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IESCOPUSKCI등재

        인삼 사포닌의 생화학적 연구 쥐 간의 미크로좀 에탄올 산화계에 미치는 영향 ( ⅩⅩ ) Biochemical Studies on Ginseng Saponins

        태건식,주충노 ( Gun Sik Tae,Chung No Joo ) 생화학분자생물학회 1984 BMB Reports Vol.17 No.4

        The effect of ginseng saponin fraction on partially purified microsomal ethanol oxidizing system (MEOS) was investigated and it was found that the activity of MEOS was stimulated considerably (30 %∼50 %). The activity of cytochrome C reductase was also stimulated in the presence of the saponin fraction (10^(-5)%). The conversion of cytochrome P-450 to P-420 was greatly inhibited in the presence of the saponin fraction (10^(-6)-10^(-4)%) suggesting again that the MEOS was stimulated.

      • KCI등재

        전기화학적인 방법을 이용한 두 개의 오스뮴 고분자 막의 고정화 및 다중 검출 바이오센서에 관한 연구

        태건식,김진구,최영봉,김혁한,Tae, Gun-Sik,Kim, Jin-Gu,Choi, Young-Bong,Kim, Hyug-Han 한국전기화학회 2008 한국전기화학회지 Vol.11 No.3

        다중 생체시료 검출을 위한 바이오센서 연구를 위하여 각기 두 전위를 갖는 오스뮴 고분자를 함께 탄소 전극 (Screen Printed Carbon Electrodes) 위에 고정하였다. 새로운 개념의 다중 생체시료 검출 바이오센서 연구위하여 과산화수소의 환원과 글루코스의 산화에 관여하는 환원 효소와 산화 효소를 각각 이용하였다. 실험 목적에 위하여 염소 작용기 ($E^{O'}$ + 0.520 vs. Ag/AgCl)와 메톡시 작용기 ($E^{O'}$ + 0.150 vs. Ag/AgCl)를 각각 포함하는 두 개의 오스뮴 고분자를 합성하였다. 전자는 과산화수소의 환원에 대하여 좋은 촉매전류신호를 보였고, 후자는 당의 산화에 대하여 효과적인 촉매전류신호를 보였다. Screen printed carbon electrodes (SPEs) modified with co-immobilized osmium-based redox polymers can be used to apply multi-detecting biosensors. In this study, we report our initial studies of multi-detecting biosensor concepts using two osmium-based redox polymers for horseradish peroxidase-mediated reduction of ${H_2}{O_2}$ coupled to glucose oxidase-mediated oxidation of glucose. We target to synthesize two osmium redox polymers of potentials use, a chloride-containing redox polymer ($E^{O'}$ + 0.520 vs. Ag/AgCl) and a methoxy-containing redox polymer $E^{O'}$ + 0.150 vs. Ag/AgCl). The former show good catalytic electrical signals with horseradish peroxidase and the latter's redox polymer is to be an effective redox mediator of glucose oxidation by glucose oxidase.

      • KCI등재

        오스뮴 착물들의 합성 및 전기화학적인 특성에 관한 연구

        김혁한,최영봉,태건식,Kim, Hyug-Han,Choi, Young-Bong,Tae, Gun-Sik 한국전기화학회 2008 한국전기화학회지 Vol.11 No.3

        Redox complexes to transport electrodes from bioreactors to electrodes are very important part in electrochemical biosensor industry. A novel osmium redox complexes were synthesized by the coordinating pyridine group having different functional group at 4-position with osmium metal. Newly synthesized osmium complexes are described as ${[Os(dme-bpy)}_2{(ap-im)Cl]}^{+/2+}$, ${[Os(dme-bpy)}_2{(ap-im)Cl]}^{+/2+}$, ${[Os(dmo-bpy)}_2{(ap-im)Cl]}^{+/2+}$, ${[Os(dcl-bpy)}_2{(ap-im)Cl]}^{+/2+}$. We have been studied the electr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se osmium complex with electrochemical techniques such as cyclic voltammetry and chronoamperommetry. Osmium redox complexes were immobilized on the screen printed carbon electrode(SPE) with deposited gold nanoparticles. The electrical signal converts the osmium redox films into an electrocatalyst for glucose oxidation. Each catalytic currents were related with the potentials of osmium complexes. 본 연구에서는 8족 금속 원소인 osmium을 중심금속으로 4가지의 착물을 합성하였다. 합성한 착물은 ${[Os(bpy)}_2{(ap-im)Cl]}^{+/2+}$, ${[Os(dme-bpy)}_2{(ap-im)Cl]}^{+/2+}$, ${[Os(dmo-bpy)}_2{(ap-im)Cl]}^{+/2+}$, ${[Os(dcl-bpy)}_2{(ap-im)Cl]}^{+/2+}$이다. 합성된 착물을 순환전압전류법을 포함한 다양한 전기화학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전기적 성질을 조사하여 작용기에 따른 전위의 변화를 다음의 전위구간에서 $E_p$:$-0.06\;V{\sim}0.313\;V$ vs. Ag/AgCl 확인하였다. 합성한 화합물을 전기적 흡착방법으로 고정된 금나노입자(gold nano-particles)를 전극 위에 자기조립방식으로 고정화를 시켰다. 당과 당 분해효소(Glucose Oxidase, GOx)에 의한 촉매반응의 전류를 확인하였고, glucose농도에 따른 변화하는 전류의 양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고정된 4가지의 osmium complex는 서로 다른 전위로 인하여 촉매전류의 양이 달라지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이로 인해 redox complex의 전위가 촉매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휴대용 AIDS 검사기기 개발

        Singh Birendra Kumar,태건식(Gun-Sik Tae),성연문(Yeon-Moon Sung) 적정기술학회 2021 적정기술학회지(Journal of Appropriate Technology) Vol.7 No.2

        AIDS 환자는 전 세계에 4,000만 명인 것으로 추산되며, 주로 개발도상국에서 대부분의 환자가 발생하고 있다. AIDS의 원인 바이러스인 HIV는 혈중의 CD4+ T 세포에 감염되어 수개월 내지 10년 간의 잠복기간을 거치면서 CD4+ T 세포를 점점 파괴하여 환자의 면역기능을 저하시킨다. 이렇게 면역력이 약화된 A IDS 환자는 다양한 병증에 의해 사망에 이르게 된다. 현재의 CD4+ T 세포 수를 계측하는 방법은 통상 유세포분석(flow cytometry) 방법에 의해 시행되고 있다. 유세포분석 방법은 정확도가 높다는 장점이 있으나 숙련된 전문 인력이 필요하고 장비가 고가이기때문에 개발 도상국에서는 이용하기 어렵다. 본 연구결과로 마이크로 여과기를 통해 소량인 5 ㎕ 혈액으로부터 백혈구를 포획하고 포획된 세포에서 CD4+ T 세포 및 CD8+ T 세포를 분석하여 AIDS를 검사하는 장비를 개발하였다. 현재의 검사 장비보다 저렴하고 고도의 기술이 필요하지 않으며 휴대가 간편한 획기적인 A IDS 검사 장비임을 시사한다. It is estimated that there are 40 million people with AIDS worldwide, with most cases occurring mainly in developing countries. HIV, the virus that causes AIDS, is infected with CD4+ T cells in the blood and gradually destroys CD4+ T cells for several months to 10 years, thereby lowering the patient s immune function. AIDS patients who have weakened immunity in this way will die from various diseases. The current method for counting the number of CD4+ T cells is usually performed by flow cytometry. The flow cytometry method has the advantage of high accuracy, but it is difficult to use in developing countries because it requires skilled professionals and equipment is expensive. As a result of this study, a device for AIDS screening was developed by capturing leukocytes from a small amount of 5 ㎕ blood through a microfilter and analyzing CD4+ T cells and CD8+ T cells from the captured cells. cheaper and easier to carry and use than current test equipment.

      • SCOPUSKCI등재

        자성을 가진 ZnFe<sub>2</sub>O<sub>4</sub>@SnO<sub>2</sub>@TiO<sub>2</sub> Core-Shell Nanoparticles의 합성과 특성에 관한 연구

        유정열 ( Jeong-yeol Yoo ),박선아 ( Seon-a Park ),정운호 ( Woon-ho Jung ),박성민 ( Seong-min Park ),태건식 ( Gun-sik Tae ),김종규 ( Jong-gyu Kim ) 한국공업화학회 2018 공업화학 Vol.29 No.6

        본 연구에서는 자성을 이용하여 재수득이 가능한 광 촉매 물질인 ZnFe<sub>2</sub>O<sub>4</sub>@SnO<sub>2</sub>@TiO<sub>2</sub> core-shell nanoparticles (NPs)를 3단계 과정을 통해 합성하였다. 구조적 특성은 X-ray diffraction (XRD) 분석으로 확인하였다. Spinel 구조의 ZnFe<sub>2</sub>O<sub>4</sub>와 tetragonal 구조의 SnO<sub>2</sub>와 anatase 구조의 TiO<sub>2</sub>가 합성된 것을 확인하였다. 합성한 물질의 자기적 성질은 vibrating sample magnetometer (VSM)으로 확인하였다. Core 물질인 ZnFe<sub>2</sub>O<sub>4</sub>의 포화자화 값은 33.084 emu/g으로 확인하였다. SnO<sub>2</sub>와 TiO<sub>2</sub>층의 형성의 결과, 두께 증가로 인한 자성은 각각 33, 40% 감소하였으나 재수득이 가능한 충분한 자성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합성된 물질의 광 촉매 효율은 methylene blue (MB)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Core 물질의 효율은 4.2%로 확인하였고 SnO<sub>2</sub>와 TiO<sub>2</sub> shell 형성의 결과 각각 73%와 96%로 증가하였고 높은 광 촉매 효율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항균 특성은 대장균(E. Coli)과 황색포도상구균(S. Aureus)을 사용하여 억제 영역을 확인하였다. Shell이 형성되면서 더 넓은 억제 영역이 형성되었고 이는 광 촉매 효율을 측정한 결과와 일치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In this study, ZnFe<sub>2</sub>O<sub>4</sub>@SnO<sub>2</sub>@TiO<sub>2</sub> core-shell nanoparticles (NPs), a photocatalytic material with magnetic properties, were synthesized through a three-step process. Structural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using X-ray diffraction (XRD)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ZnFe<sub>2</sub>O<sub>4</sub> of the spinel, SnO<sub>2</sub> of the tetragonal and TiO<sub>2</sub> of the anatase structure were synthesized. The magnetic properties of synthesized materials were studied by a vibrating sample magnetometer (VSM). The saturation magnetization value of ZnFe<sub>2</sub>O<sub>4</sub>, a core material, was confirmed at 33.084 emu/g. As a result of the formation of SnO2 and TiO<sub>2</sub> layers, the magnetism due to the increase in thickness was reduced by 33% and 40%, respectively, but sufficient magnetic properties were reserved. The photocatalytic efficiency of synthesized materials was measured using methylene blue (MB). The efficiency of the core material was about 4.2%, and as a result of the formation of SnO<sub>2</sub> and TiO<sub>2</sub> shell, it increased to 73% and 96%, respectively while maintaining a high photocatalytic efficiency. In addition, the antibacterial activity was validated via the inhibition zone by using E. Coli and S. Aureus. The formation of shells resulted in a wider inhibition zone, which is in good agreement with photocatalytic efficiency measurements.

      • 사람 혈청 알부민에 대한 단세포군 항체의 제조와 특성 연구

        태건식,안혜진 호서대학교 반도체제조장비국산화연구센터 2000 학술대회 자료집 Vol.2000 No.1

        Serum albumin은 혈청 단백질 중 50-60%를 차지한다. 알부민은 순환계 내에서 삼투압을 유지시켜 세포내외의 체액을 유지 및 지용성 물질의 이동에 관여한다. 신사구체와 기저막의 투과성이 증가하거나 세뇨관의 흡수감소 등으로 단백질의 요배설량이 하루에 150mmg 이상되는 단백뇨는 신장내의 병변이 있음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이다. 이러한 단백뇨는 크게 사구체성 단백뇨, 세뇨관성 단백뇨, 혼합성 단백뇨로 나눌수 있는데 이중 사구체 기저막의 손상으로 발생되는 사구체성 단백뇨는 알부민과 같은 고분자량의 단백질이 소변 내로 배설되는 현상이다. 일반적으로 알부민이 정상치 이상으로 소변을 통하여 배설되는 것을 'microalbuminuria'라고 하며 당뇨병으로 인한 신장병변을 예견하는데 중요한 지표로 알려져 있다. Microalbuminuria는 방사 면역확산법, 방사성 면역측정법, 면역혼탁측정법, 비탁측정법, 효소결합면역측정법(ELISA) 등으로 겸출할 수 있으나 최근에는 안전하면서도 민감도가 높고 측정이 용이한 방법인 ELISA를 이용한 면역분석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면역특이성이 떨어지는 다세포군 항체를 사용한 방법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세포융합기술을 이용한 단세포군항체를 생산하는 세포주를 개발하였고 그 특성을 규명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세포융합기술을 도입하여 개발된 인간혈청 알부민에 대한 단세포군항체는 glycohemoglobin에 대한 단세포군항체와 더불어 당뇨병의 진행 정도를 진단할 수 있는 키트의 원료로 사용될 수 있다.

      • 담배거세미나방에서 분리된 항균펩티드 유전자의 대량 발현에 관한 연구

        태건식,현석진 단국대학교 1999 論文集 Vol.34 No.-

        The antibacterial gene isolated from the common cutworm. Spotoptera litura showed high degree of homologies in its nucleotide sequence to those of the cecropin genes from Hyalophora cecropia, implying that it may encode the antibacterial peptide. In this experiment, the antibacterial gene from S. litura was subcloned to the expression vector pGEX-1λT and overexpressed in BL21. The antibacterial gene is composed of total 114 nucleotides which encodes the relatively small peptide of 37 amino acid residues. This gene was designed to make a fusion protein with glutathione-S-transferase in response to the addition of IPTG. The total proteins from the cell extract were separated by SDS-PAGE and the overexpressed fusion protein was detected at the right positon in terms of its molecular weight. The fusion protein was also purified by use f the affinity column chromatography technique with the resin in which glutathione was cross-linked to 4% agarose bea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