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에 동반된 우울증상의 치료에 관한 Mirtazapine의 효과와 안정성에 대한 개방 연구

        최하나(Hana Choi),임현국(Hyun Kook Lim),이철(Chul Lee),이창욱(Chang Uk Lee) 대한노인정신의학회 2009 노인정신의학 Vol.13 No.1

        Depression is one of the most devastating behavioral symptoms in demented patients but there is little evidence about effective and safe pharmacotherapy. We aimed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and safety of mirtazapine in treatment of depressed patients with Alzheimer's disease (AD). The consecutive patients with AD who have significant depression were assigned to an 8-week open-label, prospective study. Patients received mirtazapine 15-45 mg/day. The changes in Hamilton Depression Rating Scale (HAM-D) scores were primary outcome measurement. The change in Clinical Global Impression-Severity scale (CGI-S) scores and tolerability-safety profile were the secondary efficacy variables. Thirty-two out of 38 (84.2%) patients completed the study. There was a significant reduction in HAM-D and CGI-S between the pre- and post-treatment with mirtazapine (p<0.01). There was no significant side effect and cognitive deterioration. The results of this open-label pilot study suggest that mirtazapine may be an effective choice for treatment of depressed patients with AD.

      • 보육교사의 소명의식과 회복탄력성이 심리적소진에 미치는 영향

        최하나(HaNa Choi),안지혜(JeeHye Ahn) 한국아동중심실천학회 2022 아동중심실천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소명의식, 회복탄력성, 심리적소진 간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고, 소명의식과 회복탄력성이 심리적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J 지역의 보육교사 21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대상의 특성과 각 변인 간 관계파악을 위해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보육교사의 소명의식은 심리적소진과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회복탄력성 또한 심리적소진과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소명의식과 회복탄력성은 심리적소진에 유의한 부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인 대인관계능력, 긍정성은 부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보육교사의 심리적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소명의식과 회복탄력성을 증진시켜 심리적소진을 감소를 위한 개인적 차원의 노력과 사회적 차원의 지원을 모색하는데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hildcare teachers' calling and resilience on psychological burn-out.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f 218 childcare teachers in the area of J.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by using the SPSS WIN 27.0.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hildcare teachers' calling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psychological burn-out, and resilience was also negatively correlated with psychological burn-out. Second, childcare teachers' calling and resilience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psychological burn-out, and interpersonal ability and positivity, which are sub-factors of resilience, were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improve calling and resilience that affect psychological burn-out of childcare teachers, and to seek individual efforts and social support to reduce psychological burn-out.

      • 영상 데이터 분석 기반의 원격 동공반응 검사에 관한 연구

        김민중(Minjung Gim),최하나(Hana Choi) 한국통신학회 2022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2 No.2

        본 논문은 적외선 카메라와 같은 특수 장비 없이 일반 스마트폰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에서 원격 동공반응 검사를 위한 영상처리 기법을 소개한다. 학습 없이 영상 데이터 분석을 이용하여 빛에 의해 변화하는 동공 크기를 측정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또한, 영상의 프레임의 연속성을 이용하여 기존 알고리즘을 보완한 방법을 제시하고 각 프레임에서 측정된 동공크기를 기록하고 노이즈를 제거하여 동공 크기 변화를 시각화한 결과를 소개한다. 본 연구는 COVID-19 로 비대면이 일상화되고 원격 진단 수요가 증가하는 상황에서 객관적인 원격 동공반응 검사의 지표 마련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시선 이동 모델링 예제가 초등학생들의 그림자 개념 형성에 미치는 효과

        양일호(Ilho Yang),최하나(Hana Cho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4

        목적 이 연구는 시선 이동 모델링 예제(EMME)가 초등학생들의 그림자 개념 형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그림자 형성을 위한 개념 학습용 EMME를 제작하여 초등학교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적용하고 사후 검사와 3주 후에 지연검사를 실시하였다. EMME의 적용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통제집단을 선정하여 EMME가 제시되지 않은 동영상 학습을 한 후, 실험집단과 동일한 검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사후 검사에서는 과제1에서 광원에 대한 시선 고정 시간 및 시선 고정 횟수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반면, 과제2와 3에서는 광원에 대한 시선 고정 시간 및 시선 고정 횟수에서 평균의 차이는 있었으나 유의미하진 않았다. 또한 개념 이해도는 두 집단 간에 차이가 없었다. 지연검사에서는 3가지 과제 모두에서 광원에 대한 시선 고정 시간 및 시선 고정 횟수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그리고 개념 이해도에서는 두 집단 간에 통계적인 차이가 없었다. 결론 EMME가 그림자 개념 형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장기적으로 광원에 대한 시선 주의를 유도하는데 효과적이라고 결론을 내릴 수 있다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eye movement modeling examples (EMME)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mation of the concept of shadows. Methods An EMME for concept learning in shadow formation was developed and applied to third-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Post-tests were conducted immediately after the application, and delayed tests were conducted three weeks later. To compare the effects of EMME application, a control group was selected and underwent video-based learning without the presentation of EMME. They also underwent the same tests as the experimental group. Results In the post-te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otal fixation duration and fixation count for the light source in Task 1. However, in Tasks 2 and 3, although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average total fixation duration and fixation count for the light source,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dditionally, there was no difference in concept understanding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delayed tes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total fixation duration and fixation count for the light source in all three tasks. Furthermore,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conceptual understanding. Conclusions Although EMME did not have an impact on the formation of the concept of shadows, it can be concluded that it is effective in inducing long-term gaze attention to the light sour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