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동기의 부적응행동 : 판별 준거와 유형

        최학주 한국초등교육학회 1994 초등교육연구 Vol.8 No.1

        이 연구는 부적응행동에 관한 개념을 그 판별 준거를 중심으로 정의하고 아동기에 흔히 나타나는 부적응행동의 유형을 정리하여 아동 생활지도를 맡고 있는 학급교사에게 도움을 주려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부적응행동과 같거나 유사하게 쓰이는 용어들에는 여러 어휘들이 있지만, 이것들은 사용하는 이들의 학문적 선호 경향, 관심의 범위, 종사하는 분야에 따라 조작적으로 선택한 것에 지나지 않기 때문에 사실상 같은 의미로(interchangeably) 통용되고 있는 것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내세우는 가정이나 준거에 따라 부적응행동의 준거는 다양할 수 있으나 대체로 그 판별 준거를 종합하여 부적응행동을 정의하면, "부적응행동이란 한 문화권에서 비슷한 연령단계의 대부분이 취하는 평균적인 행동이나 사고에서 벗어나되 좋지 못한 쪽으로 크게 벗어난 행동이 자주 그리고 계속성을 띠고 나타나므로써 개체의 심신의 안정에 장애를 주거나 집단 또는 타인에게 부정적으로 지각될 수 있는 행동"을 말한다.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classroom teachers, who guide and counsel children, by defining the concept of "maladaptive behavior" frequently observed in childhood in light of the various defining criteria and by describing the types of maladaptive behaviors. I first attempted to define "maladaptive behavior" through reviewing the meanings and the uses of the similar terms describing maladaptive behaviors and through the behavior-mechanistic explanation based on the Adaption Procedure Model. There are a variety of terms describing inappropriate behaviors which can hardly be acceptable in a given social milieu, such as mentally disturbed behavior, behavior disorder, dysfunctional behavior, deviant behavior, irrational behavior, problematic behavior (behavior problem), abnormal behavior, maladaptive (maladjusted) behavior, and exceptional children. However, there is a need to understand that these terms have, in fact, been interchangeably used in many cases, as they have been operationally chosen by the users for their academic preference, interest, or working field. Statistical criteria, ideal mental health criteria, and practical (clinical) criteria were employed as defining criteria for maladaptive behaviors and biogenic model, psychoanalytic model, humanistic model, behavioral model, existential model, cognitive model, and cognitive-behavioral model were proposed to explain the etiology of maladaptive behaviors. Based on the proposed defining criteria, maladaptive behaviors are defined as behaviors: (1) deviant from the average behaviors of people at similar ages in a given culture, (2) depart far from the norm toward the undesiable direction, (3) occurred frequently and continuously, (4) detrimental to the individual's mental and (or) physical health, and (5) viewed negatively to others or a group. The types of maladaptive behaviors observed in childhood are classified largely as academic problems, emotional and personality problems, and problems in social relations. However, these problems are manifested generally in a mixed form rather than in a distinctive form.

      • 初等教員 資格制度論

        崔鶴柱 공주교육대학교 초등연구원 1988 公州敎大論叢 Vol.24 No.-

        이 硏究는 教員 資格制度의 意義 • 位相 • 機能과 性格 • 檢定方法 둥의 理論的 고찰을 통하여 교원 자격제도의 原理를 탐구하고, 우리 나라 初等教員 資格制度의 變遷과 現況을 概括하고 分析 함으로써 교원 자격제도의 원리에 비추어 본 問題點을 진단하고 그 改善方向을 声索한 것이다. 硏究의 편의상 初等教員 중에서도 學級 教師에 限定하였고, 주로 新規 資格制度만을 다루었다. 硏究方法으로는 순수한 文獻硏究 方法을 사용하였다. 教員 資格制度란 교원으로서 갖추어야 할 資質을 法的 (또는 行政的 ) 으로 認定하는 制度이며, 교원 자격을 行政的으로 인정하는 제도를 資格檢定制度라고 한다. 現代 國家들의 대부분은 교원 임용에서의 資格法定主義 또는 資格任用主義를 채택하고 있는 바, 이는 1) 被教育者의 이익을 보장하고, 2) 국가•사회의 安全性을 보장하며, 3) 教師 자 신의 地位를 보장하기 위하여 필요한 것으로 認識되立 있다. 교원의 資格檢定 체제는 教育人事行政의 諸 過程 혹은 要素에서도 대 단히 중요한 위치를 차지 하고 있는데, 이는 良質의 교원을 확보하고 공급하는 最後의 保壘的 성격을 띠고 있기 때문이다. 資格檢定體制는 교육인사행 정의 다른 體制들보다도 훨씬 相互連鎖的 關聯性을 많이 띠고 있는데, 교원의 養成體制•學校에서의 교원 組織體制•任用體制와의 相互連鎖的 관련성이 깊다. 그러기 때문에 , 教員資格制度의 論議에서는 자격제도가 갖는 相互連鎖的 位相을.고려하여야 하며, 政策 的•行政的 계획이나 시행에서도 마찬가지로 배려되어야 한다. 교원 자격제도에 관한 理論的 考察을 통하여 정리된 教員 資格制度의 原理들은 다음과 같다. (1) 교원 자격 제 도는 教員으로서의 資質을 檢定하는 제 도이 다. (2) 교원 자격제도에서의 教師 資質은 교사에게 요구되는 最低 水準을 가리킨다. (3) 교원 자격제도는 專門職으로서의 社會的 公信力을 가져야 하고, 또 높일 수 있게 運 用되어야 한다. (4) 교원 자격제도는 교원의 養成 • 組織 構造 • 任用과의 相互連鎖的 開聯에서 계획 • 운용 되어야한다. (5) 교원 자격은 任用의 要件이며,나아가서는 교원의 能力發展과 士氣에도 관제된다. (6) 교원 자격제 도는 合法性에 기초를 두고 있다. (7) 교원 자격제도는 궁극적으로 학생의 教育權에 강조를 두어야 한다. 우리나라에서의 初等教員 資格制度의 변천과정은 養成制度의 변천과정과 直結된다. 그것은 ^ 성과정을 마치기만 하면 서류심사만의 無試験檢定으로 資格證을 주어 任用해왔기 때문이다. 解 放後 1962年까지는 高等學校 수준의 師範學校에서,1962 년 이후에는 專門大學 수준의 2年制 教育大學에서,그리고 1981年 (1981 —1984) 부터는 4年制 教育大學에서 초등교원을 양성해 왔 으나,急増하는 교원 수요에 충당하기 위하여 正規 양성기관 수준에 못미치는 學歷 所有者를 대 상으로히는 臨時初等教員養成所를 설치•운영하기도 하였다. 1940年代 후반이나,50年代에 비 하면 오늘날의 初等教員의 資質은 현저하게 向上되었고, 상대적으로 초등교원 자격증의 社會的 公信力노 많이 높아졌지만, 資格制度 그 자체의 改善은 별로 進展되지 못하였기에, 오늘와 時點 에서 그리고 未來 發展的 관점에서 보면 改善해야 할 문제점들이 많이 있다. 教員 資格制度의 原理, 先進諸國의 제도와 世界的 趨勢 등에 비추어 본 우리나라'初等教員 資 格制度의 問題點과 改善方向을 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초등교원의 자격기준이 多元化되어있고 그 體系性이 不足한 바, 2級 正教師의 경우 「4年制 教育大學 卒業』으로 一元化시키고,2年制 教大- 졸업 생의 배출 개시연도인 1964年 이후 자격취득자의 學歷을 學士학위로 끌아올리도록 적극적인 시책을 강구한다. 그러기 위하여 는,현재 教育大學에 設置 • 運營되고 있는 夜間制 및 季節制 編入學을 적극 유도하고, 이 課程 을 마친 현직교원들에게는 小福으로나마 身分上의 혜택을 주도록 배려한다. 따라서 新規 자격으 로서의 准教師 직급은 폐 지되어 야 한다. 2 級正教師 자격 기 준 중 여 타의 항목들은 4年制 教大 졸업 수준에 상응하도록 整備되어야 한다. (2) 현행의 교원자격체계는 2正一 1 正一校監一校長으로 이어져 있어 教師로서의 專門性 심화를 유도하지 못하고, 昇進 욕구도 채워주기 어렵게 되어있는 바,이는 教員 組織 構造를 分 化시켜 職級을 分化시키는 方向으로 改善되어야 한다. 教援活動職列과 經營 • 管理職列을 二元化 하여 1 正 資格 以上의 上位 資格을 두 단계쯤 新設하는 것이다. 아울러 水平的으로도 教科담당자격제도나 學年水準의 담당 자격제도도 검토 • 도입되어야 한다. (3) 현행 자격제도로는 質的 統制가 未洽한 바, 現行의 養成에 의한 자격 인정 체제를 푯간 으로 하되, 어학 및 교육기본과목에 한하여 全國 水準의 시험제•도를 첨가하여 補完하도로 한다. 이 때의 시험 관리는 文教部가 아닌 自律的 전문기꾸, 예컨대 대학교육협의회의 산하기辛에서 맡도록 할 것을 提案한다. (4) 質的 統制 장치 의 하나로 修習教師제도의 도입이 필요하다. (5) 教育改革審議會가 提案하고 있는 師道獎學金제도案 중에서 자격검정 방법의 차별안은 바람직하지 않다. (6) 교원 자격증의 有效期間이 終身制로 되어있는 바, 이는 部分的으로 修正되어야 한다. 자격증 효력의 계속적인 認定은 教職에 奉職하고 있는 限에서만 認定하고 離職했을 경우에는 교직 空白期間 계속 5年 경과후에 實效되도록 한다. (7) 현행의 상급자격 취득 요건으로서의 法定 자격기준과 實際와의 틈을 좁히기 위하여는 3年 이상의 교육경력을 5년 이상쯤으로 늘리는 것이 좋을 것 같다. 이상으로 要約해보았으나, 초등교원 자격제도의 改善은 어디까지나 교원 자격제도가 갖는 本 質的인 意義 • 機能。原理에 바탕을 두고 우리의 教育 與件을 고려하면서 점진적인 구조 변경을 摸索해야 할 것이다. 資格體制와 相互連鎖性을 띠는 다른 體制들과의 調和, 中等教員 자격체제 와의 衡平,그리고 教育專門職列들의 자격체제와의 .均衡 등이 동시에 고려되는 政策 開發이 았 어야 할 것으로 본다. 끝으로,어떤 資格制度라도 그것이 궁극적으로는 學生의 教育權을 伸張시키는데 긍정적인 기 여를 할 수 있지 않으면 안된다는 命題에 부합되는 것이라야 한다. 이 硏究는 엄밀히 말하여. 초등교원 資格制度의 合理的 改善을 위한 基礎硏究의 性格이 강하다. 보다 具體化되고 深化된 硏究가 後續되기를 期待한다.

      • KCI등재

        꾸지뽕나무 추출물의 피부 생리 활성

        최학주,김청택,도민연,랑문정,Choi, Hak Joo,Kim, Cheong Taek,Do, Min Yeon,Rang, Moon Jeong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2015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ol.32 No.2

        본 논문은 한국과 중국에서는 전통 한방약재로 오랫동안 사용된 꾸지뽕나무(Cudrania tricuspidata)의 잎, 줄기, 뿌리부분의 에탄올추출물의 물, 에탄올, 에칠아세테이트 용해성 분획물에 대한 피부 생리활성에 관한 실험결과이다. 대식세포인 macrophage(RAW 264.7 cell)에 대하여 이들 분획물들의 nitric oxide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 분비 억제효과를 검토한 결과, nitric oxide 생성 억제에는 잎부위의 에칠아세테이트 분획물과 에탄올분획물이,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1{\beta}$ 생성 억제에는 모든 분획물들이 효과가 있고,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6 생성 억제에는 잎, 줄기, 뿌리부위의 에칠아세테이트 분획물들이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흑색종세포인 melanoma cell(B16-F10 cell)에서 멜라닌 생성억제효과를 측정한 결과, 잎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처리에서만 유의성 있는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주름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인체 정상 피부 섬유아세포( CCD986sk cell)에 대하여 콜라겐의 합성 촉진 효과를 측정한 결과. 잎, 줄기, 뿌리부위의 물 분획물과 잎, 줄기의 에탄올 분획물에서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를 보였다. This paper has shown the experimental results about the physiological activities of water-, ethanol-, ethyl acetate-soluble fractions from ethanolic extracts of leaves, stems and roots of Cudrania tricuspidata on the skin, which has been used for a long time as a traditional herb medicine in Korea and China. The effects of these fractions on the secretion of nitric oxide and cytokines from macrophage(RAW 264.7 cell) exhibited that the ethyl acetate and water fractions from leaves inhibited the release of nitric oxide, all fractions inhibited thoses of inflammatory cytokine $IL-1{\alpha}$, and the ethyl acetate fractions of leaves, stems and roots inhibited thoses of inflammatory cytokine IL-6. The only ethylacetate fraction of leaves demonstrated significantly the reduction of melanin synthesis in melanoma cells. In order to evaluate the efficacy of collagen synthesis, the treatment with extracts on the human normal fibroblast cell(CCD-986sk cell) resulted in finding that the water fractions of leaves, stems and roots and the ethanol fractions of leaves and stems showed the increased synthesis of collag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