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 Horn 논리 데이타베이스 시스템의 구현

        최정아(J-A Choi),최희원(H-W Choi),최동훈(D-H Choi) 한국정보과학회 1997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3 No.1

        본 논문은 컴파일 방법에 근거하여 구현한 비 Horn 논리 데이타베이스 시스템을 설명한다. 구현 시스템은 내포 데이타베이스에 비 Horn 및 순환 규칙을 포함하지 않으며 외연 데이타베이스는 비 Horn기초절(이접정보)을 포함한다. 내포 데이타베이스의 갱신과 그에 따른 재컴파일의 효율적 수행을 위해 내포 데이타베이스 표현 구조로 전역 술어 연결 그래프와 함께 규칙 리스트를 사용한다. 관계형 DB를 기반으로 하여 저장한 비 Horn 외연 데이타베이스의 저장 구조와 이에 대한 확장 관계 대수를 구현하였다. 비 Horn 외연 데이타베이스로 부터 확정 정보를 추출하는 모듈을 구현하였고, 이 모듈이 근거하는 포함 검사의 효율적 수행을 위해 개선된 단일화 알고리듬을 제시하였다. In this paper, we implement a non-Horn logic database system in compiled approach. The system does not include non-Horn and recursive rules in the intentional database but does have non-Horn data in the extensional database. The intentional database is compiled and represented in a global predicate connection graph. For efficient update and recompliation of the intentional database, the global predicate connection graph is used together with a rule list which includes the detail information on intentional database rules. The non-Horn extensional database is stored in the stroage system based on a relational database system, and is manipulated by extended relational algebra. An algorithm for deriving definite information from non-Horn disjunctive information is improved.

      • 대학생들의 건강에 대한 인식 : 의료, 비의료 관련학과를 중심으로

        김태영,양지영,이지연,이혜수,조은수,최기쁨,최희원,한보영 이화여자대학교 간호과학대학 2012 이화간호학회지 Vol.- No.46

        Purpose: This study has been done to use as basic information for health training program through surveying the perception level for health focusing on medical and non-medical students, and to compare and analyze knowledge, attitude and conduct toward health among them. Method: This study’s investigated by selecting 4 universities in Seoul to look into not only the difference for the perception level for health between medical and non-medical major but the difference of that between male and female. Sampling is 135 of medical-related university and 145 of non-medical. Analyzed by t-test using SPSS 19.0. Result: There isn’t a distinct difference among them in health behavior on the whole but medical-related students showed high score in safety education, environmental health, exercise and individual habit of hygiene. In attitude for health, it showed clear distinction in every areas. Overall, it shows remarkable contrast in knowledge for health. Medical-related students showed high score in consumer health, nutrition, weight-control, exercise and individual habit of hygiene. Conclusion: Results in comparison of the level of living, manner and knowledge level for health between medical and non-medical majors didn’t show any difference in the level of living for health and showed clear distinction in attitude and knowled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