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목뿌리 형태에 따른 토석류 저감효과 분석 기초실험

        탁원준(Won Jun Tak),전계원(Kye Won Jun)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5 Crisisonomy Vol.11 No.4

        본 연구에서는 산지에서 주로 발생하는 재해 중 하나인 토석류 재해를 저감하기 위한 방법으로 수목의 여러 공학적 기능 중 뿌리가 가지는 사면안정에 관한 현상에 착안하여 ‘어떠한 형태의 뿌리가 토석류 저감에 더 효과적인가?’를 실험으로 분석하기 위해 수목뿌리 모사모형을 제작하고 토석류 실험에 적용하여 발생하는 토석류량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수목을 활용한 실험에서 수목을 활용하지 않은 토석류발생 실험보다 더 적은 양의 토사량이 발생되었으며 천근성 수종의 모형보다 심근성 수종의 모형이 저감 효과가 더 뛰어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같은 형태의 모사모형에서는 가지근의 개수가 많은 형태가 더 저감효과가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forms of roots are more effective in reducing debris flow?` based on the tree roots` function of slope stability among their engineering functions to reduce disasters from debris flow, which is one of disasters taking place in mountainous area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made simulated models of tree roots and compared debris flow taking place in simulated debris flow experiments. As the result, it turned out that experiments using trees had less debris flow than the ones without trees and the model with deep-rooted tree species had better reduction effect than the one with shallow-rooted tree species. In addition, in a same simulated trees miniature model, the form with more root branches had better reduction effect than the one with less root branches.

      • KCI등재

        소형 위성용 소형직류모터를 이용한 분리장치

        탁원준(Won Jun Tak),조재욱(Jae Uk Jo),이민수(Min Soo Lee),김병규(Byungkyu Kim) 한국항공우주학회 2010 韓國航空宇宙學會誌 Vol.38 No.8

        본 논문에서는 위성 본체에 장착된 탑제체를 위성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비폭발식 분리 메커니즘을 제안하였다. 작동기로서 경제적이고 신뢰성 있는 유성기어가 통합된 소형 직류모터를 채택하였다. 제안된 분리장치는 별도의 지그나 구조물 없이도 재장전이 용이 하도록 하였으며, 단순한 구조로 제작이 수월한 장점이 있다. 완성된 분리장치는 분리반응속도 측정시험, 최대분리가능하중 측정 시험, 최대발생충격 측정 시험을 통하여 그 성능을 입증하였고, 진동시험, 열진공 시험을 통하여 우주 환경에서 사용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개발된 인공위성용 비폭발식 분리장치를 통하여 그동안 사용되었던 폭발식 분리장치 등의 해외위성용 분리장치를 대체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paper describes development of a non-explosive separation device which can be equipped on small satellites. The spur geared micro DC motor, which has high reliability and advantage of price, is adopted as an actuator. The proposed separation device has resettability and it does not need extra jig to reload. In addition, the simple structure makes it easy to fabricate and assemble. To verify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device, the response time tests, maximum preload tests and maximum shock level tests were performed. Also, through the vibration tests and thermal vacuum tests, feasibility of the proposed separation device was shown in launching and space environments. Therefore, we expect that the proposed separation device can replace the imported separation devices in near future.

      • KCI등재

        GIS기법을 활용한 산악지역 자동우량경보시설 기준설정

        김영환(Kim Young hwan),탁원준(Tak Won jun),전계원(Jun Kye won) 한국방재학회 2018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8 No.1

        산지하천에서 발생하는 돌발홍수는 짧은 시간에 높은 수위의 홍수파를 형성하여 많은 인명피해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지역조건에 적합한 돌발홍수 예·경보 시스템과 강우경보발령 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GIS를 이용하여 강우-유출모형을 구축하고 산지하천에서 인명 피해를 발생시킬 수 있는 0.50 m의 수심을 한계유출고로 결정하여 산지하천에서의 한계유량을 Manning공식으로 산정하였다. 또한 유역에서의 첨두유량은 산악지형의 특성을 잘 반영할 수 있는 지형학적 순간단위유량도의 매개변수와 지형적인 특성을 이용하여 유효우량을 산정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유역인 태백산 백천계곡의 한계유출고가 0.5 m일 때 한계유량은 제1경보국에서 10.9㎥/s, 제2경보국에서 10.2 ㎥/s로 나타났다. 이 때의 경보발령 우량은 제1경보국에서 13 ㎜ (경보발령), 14 ㎜(대피발령1), 15 ㎜(대피발령2)로 나타났고, 제2경보국에서 12 ㎜(경보발령), 13㎜(대피발령1), 14 ㎜(대피발령2)가 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Flash floods that occur near mountainous streams can cause huge losses of life they form high-level flood waves within a short period. Such areas are required to secure the systems for flash flood forecasting/warning and rainfall alert that take into consideration the local conditions. In this respect, the study built a rainfall-runoff model using GIS and used the Mannings equation to calculate the trigger runoff in the stream channel, where the runoff threshold depth that can cause losses of life at the mountainous stream area is determined as 0.5 m. Regarding the peak flow at the basin, the study calculated the available rainfall by using the area’s topographic characteristics and Geomorphologic Instantaneous Unit Hydrograph (GIUH) parameters, which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mountainous areas well. In the study basin, the Baekcheon Valley at Mt. Tabaek, the trigger runoff was 10.9 ㎥/s and 10.2 ㎥/s, respectively, at Warning Station No. 1 and Warning Station No. 2, for 0.5 m of the runoff threshold depth. In this condition, the optimal estimation scale of rainfall depth for alert issue was 13 mm (warning), 14 mm (evacuation stage 1), and 15 mm (evacuation stage 2) at Warning Station No. 1, while 12 mm (warning), 13 mm (evacuation stage 1), and 14 mm (evacuation stage 2) at Warning Station No. 2.

      • KCI등재

        2차원 수치모델링을 이용한 은행천 신설수로 건설에 따른 홍수저감효과 분석

        백무평(Moo Pyung Baek),탁원준(Won Jun Tak),전계원(Kye Won Jun),장창덕(Chang Deok Jang)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7 Crisisonomy Vol.13 No.8

        우리나라의 기후는 강우가 여름철에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특징이 있다. 이는 홍수기의 하천 수위가 크게 증가하여 재해를 발생시키는 요인과 급속도로 진행되는 도시화 현상의 영향으로 자연적인 배수능력이 저하되어 도시 홍수저감 능력이 감소됨에 따라 재해의 규모가 커질 수 있다. 이에 본 연구 에서는 경기도 시흥시에 위치한 은행천의 상습침수 구간 및 도심지 구간에서 홍수 시 수위상승에 따른 침수피해 발생가능성이 높아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은행천 신설수로의 구축을 가정하여 RMA-2 모형을 이용해 하천 수치모델링을 실시하였다. 은행천의 신설수로 설치 전과 설치 후의 하천수리특성 분석을 통해 신설수로가 설치되는 구간의 유속분포, 편수위, 수충부 및 사수역 등의 특성을 규명 하고 신설수로의 구축이 하천에 미치는 영향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신설수로 설치시 하천의 홍수 저감효과에 대해 제시하였다. The climate of South Korea is characterized by concentrated rainfall during summer. This tends to increase water level rapidly during the flood season, which could lead to disasters. Rapid urbanization lessens the natural drainage and flood mitigation capacity in the city, which may increase the scale of the disaster. This study focuses on the urban centers and the areas in Eunhaengcheon stream where frequent inundations have been reported since they are vulnerable to excessive water level increase during the flooding season. In this regard, under the assumption that a new channel is installed at the stream as a safeguard against flooding, the study conducted numerical river modeling by using the RMA-2 model. The study also compared the hydraulic characteristics before and after the installation of the new channel at the stream to identify the related details such as flow rate distribution, super-elevation, water impact area and dead zone. It then analyzed the impact of the new channel installation on the river along with its flood mitigation effect.

      • KCI등재

        소형 위성용 비폭발식 저충격 분리장치

        박현준(HyunJun Park),탁원준(WonJun Tak),한범구(BumKu Han),곽동기(DongGi Kwag),황재혁(JaiHyuk Hwang),김병규(Byungkyu Kim) 한국항공우주학회 2009 韓國航空宇宙學會誌 Vol.37 No.5

        본 논문에서는 위성 본체에 장착된 태양 전지 패널을 위성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새로운 개념의 비폭발식 분리 메커니즘을 제안하였으며, 구동기로서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스프링 형상의 구동기를 채택하였다. 먼저 제안된 분리 메커니즘을 구동하기 위해서 필요한 구동력을 측정하였으며, 구동하기에 적절한 구동기를 제작하기 위하여 이론적 계산을 통하여 스프링 형상의 형상기억합금 구동기를 설계/제작 하였다. 최종적으로 분리 메커니즘과 형상기억합금 구동기를 통합하고 분리 장치의 반응속도시험, 사전 하중(Preload) 시험, 충격시험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상기한 소형위성용 비폭발식 저충격 분리장치 개발을 통하여 그동안 사용되었던 선진국의 폭발식 분리장치를 대체할 수 있는 위성 부품의 국산화에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This paper describes the development of non-explosive separation(NES) device which can be equipped on a small satellite. It comprises mechanism itself and spring-type shape memory alloy(SMA) actuator. In order to design SMA actuator properly, the necessary actuation force is measured. Based on that result, SMA actuator is designed and fabricated. Finally, SMA actuator and the proposed mechanism are integrated. In order to evaluate performance of the developed NES, we carried out a response time test, preload test and shock level test. In near future, we expect to replace the imported NES device with the developed dev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