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매체환경 변화에 따른 국내 예능 프로그램의 포맷전략 및 다양성 변화 : 지상파, 종편, tvN을 중심으로

        표시영 한국언론학회 2022 한국언론학보 Vol.66 No.6

        매체환경의 급속한 변화가 예능 프로그램 다양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본 연구는 2016년부터 2021년까지의 지상파 3사, 종편 4사 그리고 tvN의 예능 프로그램 ‘포맷 유형’, ‘소재’, ‘출연진’ 다양성을 HHI를 통해 검토하였다. 그 결과, 포맷 다양성의 경우 ‘리얼 버라이어티쇼’ 포맷을 중심으로 ‘관찰형’, ‘미션형’, ‘토크형’, ‘개방형’으로 포맷 분절화가 이뤄져 전반적인 다양성 지수가 증가하고 있었고, 기존 소재 유형에서 구체화 되고 또 새롭게 발견된 소재들이 예능 프로그램에 활용됨으로써 소재 다양성 역시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소재의 경우 전 포맷 유형에 걸쳐 다양하게 구체화 되었는데, 기존에 인기가 있었던 ‘음악’ 소재에서 ‘트로트’가, ‘연예/결혼’ 소재에서 ‘이혼/재혼’ 소재 등이 분화되어 나타나 인기를 끌었다. 출연진 다양성은 상승세를 보였지만, 다른 다양성 지수에 비해서는 낮은 분포를 나타냈다. 한편 8개 채널은 경쟁상황에서 각기 다른 편성 전략을 구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선행연구와 비교했을 때 가장 두드러진 차이를 보인 채널은 종편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종편이 도입 직후 매우 낮은 포맷 다양성을 보였던 것을 감안하면 고무적인 변화라고 할 수 있다. 먼저 JTBC의 경우 포맷 유형 다양성은 종편 가운데 가장 높았지만, 출연진 다양성이 낮아 분석 유목에 따른 큰 차이를 보였다. TV조선은 포맷 유형 다양성이 8개 채널 중 가장 분명하게 증가한 채널로 나타났으며, MBN은 소재 다양성 지수가 8개 채널 중 가장 큰 폭으로 상승했다. 채널A는 포맷 유형 다양성은 가장 낮았지만, 출연진과 소재 다양성이 높게 나타나면서 타 채널과 차별화가 발견되었다. 최근의 미디어 시장 내 경쟁상황이 예능 프로그램의 포맷 다양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에 대한 판단은 결국 본 연구결과에서 나타난 포맷 유형 및 소재의 분절화를 어떻게 해석하는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포맷 유형은 형식, 소재, 전개 방식 등에 따라 세부적으로 유형화되며 그 내적·외적 틀이 확장되어 왔기에, 본 연구에서 발견된 포맷 유형 및 소재의 분절화는 유사한 포맷의 증가보다는 포맷 유형의 확장으로 봐야 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가 대체로 인기 포맷 유형과 소재를 중심으로 관찰되고 있으므로, 향후 이에 대한 면밀한 관찰이 요구되는 바이다.

      • KCI등재

        정보통신환경에서의 이용자이익 저해행위에 대한 비판적 고찰

        표시영 한국정보법학회 2020 정보법학 Vol.24 No.3

        This study critically reviewed the 2019Nu57017, which recently judged whether CP’s ‘access path change behavior’ significantly restricts user profits, through systematic interpretation of the enforcement ordinance and Prohibited Acts in Telecommunications Business Act, At a time when the dynamics of ISPs and CPs change in the ICT-led environment. As a result, the Telecommunications Business Act, which is applied to the unfair practices of CP, was a special competition law that was specifically aimed at protecting user profit. And this Act had been revised to comprehensively ‘enumerate’ various activities that Reducing User Benefits for more effective ex-post regulation. And there is a risk that ‘Gesetzesumgehung’ will easily emerge in dynamic economic regulatory areas, so the ‘Analogieanwendung’ of the law should be actively used as an alternative. In addition, because the purpose of revision of the enforcement ordinance clearly states that the enforcement ordinance provides an example of the type and criteria of prohibited acts, Since the enforcement ordinance is reasonable to interpret it as an “example act” of the parent law, if the operator’s actions fall under the enforcement ordinance, it is desirable to judge that the “significance” is satisfied. Furthermore, the decrease in the predictability of the offender is not a problem because the judgment of the prohibited acts goes through a strict judgment on the “unfairness of the act” and a separate judgment about “substantial reducing user benefits”, At this time, significant reduction of user benefits is a subjective damage felt by the user, so it should be judged on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rather than interpreting it on objective criteria. Therefore, this interpretation needs to be reasonably considered in determining the illegality CP’s acts in this case. 본 연구는 ICT가 주도하는 정보통신환경에서 ISP와 CP의 역학관계가 변화함에 따라 이에 적용되는 규제체계 전반의 재정립이 요구되고 있는 지금, CP의 ‘접속경로 변경행위’가 이용자이익을 현저하게 저해하는지에 대해서 최근 판단을 내린 2019누57017 판결을, 전기통신사업법 금지행위 규정 및 시행령에 대한 체계적 해석을 통해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그 결과, CP의 불공정행위에 적용되는 전기통신사업법은 경쟁법 중에서도 특히 ‘이용자이익보호’에 보다 규제의 목적이 맞춰진 특별 경쟁법으로실효성 있는 사후규제를 위해 다양한 이용자이익저해행위를 포괄적으로 ‘열거’하는방향으로 금지행위 규정이 개정되어 온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동태적인 경제규제영역에서는 ‘규범회피’가 쉽게 나타날 우려가 있어 이에 대한 대안으로 법의 ‘유추적용’이 적극 활용되어야 하고, 또한 시행령의 개정 취지에서 시행령이 금지행위 유형및 기준을 예시적으로 규정하고 있다고 분명하게 명시되어 있는 것을 바탕으로, 시행령은 모법의 ‘예시행위’로 해석함이 타당하므로 사업자의 행위가 시행령에 해당이 될경우 ‘현저성’은 충족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이때 제기될 수있는 수범자의 예측가능성 저하는 금지행위 판단이 ‘행위의 부당성’에 대한 엄격한판단과 ‘실질적인 이용자이익저해’ 여부라는 개별적 판단을 거치므로 큰 문제가 되지않으며, 이때 이용자이익 저해의 현저성은 이용자가 체감하는 주관적인 피해이기 때문에 객관적인 기준을 두고 해석하기보다는 ‘비례성의 원칙’하에 판단되어야 한다고보았다. 따라서 이와 같은 해석 등이 본 사건 내 CP 행위의 위법성을 판단함에 있어합리적으로 고려될 필요가 있다.

      • KCI우수등재

        굿 거버넌스(Good Governance) 관점에서 본 플랫폼(Platform)의 적정 규제방안 논의 구글의 앱 마켓 거버넌스를 중심으로

        표시영 한국방송학회 2021 한국방송학보 Vol.35 No.3

        As the platform becomes more influential on the domestic media industry as an ecosystem beyond media services, this study raised issues with current platform governance, and drew policy implications for building good platform governance. Platform governance, consisting of "division of decision-making rights", "control portfolio" and "price-making policies", could be evaluated as desirable platform governance only when modular architecture and these governance elements were aligned. Reflecting this into the Good Governance Framework that has been applied to local governance, the new evaluation indicators have resulted in Good Governance objectives of Platform Governance being 'decentralization', participation', 'control', 'responsibility',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Here, the division of decision-making rights could be reconstructed as a judgment indicator of decentralization and the gatekeeping, process, and pricing policies as a judgment indicator of control. According to an analysis of Google App Market governance based on the derived framework, decentralization was well achieved, but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were also not high based on medium-level participation, high control, and low responsibility. Therefore, this study determined that redesign of current governance is necessary through supplementation of participation, control, and accountability, and suggests that the overall focus of governance needs to be shifted to ‘cooperative governance-co regulation’.

      • KCI등재

        유튜브 내 허위조작정보가 여론 형성력에 미치는 효과: 팩트체크 보도 전과 후를 중심으로

        표시영 정보통신정책학회 2024 정보통신정책연구 Vol.31 No.2

        본 연구는 유튜브 내 허위조작정보가 팩트체크 전후 어떠한 여론 형성력을 가지는지 탐색하고자, 구독자 수가 150만이 넘는 영향력 있는 유튜브 채널에서 처음 제기된 ‘김정숙 여사 팔짱’ 이슈를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고, 해당 유튜브 동영상에 달린 댓글 약 4,498개를 수집하여, 빈도 및 중요도, 담론, 감성, 유형 및 설득 효과를 종합적으로 고찰하였다. 그 결과, 첫째 빈도분석에서는 공통적으로 ‘가짜뉴스’, ‘김정숙’, ‘영부인’이 높은 빈도로 도출됐는데, 팩트체크 전에는 김정숙 여사를 비판하는 단어가 많았다면 팩트체크 후에는 운영 주체를 언급하는 댓글이 상대적으로 많았다. 두 시기 모두 중요 단어는 ‘가짜뉴스’였다. 둘째 담론은 크게 ‘가짜뉴스’, ‘김정숙 여사’, ‘채널’ 관련 담론이 도출됐으며, ‘김정숙 여사 관련 담론’은 다시 ‘미국과 연관’, ‘사건 설명’, ‘개인 비판’이라는 하위 담론으로 분류되었다. 셋째 감성은 모두 부정적 감성이 우위였다. 넷째 댓글 유형을 분류한 결과 팩트체크 전후 모두 허위조작정보의 설득 효과가 상당히 높았으나, 팩트체크 전보다 후에 허위조작정보의 설득 정도가 4.4% 낮아지고, 설득되지 않는 비율은 2.2% 높게 나타남으로써 팩트체크 효과도 동시에 확인되었다. 나아가 작성자 연결망 분석을 통해 팩트체크 전에는 특정 인물이 여론을 주도할 가능성이 높았다면, 팩트체크 후에는 보다 균등하고 밀접한 의사소통이 이뤄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이를 통해 허위조작정보의 영향력을 확인하고, 팩트체크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In order to explore how disinformation on YouTube, which has a great influence on users, shapes public opinion before and after fact-checking, this study selected the issue of ‘Kim Jong-sook’s arms in the air’, which was first raised on an influential YouTube channel with over 1.5 million subscribers, as the subject of analysis, and collected about 4,498 comments on YouTube videos about it to comprehensively examine (1) frequency and importance, (2) discourse, (3) emotion, and (4) type and persuasive effect. (1) The results showed that ‘fake news,’ ‘Kim Jong-sook,’ and ‘first lady’ were commonly found in high frequency in the frequency analysis, and while there were many words criticizing Kim Jong-sook before the fact-check, there were relatively more comments referring to the operating entity after the fact-check. The key word in both periods was ‘fake news’. (2) The discourse was broadly categorized into ‘fake news’, ‘Kim Jong-sook’, and ‘channel’ related discourse, and the ‘Kim Jong-sook related discourse’ was further divided into sub-discourses of ‘relating to the U.S.’, ‘describing events’, and ‘criticizing individuals’. While before the fact-check, there were many criticisms and personal attacks on Kim Jong-sook as an individual, after the fact-check, the criticisms were expanded to people and groups related to Kim Jong-sook, the content changed in specificity, and a new channel-related discourse was formed. (3) Sentiment was dominated by negative sentiment. (4) The classification of comment types showed that the persuasive effect of disinform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before and after fact-checking, but the effect of fact-checking was also confirmed, as the degree of persuasion of disinformation was 4.4% lower after fact-checking than before, and the rate of dissuasion was 2.2% higher. Furthermore, the analysis showed that while certain individuals were more likely to dominate the conversation before the fact-check, after the fact-check there was a more even and close communication. This study confirms the influence of disinformation and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fact-checking.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