers is due to insufficient airflow intake into esophagus. Therefore, training to increase airflow intake, as well as correct articulation training, will improve their low intelligibility. 본 연구는 후두적출술 후 성대를 상실한 후두적출자들이 식도를 통하여 끌어들인 공기로 발성하는 식도발성 발화의 명료도를 조사해 보고자 하였다. 정상 청력을 가진 3명의 청취자가, 식도발성을 사용하는 화자 10인이 산출한 자음+모음+모음(CVV), 모음+자음+모음(VCV)의 무의미 2음절어를 듣고 그 내용을 기록하였다. 그 결과, 식도발성의 전체적인 명료도는 27%로 나타났다. 조음방법적 측면에서는 파찰음이 가장 높은 명료도를 보였고 마찰음이 가장 낮은 명료도를 보였다. 조음위치적 측면에서의 명료도는 경구개음이 가장 높고, 치경음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전반적으로 경음의 명료도가 높고, 격음의 명료도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음절내 3위치 측면에서는 CVV 음절보다 VCV 음절에 나타난 자음이 더 높은 명료도를 보였다. 식도발성 발화자가 보이는 명료도의 문제는 대개 충분한 공기량을 확보하지 못함으로써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정확한 조음동작의 훈련 뿐 아니라, 충분히 공기를 유입하는 훈련을 병행함으로써 명료도를 개선시키도록 노력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 단순 조음장애 환자군에 대한 통계적 연구 -배경정보와 조음 오류 양상을 중심으로-

        표화영,Pyo Hwa Young 대한음성학회 2000 말소리 Vol.39 No.-

        With the 130 patients who were diagnosed as functional articulation disorders with no physical problems, a statistical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ir background information and phonological processes of erro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Males showed higher prevalence than females, and 5-year-old-patients showed the highest in age. (2) Most patients showed errors of 2~5 phonemes (3) The most frequent errors were found in plosives and alveolar sounds, and the most frequent phonological process of errors in the aspects of manner and place of articulation were stop-assimilations and alveolar assimilations, respectively.

      • 음성장애 진단 및 평가에 관한 질적 연구: 진단 및 평가 모형 정립을 위한 기초연구

        표화영,심현섭,Pyo, Hwa-Young,Sim, Hyun-Sub 한국음성학회 2007 음성과학 Vol.1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Korean assessment model for the patients with voice disorders.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4 voice therapists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using a qualitative, constant-comparative design. According to the three themes emerged from the qualitative analysis, 10 subthemes were derived. The three main themes were 1) consideration on the disordered voice, 2) status quo of instrumental and perceptual evaluation, and 3) suggestions for the other voice therapists. The 10 subthemes can be summarized as the following: 1) judgment centering on the patients, 2) increase of the reliability of instrumental and perceptual evaluation, 3) voice therapists' positive participation in the assessment procedure of voice disorder.

      • SCOPUS

        성별에 따른 정상 및 음성장애 노인 화자의 음성관련 삶의질 비교 : 노인성 음성지수-한국어판(Aging Voice Index-Korean version, AVI-KR)을 이용하여

        표화영(Hwa-Young Pyo),임재열(Jae-Yol Lim),임성은(Sung-Eun Lim),이승진(Seung Jin Lee)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21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6 No.4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Aging Voice Index (AVI)의 한국어 번안본(AVI-Korean version, AVI-KR)을 이용하여 노인의 음성문제가 음성문제의 동반 유무 및 성별에 따라 음성관련 삶의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방법: AVI를 한국어로 번안한 후 신뢰도 및 타당도의 검증과정을 거친 AVI-KR을 60세 이상의 음성장애를 동반하지 않은 정상군 50명과 음성장애를 진단받은 환자군 76명에게 시행하였다. 이원변량분석을 통해 음성장애 동반 유무(정상군과 환자군)와 성별(남자군, 여자군)이 음성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정상군의 AVI-KR 총점 평균은 2.28점이었고 환자군은 35.55점으로 환자군이 유의하게 높았다. 정상군은 모두 AVI-KR의 절단점인 11.0점 이하의 점수를 보였으나 환자군 중에선 17.1%가 절단점 이하의 점수를 보였다. 남자군의 총점 평균은 16.80점, 여자군은 21.03점으로 여자군이 높았으나 그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환자군만으로 성별에 따른 총점 평균의 차이를 비교했을 때도 여자군이 더 높은 점수를 보였으나(39.16 vs. 31.95) 역시 그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논의 및 결론: 음성장애로 인한 성대의 병리적 차이가 음성관련 삶의질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지만 성차에 의해 나타나는 성대의 조직학적 차이는 음성관련 삶의질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성대의 병리적 문제도 환자군 모두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은 아니었다. 그러므로 노인 음성장애 화자의 음성문제를 평가할 때는 검사자 중심의 객관적인 평가뿐 아니라 화자 중심의 자기보고식 평가도 중요하게 시행되어야 하며 노인집단을 위해 특화된 평가도구에 대한 연구 및 개발도 꾸준히 이루어져야 한다. Objectives: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voice problems on voice related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with, without voice disorders, according to genders by using the Aging Voice Index-Korean version (AVI-KR). Methods: The AVI-KR, a translated original version of the Aging Voice Index (AVI) into Korean and verified for reli-ability and validity, was implemented with 50 elderly people without voice disorders (nor-mal group) and 76 elderly people with voice disorders (patient group). Statistical difference according to the group (normal and patient group) and gender (male and female) were analyzed by using a 2-way ANOVA. Results: The mean total score of the AVI-KR of the nor-ma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patient group. All of the normal group participants showed under 11.00, the cut-off score of AVI-KR, but 17.1% of the patient group appeared under the cut-off score. The female group showed higher scores than the male group, but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Also, the gender difference of patient groups did not show a statistical significance. Conclusion: The voice-related quality of life in elderly peopl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presence/absence of pathological vocal fold status, but the gender difference due to aging did not cause a difference in voice-re-lated quality of life. Even pathological status of vocal fold did not guarantee a bad influ-ence on voice-related quality of life. Therefore, the assessment of elderly people’s voice problems should be carried out not only with an examiner or expert-centered objective tools; but also patient-centered ones, including self-reporting questionnaires and evalua-tion tools specialized for the elderly, should be developed continuously.

      • 마비성 말 장애(dysarthria)의 명료도 향상을 위한 연구 동향

        표화영(Pyo Hwa Young),심현섭(Sim Hyun Sub)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05 특수교육 Vol.4 No.1

        본 연구는 마비성 말 장애 환자들이 보이는 명료도의 특징과 그 개선을 위해 이루어진 지금까지의 연구 동향을 고찰해 보고 그 임상적 시사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마비성 말 장애의 명료도에 대한 연구는 화자를 주체로 한 측면 뿐 아니라 청자를 주체로 한 연구도 이루어졌고 치료자의 입장에 초점을 둔 연구도 이루어져 왔다. 화자 측면의 연구는 화자의 말소리 산출에 초점을 맞추어 이루어졌는데 조음 뿐 아니라 말 속도 및 운율, 발성 및 호흡, 비강공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가 이루어졌다. 청자가 주체가 되는 측면은 명료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편으로 청자의 이해를 증진시키는 데 초점을 맞추어 이루어 졌고 치료자 측면의 연구는 치료방법 뿐 아니라 환자들의 수행에 대한 적절한 피드백에 대한 논의가 지속되었다. 이러한 문헌 고찰 결과를 토대로 하여, 조음은 전통적인 조음치료 방법과 더불어 조음기관 강화훈련의 병행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말 속도 및 운율의 측면은 말 속도를 느리게 하고 자연스러운 리듬을 습득하는 데 초점을 맞추며, 발성은 호흡훈련에 초점을 맞추는 방법이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비강공명은 수술보다는 palatal lift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고, 청자 이해를 위해서는 몸 동작(gesture)을 함께 사용하고 시청각적 자극을 함께 제시하며 주제의 응집성이 있는 대화를 하도록 하는 것이 유용하다. 또한 치료자는 마비성 말 장애 환자를 치료할 때 생체 피드백과 같은 객관적이고 시각적인 피드백 기법을 자주 사용하도록 많은 연구자들이 권고하고 있다. The present study was to review the literature on the improvement of intelligibility for the patients with dysarthria and to find out the clinical recommendation for the treatment of dysarthric speech. The researches on the intelligibility of dysarthria patients have been focused on the listeners and clinicians as well as the speakers. Studies on the aspect of dysarthric speakers have executed focusing on the production of speech sounds, and dysarthric patients' speech rate, prosody, phonation, respiration and nasal resonance as well as articulation were investigated. Researchers have performed many studies for helping the listeners' understanding of the dysarthric speech, and suggestions on the proper feedback techniques for the dysarthric speakers have done for the clinicians. From the literature review, we could find out the efficient therapeutic approaches for the improvement of dysarthric intelligibility: For the treatment of articulations, traditional articulation therapy and strengthening of articulators were proved to be effective, and slowing the speech rate and controling the rhythm should be done for their prosody and speech rate problems. Respiratory training and the prostheses such as palatal lift can improve the abnormal breathing patterns and hypernasality. Listeners can understand the dysarthric speech better when the speaker uses the iconic gestures, provides audio-visual presentation, and tells the cohesive stories to them. Also, it was suggested that the clinicians' use of the objective, quantitative and visual feedback such as biofeedback technique facilitates the performance of dysarthric patients.

      • KCI등재

        직업적 음성사용인의 음성에 대한 질적 연구(2)

        표화영(Hwa Young Pyo)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1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6 No.4

        배경 및 목적: 직업적 음성사용인의 음성치료에 대해 음성치료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를 실시함으로써 숙련된 전문가들이 사용하는 효율적이고 타당한 치료방법을 공유하고 그에 대해 논의해 보고자 하였다. 방법: 12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음성치료 전문가로서 주된 치료대상자군이 음성장애 환자인 전문가 5명을 개별적으로 만나서 면담을 실시한 후 그 내용을 언어병리학 전공 대학원생 4명이 전사하였다. 이를 통하여 작성된 최종 전사본을 연속적 비교법을 통하여 분석함으로써 최종 부호집을 만들었다. 결과: 2개 주제와 8개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직업적 음성사용인의 치료방법에서는 그 하위주제로 직업적 음성사용인에 대한 음성치료의 시작, 교사군 등 협의의 직업적 음성사용인 및 성악가 군 등 전문적 음성사용인의 음성치료, 직업과 치료의 병행, 그리고 치료의 종결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치료에 대한 조언으로서 전문가적인 당당한 자세, 개별 환자에게 맞는 치료, 음성 문제에 대한 심리적 지지를 제시하였다. 논의 및 결론: 직업적 음성사용인의 음성치료에 있어 전문가들의 견해 및 조언을 정리하고 그러한 내용들이 임상현장에서 갖는 의의를 논의하였다. Background & Objectives: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and discuss how voice therapy experts help professional voice user patients using a qualitative study. Method: The participants included five speech-language pathologists with clinical specialization in voice disorders for more than 12 years. The pathologists were interviewed individually on the topics of voice therapy for professional voice user patients, and each interview was transcribed by four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speech and language pathology. The final coding book was prepared by the analysis of the final transcripts with the constant comparative method. Results: Two themes and eight subthemes were derived from the analysis. Under the theme of intervention for professional voice user patients, five subthemes were considered, which included the onset of intervention, intervention strategies for professional voice users (narrow meaning) and for elite performers, keeping pace with work, and termination of therapy. Three subthemes were considered under the theme of advice for the young voice therapists which included professional and confident attitude, tailored therapy and psychological support. Discussion & Conclusion: The present paper summarizes and discusses the voice therapy experts’ opinions and advice as well as their implications on voice therapy for professional voice users.

      • KCI등재

        언어치료사의 감염관리 인식에 대한 설문조사 연구

        표화영(Hwa Young Pyo)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2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7 No.4

        배경 및 목적: 우리나라는 SLP를 위한 감염관리 교육이 전무함은 물론 SLP 스스로의 감염관리에 대한 인식 또한 현저히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설문조사를 통해 감염관리에 대해 SLP들이 가지고 있는 인식의 정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법: 13명의 SLP를 대상으로 11개 항목 49개 문항의 설문지를 이용하여 사전조사를 실시하였고, 그에 따라 설문지를 수정하여 8개 항목 41개 문항을 최종 문항으로 확정하였다. 이메일 혹은 대면조사를 통하여 설문지를 배포했고 총 102명의 SLP로부터 응답을 얻을 수 있었다. 결과: 치료활동과 관련된 ‘손 씻기’항목은 4점 만점에 평균 1.86점, ‘구강검사’는 3.20점, ‘개인보호장비(PPE) 착용’은 2.10점, ‘소독’문항은 평균 1.83점으로 나타났다. ‘감염전파 차단관리’는 평균 2.42점, ‘기침 에티켓’은 2.29점을 보였고, ‘감염교육’ 2개 문항은 1점 만점에 평균 0.23점을 보였다. 논의 및 결론: 설문조사를 분석한 결과 다수 항목의 평균점수가 만점의 절반을 넘기지 못하였으며 응답을 세부 분석해 본 결과 감염관리에 대해 잘못된 인식을 가지고 있는 부분도 드러났다. 이 결과를 토대로 궁극적으로 우리나라 SLP를 위한 감염관리 지침 마련이 시급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Background & Objectives: Speech-language pathologists (SLPs) often meet people in their clinics who have infectious diseases. However, SLPs have seldom been educated regarding infection control, resulting in their indifference on this issue.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SLPs’ awareness of infection control by using a questionnaire. Methods: A prestudy with 13 SLPs was conducted with a questionnaire composed of 49 items divided into 11 categories. Based on the results, a final questionnaire was developed with 41 items divided into 8 categories including ‘others’. Each item was answered by a 2-, 3- or 5-point scale, with lower scores relating to lower awareness. A total of 102 respondents returned the questionnaires by e-mail or in person. The Cronbach’s alpha coefficient of whole items was 0.698. Results: The average values were 1.86 of 4 in ‘hand washing’, 3.20 in ‘oral inspection’, 2.10 in ‘using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PPE), 1.83 in ‘disinfection’, 2.42 in ‘infection control’, and 2.29 in ‘respiratory etiquette’. Of ‘others’, the item ‘those who have infectious diseases visit our clinic’ showed 2.31 of 4, ‘SLP should know the infection control’ showed 1.86 of 2. ‘Our clinic gives infection control education annually’ showed 0.82 of 4. Discussion & Conclusion: According to the results, many items showed less than half the total of possible scale points on a questionnaire, and many SLPs have incorrect information regarding infection control. From these results, guidelines on infection control for SLPs should be established.

      • KCI등재

        A Survey on Clinical Observation in Graduate Schools

        표화영(Hwa Young Pyo)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7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2 No.2

        배경 및 목적 : 학부에 비해 국내 대학원에서 이루어지는 언어재활관찰실습에 대한 연구는 극히 드물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원 석사과정의 언어재활관찰실습 현황에 대해 조사하여 그 실태를 파악하고 이를 근거로 대학원 관찰실습 방법의 개선방안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석사과정에 언어치료(재활)학과가 개설된 27개 대학원의 언어재활관찰실습 운영 담당교원에게 22개 문항으로 이루어진 설문지를 온라인을 통해 배포하였다. 이중 25개교의 응답이 회수되었고 그 결과의 빈도 및 백분율을 분석하였다. 결과: 전체 25개교 중 20개교가 언어재활관찰실습을 진행하고 있었으며 학부 전공자나 자격증 소지자의 경우 관찰실습을 면제해주거나 감면해주고 있었다. 간접관찰보다 직접관찰의 비율이 대체로 더 높았으며 실습은 주로 사설치료실이나 각종 병원 부속 치료실, 장애인종합복지관에서 이루어졌다. 관찰실습을 제공하는 언어재활사는 2급 자격증 소지자보다 1급 소지자가 더 많았고 경력은 5-10년 사이가 가장 많았다. 실습생은 언어발달장애, 조음음운장애, 유창성장애 등 다양한 장애영역의 대상자를 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찰실습의 애로사항으로는 기관섭외의 어려움, 일정을 정하는 데의 어려움 등이 지적되었다. 논의 및 결론: 언어재활관찰실습을 진행하는 다수의 학교가 실습생으로 하여금 다양한 의사소통장애와 다양한 기관을 접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이를 위해 학과 차원의 노력은 물론 학회 및 협회의 다양한 지원책 모색이 필요하다. Objectives :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s of clinical observation for the students of Departments of Speech-Language Pathology (SLP) in graduate schools, and to find how to improve them. Methods: Questionnaires on the clinical observation in graduate schools were distributed by e-mail as an online survey to the faculty and staff in charge of clinical observation in graduate schools; 25 of 27 schools responded to the survey. Results: Twenty of the responding schools utilized clinical observation. Most of the schools lowered the observation requirements when the trainee’s major in undergraduate school was SLP or the trainee had an SLP certificate. Direct observations were conducted more than indirect observations. Institutes offering observations were private clinics, speech therapy clinics attached to hospitals, welfare centers for the disabled, and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Most speech-language pathologists offering observations had a level 1 certificate and had been working for 5 to 10 years. Trainees usually had opportunities to meet patients with various kinds of communication disorders. Many schools had difficulty in looking for institutes to offer appropriate observation practices and arranging the observation schedules. Conclusion: Every school tries to give trainees opportunities to meet patients with various types of communication disorders in different settings. To improve the actual conditions of clinical observation, academies and associations for SLPs should try to find appropriate and efficient support networks beyond the graduate schools themselves.

      • KCI등재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1996-2013)

        표화영(Hwa Young Pyo)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4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9 No.3

        배경 및 목적: 그동안 언어치료에서 이루어진 문헌연구는 특정 분야의 특정 주제에 초점을 맞춘 내용들이 대부분이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CSD) 학술지 창간호부터 직전년도인 2013년까지 게재된 논문의 전수를 분석하여 언어치료 전반에 걸쳐 이루어진 연구동향을 파악하고 이를 근거로 다른 영역과의 원활한 교류를 이룰 수 있는 근거자료를 만들고자 한다. 방법: 1996년부터 2013년까지 CSD에 게재된 논문 중 특별논단과 임상연구보고서를 제외한 527편을 선택하여, 연구의 전반적 특성 및 연구동향 특성을 분석하고 그 빈도와 백분율을 제시하였다. 결과: 연구자는 2인의 공동연구가 가장 많았고 단독저자로는 교수가, 제1 저자로는 대학원생의 참여가 많았다. 연구 참여자는 아동(18세 이하)이 성인보다 더 많았는데 아동 및 성인뿐 아니라 노인 연구의 비중도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연구유형은 실험연구가 가장 많았고 연구 목적으로는 개관 범주에 대한 논문이 가장 많았다. 관련의사소통영역으로는 언어발달장애가 가장 많았다. 기술통계에서는 평균, 표준편차, 백분율이 다수 사용되었고 추론통계에서는 t-검정과 분산분석이 주로 사용되었다. 논의 및 결론: 최근에는 과거에 주류를 이뤘던 실험연구뿐 아니라 질적 연구와 메타분석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연구유형의 논문이 발표되고 있으며 연령층 또한 노인 인구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해지고 있다. 그러나 영역 안의 용어 통일, 연구윤리 준수 강화 등의 문제가 해결되어야 하며 영역 간 연구를 활발히 증진시켜줄 수 있는 후속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Objectives: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general research trends of speech-language pathology and to give basic data for multidisciplinary research by analyzing the total articles published in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CSD) 1996-2013. Methods: Five hundred twenty-seven articles published in CSD excluding 'special issues' and 'clinical research reports' were analyzed for overall characteristics and general research trends. Results: Most articles were written by 2 authors, usually one graduate student as a primary author and one professor as the secondary author. Articles by one author were most frequently written by professors. Research was more frequently performed with children (under the age of 18) than adults, although research involving the elderly has increased. Experimental studies were the most frequently used research design, focusing on the overall characteristics of a specific area more than evaluation or intervention. Research on developmental language delay was the most common topic. In descriptive statistics, mean, standard deviation and percentages were frequently used; in inferential statistics, t-test and ANOVA. Conclusion: Articles including qualitative study and meta-analysis are increasing, along with research for the broader population, including the elderly. Some problems to be address include the unification of terms and a stronger emphasis on research ethics. Going forward we will look to resolve these issues and perform further study on how to improve the interdisciplinary nature of the research in our field.

      • 음성장애의 중증도와 발화 수준에 따른 말 명료도의 변화 연구

        표화영(Hwayoung Pyo) 한국음성학회 2008 음성과학 Vol.1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peech intelligibility of voice disordered patients when we consider the severity and utterance level as variables. Based on the severity level, 12 patie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G1, G2, and G3 group, respectively. Words, phrases and sentences produced by the speakers were judged by four listeners with normal hearing, and we compared the intelligibility scores of the three groups. As a result, the speech intelligibility was decreased as the severity level was increased,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the mean difference among words, phrases and sentences was not significant, and the variation of intelligibility according to the utterance level was not under the regular ru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