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고등학생의 성취가치와 숙달목표지향성이 학업성취와 학습활동적응에 미치는 전망적 효과

        최희철(Choi, HeeCheol),권충훈(Kwon, ChoongHoon),조흥순(Cho, HeungSo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7

        본 연구의 목적은 중고등학생의 성취가치와 숙달목표지향성이 미래 시점의 학업성취 (국·영·수)와 학습활동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청소년연구원에서 수집한 한국 아동·청소년 패널조사 2010(KCYPS 2010)의 중학생 1학년 패널조사에 참여한 2,351명 중 2차년도, 3차년도에 응답한 2,21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은 AMOS 7을 사용하였으며, 자료의 결측치 처리는 FIML 방식을 사용하여 처리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2차 시점의 학업 성취가 3차 시점의 학업성취에 대한 전망적 효과를 통제한 뒤에 1차 시점의 성취가치는 3차 시점의 학업성취에 대해 전망적 효과를 갖지 못하였다. 반면, 1차 시점의 숙달목표 지향성이 높을수록 3차 시점의 학업성취가 높았다. 둘째, 선행 시점의 학업성취와 학습 활동적응이 후행 시점의 학습활동적응에 대한 전망적 효과를 통제한 뒤에 1차 시점의 성취가치가 높을수록 4차 시점의 학습활동적응이 높았다. 반면, 1차 시점의 숙달목표지 향성은 학습활동적응에 대한 유의한 전망적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chievement value & mastery goal orientation on secondary school students academic performance & learning activity adaption in the future. Data used in this study as follow : 2,210 respondents of the second year and third year of the 2,351 respon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first grade panel survey of middle school students of KCYPS 2010 collected from the Korea Youth Development Institute conducted the research. The results of this stud yare as follows: First, After controlling for the prospective effect of the second stage of academic achievement on the academic achievement at the third stage, the mastery goal orientation at the first stage does not have a predictive effect on the academic performance of the third stage. On the other hand, the higher proficiency goal orientation at the first stage, the higher the academic achievement at the third stage. Second, The higher the achievement value at the first stage, the higher the learning activity adaptation at the fourth stage. On the other hand, the mastery goal orientation at the first stage showed no significant predictive effect on learning activity adaptation.

      • KCI등재
      • KCI등재

        아동․청소년기 자존감 다중 변화궤적과 우울

        최희철(Choi, HeeCheol),박강호(Park GangH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

        본 연구는 아동․청소년기 자존감의 다중 변화궤적의 수를 알아보고, 변화궤적이 다른 집단 간에 우울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경기교육종단연구 초4 패널의 초4학년 1차 시점에서 중2학년 5차 시점 까지 5시점의 자료를 사용하였 다. 참가자는 2950명이었다. 다중 변화궤적 분석에는 잠재성장 혼합모델이, 우울의 차이 분석에는 공변량 분석이 사용되었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자존감이 초기에 높으면서 증가하다 하락하는 패턴, 초기에 보통정도이면서 증가 하다 하락하는 패턴, 초기에 낮으면서 하락하다 상승하는 패턴, 초기에 낮으면서 급하강하다 상승하는 패턴을 보이는 4개의 변화궤적을 확인하였다. 자존감의 변화궤적은 단수가 아닌 복수임을 확인하였다. 둘째, 초기에 자존감이 높으면서 증가하다 하락하는 패턴을 보이는 집단은 다른 집단들에 비해 우울이 유의하게 낮았다. This study examined the number of multiple trajectories of self-esteem from childhood through adolescents and the mean differences in depression among the groups which show different self-esteem trajectories. This study used five waves of longitudinal dataset from the elementary school 4th grade panel of Kyounggi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Subjects were the 2850 students. The latent growth mixture model and the one-way analysis of variance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This study identified four different latent classes, such as initially high and increased, then decreased pattern, initially moderate and increased, then decreased pattern, initially low and decreased, then increased pattern, and initially low and fast decreased, then increased. The students in initially high and increased, then decreased pattern showed lower depression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e researchers suggested practical implications in counseling and education.

      • KCI등재

        초기 청소년기 자존감의 변화와 안정성

        최희철(Choi, HeeCheol)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6

        이 연구는 초등학교 5학년에서 중학교 1학년 시기의 자기존중감의 변화와 순위안정성을 알아보았다. 자기존중감의 자료는 한국 아동 청소년 패널조사 초1 패널의 5차(2014년)에서 7차(2016년)년도 시점 사이에서 추출되었다. 잠재계층 성장분석은 자기존중감의 4가지 변화궤적을 확인하였는데, 각각 고자존감 지속 집단, 보통 자존감 하강 집단, 저자존감 지속 집단, 최저 자존감 지속 집단으로 명명되었다. 자존감의 시간 경과에 따른 안정성은 상당하였으며(상관계수는 .513에서 .641임), 성격 특 성에서 발견된 안정성에 필적하였다. 6학년과 중1학년 사이의 자기존중감 안정성은 5학년과 6학년 사이의 안정성보다 낮았다. This study examined changes and the rank-order stability of self-esteem from fifth grade to seventh grade. Data of self-esteem came from 5th wave to 7th wave in the first grade panel of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KCYPS). The latent class growth analysis identified four different trajectories of global self-esteem development, presenting stable high self-esteem, moderate but slightly decreasing self-esteem, low self-esteem and very low self-esteem. Self-esteem showed substantial continuity over time (correlations ranged from .513 to .641), comparable to the stability found personality traits. Self-esteem stability was low in interval between 6th grade and 7th grade compared to interval between 5th grade and 6th grade.

      • KCI등재

        아동의 자존감과 주관적 행복(Happiness) 및 삶의 만족 간의 교차지연 효과

        최희철(HeeCheol Cho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3

        목적 본 연구는 아동을 대상으로 자존감, 주관적 행복(subjective happiness), 삶의 만족 간의 교차지연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초등학생 2607명을 대상으로 자기회귀 교차지연 모델을 적용하여 자존감, 주관적 행복, 삶의 만족 간의 교차지연 효과를 알아보았다. 자존감, 주관적 행복, 삶의 만족의 자료는 아동⋅청소년패널조사2018(KCYPS2018)의 1차년도와 2차년도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자존감이 높을수록 장래의 주관적 행복, 삶의 만족이 높았다. 둘째, 아동의 주관적 행복이 높을수록 장래의 자존감, 삶의 만족이 높았다. 셋째, 삶의 만족은 장래의 자존감과 주관적 행복을 유의하게 예측하지 못하였다. 결론 자존감과 주관적 행복의 종단적 관계는 교호적 관계를 보였으나, 자존감과 삶의 만족의 종단적 관계는 교호적이지 않았다.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cross-lagged effects among self-esteem, subjective happiness, and life satisfaction in children. Methods The Sample was 2607 elementary school’s children. The data of self-esteem, subjective happiness, and life satisfaction came from the 1st to 2nd waves in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2018(KCYPS 2018). The longitudinal cross-lagged effects among self-esteem, subjective happiness, and life satisfaction were analyz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sults The results of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showed in the followings. First, self-esteem significantly predicted subjective happiness and life satisfaction in the future. Second, subjective happiness significantly predicted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in the future. Third, life satisfaction did not predict self-esteem and subjective happiness. Conclusions Relationships between self-esteem and subjective happiness were reciprocal. Relationships between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were unidirectional which self-esteem predicts life satisfaction in the future, but not the reverse.

      • KCI등재

        청소년기 자존감 초기치, 변화율과 우울 사이의 종단적 관계

        최희철(Choi, HeeCheol)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9

        이 연구의 목적은 조건부 잠재성장 모형분석으로 청소년기 자존감의 초기치, 변화율과 우울 사이의 종단적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이 연구는 한국 아동청소년패널조사에 참여한 2351명의 청소년들 대상으로 수집된 종단자료를 사용하였다. 이 연구는 선행시점의 우울이 장래의 자존감의 초기치와 변화율을 유의하게 예측할 것이란 가설을 세웠다. 이 연구는 또한 선행시점의 자존감의 초기치와 변화율이 장래의 우울을 유의하게 예측할 것이란 가설을 세웠다. 조건부 잠재성장 모형의 적합여부는 TLI, CFI, RMSEA, SRMR으로 판단하였다. 조건부 잠생성장 모형은 자료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건부 잠재성장모형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시점에서 우울이 심한 청소년 일수록 장래의 자존감 초기치 수준이 낮았다. 둘째, 선행시점에서 우울이 심한 청소년 일수록 이후에 자존감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셋째, 선행시점에서 자존감의 초기치가 높은 청소년 일수록 장래의 우울이 낮았다. 넷째, 자존감에서 감소하는 변화율을 보인 청소년들은 장래의 우울이 높았다. 청소년기 자존감의 초치기, 변화율과 우울의 종단적 관계가 상담 및 후속 연구에 대해 갖는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s among initial level and change in self-esteem and depression during adolescence. This study used longitudinal data on 2351 adolescents from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This study hypothesized that previous depression will significantly predict subsequent intial level and change in self-esteem. This study also hypothesized that previous intial level and change in self-esteem will significantly predict subsequent dep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rough conditional latent growth curve analysis were in the followings. First, adolescents who depression was severe exhibited lower initial level in subsequent self-esteem. Second, adolescents who depression was severe exhibited increasing change in subsequent self-esteem. Third, adolescents who initial level of self-esteem was higher exhibited higher level in subsequent depression. Fourth, adolescents who showed decreasing change in self-esteem exhibited higher level in subsequent depression. The implications about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s among initial level and change in self-esteem and depression during adolescence are discussed for counseling practice and future research.

      • KCI등재
      • KCI등재

        초기 청소년기 또래애착, 자존감 및 삶의 만족의 종단적 교호적 예측력: 성별의 차이를 중심으로

        임효진 ( Lim Hyo Jin ),최희철 ( Choi Heecheol ),황매향 ( Hwang Mae Hyang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17 한국초등교육 Vol.28 No.3

        이 연구는 한국아동청소년 초4 패널자료를 활용하여 삶의 만족과 개인 내적 변인인 자존감과 환경 변인인 또래애착의 인과관계 분석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초4 시점과 중1 시점 사이의 2년 간격에서 또래애착, 자존감, 삶의 만족 사이의 종단적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자기회귀 교차지연 효과 모형을 적용한 구조방정식 모형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또래애착은 자존감과 삶의 만족을 유의하게 예측하지 못하였다. 둘째, 자존감에서 또래애착으로 가는 교차지연효과 계수는 이전 시점의 자존감이 높을수록 이후 시점의 또래애착이 높았고, 자존감에서 삶의 만족으로 가는 교차지연효과 계수는 이전 시점의 자존감이 높을수록 이후 시점의 삶의 만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삶의 만족에서 또래애착으로 가는 교차지연효과 계수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이전 시점에서 삶의 만족이 높을수록 이후 시점의 자존감이 높았다. 관련 변인들의 교호적 관계에 대한 다집단 분석을 실시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성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This study examined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among achildren`s peer attachment,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Using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tudy (KCYPS) data, we collected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responses from 5th, 7th graders. Autoregressive Cross-Lagged (ARCL) modeling was performed to test a reciprocal relationship among variables of interest. Results showed in the followings. First, cross-lagged coefficients from peer attachment to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non-significant. Second, cross-lagged coefficients from self-esteem to peer attachment and life satisfaction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and positive, reflecting that children`s self-esteem led to their peer attachment and life satisfaction in the future. Third, the cross-lagged effect of life satisfaction on peer attachmen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the cross-lagged effect of life satisfaction on self-esteem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positive. Finally, gender differences in ARCL model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 KCI등재

        다문화 가정 자녀의 아동·청소년기 자기존중감의 다중 발달궤적과 예측 요인

        임효진(Lim, Hyo Jin),황매향(Hwang, Mae-Hyang),최희철(Choi, HeeCheol)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8

        본 연구는 다문화 가정 자녀의 아동·청소년기 자존감의 다중 발달궤적의 유형을 알아보고, 발달궤적이 다른 집단, 즉 잠재 계층을 예측하는 요인들을 알아보았다. 연구를 위해 다문화 청소년 패널 연구(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MAPS)의 1차에서 6차 시점까지의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연구 대상은 총 1635명이었다. 다중 발달궤적은 잠재 계층 성장 모형으로, 잠재 계층의 예측요인들은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연구 대상의 발달궤적은 이차 곡선의 형태를 띠고 있었으며, 초기 자존감이 높은 학생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존감이 높아지지만 이러한 변화율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여 안정된 형태를 가지고 있었다. 또한 연구 대상 내에는 질적으로 구분되는 세 개의 발달궤적 유형이 나타났으며 이를 각각 저자존감 유지 집단, 중자존감 유지 집단, 고자존감 상승 후 유지 집단으로 명명하였다. 둘째, 자존감 발달궤적 유형의 소속을 예측하는 공통적인 요인으로 나타난 것은 신체 자기개념, 주관적 행복, 학업성취였으며 이들이 높아질수록 자존감이 상대적으로 높은 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아졌다. 교사, 또래지지,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이중 문화 수용 태도는 고자존감 상승 후 유지 집단에 속할 확률을 유의하게 예측하였으며, 지지 정도와 이중 문화 수용 태도가 높을수록,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낮을수록 집단 소속 확률이 높아졌다.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re existed multiple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terms of their self-esteem and investigated relevant factors predicting types of trajectories. We used 1,635 data from the 1st and 6th time points of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MAPS). The multiple developmental trajectories were identified using latent class growth model and predictors of latent class were identified using multinominal logistic regression. Results showed that first, the overall pattern of the self-esteem development was found to be curvilinear, and the student with high initial self-esteem increased but rate of change decreased as time went by. There were three qualitative different types such as low self-esteem maintenance, middle self-esteem maintenance, and high self-esteem rise/maintenance. Second, significant factors predicting class membership were physical self-concept, subjective well-being, and academic achievement. As those factors increased, the probability of being in the relatively higher self-esteem (and maintenance) groups increased. Teacher/peer support, acculturative stress, and multicultural attitude significantly predicted the probability of being in the high self-esteem rise/maintenance group. As support and multicultural attitude increased and acculturative stress decreased, the probability of being in the high self-esteem rise/maintenance increa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