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양자간 명의신탁 부동산의 처분과 사해행위

        최춘식 ( Choonsik Choi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2

        이 논문은 양자간 부동산 명의신탁에 있어서 책임재산의 귀속 문제를 다루고 있다. 이를 위해 관련되는 대법원 판례와 학설을 검토하고, 그에 따른 새로운 법리를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에 이르게 되었다. 첫째 명의신탁자와 명의수탁자 중 누구의 책임재산인지를 파악하는 함에 있어서는 명의신탁의 내부적 소유관계에서가 아니라 외부적 소유관계에 따라 파악하여야 한다. 따라서 명의수탁자의 책임재산이라고 하여야 하고, 이는 모든 유형의 명의신탁에 적용될 수 있다. 둘째 명의신탁 유형에 따라 책임재산의 귀속관계를 다르게 파악한다면, 신탁자로 하여금 채권자 취소권을 회피할 수 있는 명의신탁을 하도록 조장함으로서 결과적으로 사법부와 법률에 대한 국민의 신뢰를 저하시킬 것이다. This paper examine with the issue of imputation of liability property in bilateral real property registry title trus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Supreme Court precedents and theories and to suggest new legal principle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identification of liability property of title truster or trustee should be based on the external relation of ownership, not the internal relation of ownership of the trust. Second, if the trust relationship is identifi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type of title trust, it will encourage the truster to take the type of avoidance of obligee’s right of revocation, as a result, it will lower public confidence in the judiciary and the law.

      • KCI등재

        앙드레 바쟁의 몽따쥬 비판

        최춘식(CHOI, Choon-Sik) 한국프랑스문화학회 2002 프랑스문화연구 Vol.7 No.-

        En dépit beaucoup de critiques, il est évident que la théorie réaliste d’André Bazin est l’étude sur le cinéma lui-même et l’effort par lequel on explore l’essentiel du cinéma. La réalisme d’André Bazin n’est pas un principe absolu d’esthétique mais une point de vue trouvée au cours de l’évolution des styles cinématograiques. André Bazin a souligné le style de mise-en-scène et de profondeur du champs en même temps, qui font des spectateurs les véritables interprètes. En conséquence, grace à Bazin, l’étude sur le cinéma, qui a concentré auparavant ses forces pour expliquer les relations entre le cinéma et le réalité, tourne ses efforts vers l’élucidation des relations entre le cinéma et le spectateur.

      • KCI등재

        무권대리인의 공증촉탁과 집행증서의 효력

        최춘식 ( Choonsik Choi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2

        본 연구는 무권대리인의 촉탁에 따른 집행증서의 효력을 살펴보고, 향후 체계적 논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기존의 통설과 판례에 대한 문제점을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증인의 집행증서 작성행위는 당사자의 공증촉탁과 공증인의 행위가 결합되어 있고, 이는 제소전 화해와 유사한 성질을 가지고 있다. 둘째, 집행수락의 의사표시는 채무자의 공증인에 대한 단독적 의사표시가 아니라, 당사자의 공증 촉탁행위에 내포되어 있는 의사표시이며, 공증인은 단지 이를 확인하는 것에 불과하다. 셋째, 공증제도가 갖는 공익적 성격에 비추어, 집행증서의 성립은 엄격한 요건하에 인정되어야 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집행증서의 효력 문제에 대한 논의가 보다 체계적이고 심도있게 논의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execution certificate according to the entrustment of an unauthorized agency, and to suggest a systematic discussion direction in the future. To do this, this study focused on the problems related to the popular opinion and supreme court prece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notary’s act of writing an execution certificate is a combination of the party’s request for notarization and the act of a notary, which has similar properties to reconciliation before sue. The expression of acceptance of execution is not the sole expression of will of the debtor's intention to the notary, it is an expression of intention that is implied in the act of entrusting a party to notarize, notary public is just confirming this. Third, in view of the public interest nature of the notary system, the establishment of an execution certificate must be recognized under strict requirement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n the future hope that discussions on the validity of the execution certificate will be discussed more systematically and in depth.

      • KCI등재후보

        프랑스식 필름 느와르, 필름 폴리시에

        최춘식(CHOI Choon-Sik) 한국프랑스문화학회 2010 프랑스문화연구 Vol.20 No.-

        Théoriquement le terme film noir était cherché et inventé en France pendant les années 1940 et on a même la conviction que le premier film noir était <Le jour se lève(1938)> de Marcel Carné qui implique beaucoup d'éléments du réalisme poétique. Film policier est un terme-valise qui renvoie à la criminalité genre du thriller du cinéma français, souvent dans le contexte du trench coat portait gansters et dur, le vieillissment des inspecteurs de police. La polaire est une espèce particulière de policier qui implique un mystère central. Le film policier développé dans le cinéma français depuis les premières tentatives pour émuler film noir américain dans les années 1940. Ce genre s'est popularisé à partir du cinéma américain des années 1940, adoptant souvent l'esthétique du film noir. Et ce genre etait au sommet de sa popularité entre des années 1950 et des années 1960 à l'apogée de la Série Noire. Pusieurs films policiers dépassent les 500,000 entrées et le style série noire continue. En conséquence, on est sûr que la prospérité de ce genre a une relation avec l'évoulution de la Série Noire en France.

      • KCI등재

        유체동산 가압류와 시효중단

        최춘식(Choi, Choon Sik) 인하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法學硏究 Vol.23 No.1

        압류, 가압류, 가처분은 대표적인 소멸시효 중단사유이다. 이 중 가압류는 금전채권을 보전하기 위한 집행보전처분이므로 시효중단 조치로서 실무상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다. 가압류와 시효중단 문제에 있어서 쟁점은 2가지이다. 첫째 가압류는 가압류 결정절차와 집행절차가 서로 분리 되는 바 언제 시효가 중단되느냐 하는 점이다. 특히 유체동산 가압류의 경우는 채권자의 집행신청이 있지 않으면 집행이 착수되지 않으며 집행신청 기간도 정해져 있고, 이를 도과한 경우 가압류명령은 집행력을 상실하게 된다. 이에 유체동산 가압류에 따른 시효중단 시점은 가압류 명령신청시인지, 아니면 집행신청시, 집행착수시, 집행종료시인지 여부가 다투어지는 것이다. 둘째 가압류가 집행되어 소멸시효가 중단되었다면, 가압류 집행종료시부터 다시 소멸시효가 진행하는지, 아니면 가압류 집행 자체가 취소된 때로부터 시효가 진행되는지 여부이다. 이에 대하여 우리 판례는 가압류가 집행되어 효력이 발생하고 있으면 그 기간동안은 새로이 시효가 진행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가압류 집행종료와 효력발생 기간은 서로 다른 개념이며, 또한 가압류 효력발생 기간과 시효중단의 문제는 차원을 달리하는 것이어서 이 판례에 대하여 상세히 검토하였다. Seizures, provisional seizure, and injunction are representative reasons for suspension of the extinctive prescription. Among them, the provisional seizure is most commonly used as a reasons of in practice in order to preserve monetary claim. There are two issues on the issues provisional seizure and suspension of the extinctive prescription. In the first, a provisional seizure is divided into a provisional seizure decision procedure and execution procedure. Therefore, the time of suspension of the extinctive prescription is a problem. Particularly, in the case of corporeal movables provisional seizure, it cannot be executed without the creditor’s request for execution. In addition, the application period is fixed, and if it is exceeded, execution power is lost. As a result, it is debated whether the suspension of the extinctive prescription is at the time of application, or at the time of execution application, execution start, or execution termination. In the second, if suspension of the extinctive prescription, whether or not the extinction prescription proceeds from the end of the execution of the flow, or if the execution of the flow is canceled. The precedent on this issue is that if the provisional seizure is enforced, the extinctive prescription is suspended. However, the termination of the provisional seizure execution and the effective period are different concepts, and they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so this precedent has been examined in detail.

      • KCI등재

        프랑스 필름 느와르의 여성 혐오 연구

        최춘식(CHOI Choon-Sik) 한국프랑스문화학회 2008 프랑스문화연구 Vol.17 No.-

        Depuis le milieu des années cinquante, les romans français de ≪Série noire≫ commencent à avoir du succès auprès du public, et les films réalisés à partir de la littérature noire se multiplient dans l'Hexagone. Les roman de Giovanni et de Pierre Lesou et le film de Melville restent un exemple représentatif, surtout réussi, du courant. Avec Bob le flambeur, un film de gangsters qui ne ressemble pas aux ≪Série noire≫ alors réalisés à la chaîne, Melville inaugure une ligne qui lui est personnelle : des films moraliste désabusé, qui exaltent une image qui serait désuète si elle ne composait une mythologie de la virilité et des sociétés d'hommes. Notre étude part de l'hypothèse que les film noir de Jean-Pierre Melville gardent la conscience du mépris viscéral pour la femme, qui est connu comme l'aspect unversel dans le film noir américain. Alors on a constaté qu'il y a quatre type du mépris viscéral pour la femme dans les films de Melville ; 1) L'insulte symbole et l'élimination de la femme noire dans la narration de Le Doulos 2) La garde de la distance en femme noire dans Le Deuxième Souffle 3) L'absence de la femme dans l'univers de personnage masculin qui est une des caractéristiques le plus marquantes de Le Samourai 4) Le fétichisme ou la valeur d'échange dans Le Cercle Rouge Tout en reprenant les éléments de l'archétype du film noir américain, Melville n'en laisse pas moins sa signature en tant qu'auteur. Il occupe une place unique dans le film noir français. La mise en scène créative des personnages rend original l'oeuvre de Melville.

      • KCI등재

        공유 부동산의 사용·수익에 관한 연구

        최춘식(Choi, Choon Sik) 한국법학원 2013 저스티스 Vol.- No.134

        공유물의 사용수익에서 발생하는 문제에 대한 논의는 다른 공동소유의 형태인 총유, 합유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다. 이는 어떠한 물건이 다수의 이해관계 대상이 된다고 하더라도 공동의 목적이 뚜렷하고 일정한 목적을 위해 존재하는 것이라면 이는 공유관계가 아니라 조합 또는 비법인 사단에 관한 규정이 적용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공유물의 사용·수익에 있어서 관리행위의 한계는 분명히 해 둘 필요가 있다. 이는 민법이 공유물에 대한 행위유형으로 보존행위, 관리행위, 처분 또는 변경행위라는 3가지 유형을 인정하면서 그 각각의 행위유형 별로 행사요건에 차이를 두고 있기 때문이다. 만약 적법한 관리행위로 인정되기 위한 요건을 충족하지 못할 경우 그 행위는 공유자들 사이에 무효일 뿐만 아니라 대외적으로도 무효가 되어 제3자는 불측의 손해를 입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 문제에 대하여 기존의 판례는 과반수 지분권을 가지고 있는 공유자의 횡포를 거의 방치하고 있는 실정이다. 즉 과반수 지분권자는 다른 지분권자와의 어떠한 협의가 없더라도 공유물의 관리방법을 일방적으로 결정할 수 있고, 그러한 결정이 공유물 중 특정된 부분을 점유하는 한 유효하다고 한다. 물론 공유물은 다수 지분권자의 이해가 대립되어 그들 사이에 적절한 합의점을 찾지 못할 경우 부득이 지분의 과반수로 결정할 수밖에 없도록 함으로써 공유물을 그 용도에 맞게 사용하도록 하려는 판시 취지는 수긍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와 같이 과반수 지분권자의 횡포를 방치할 경우 일부의 지분만으로 사실상 공유물 전부를 사용·수익하게 하는 결과가 되어 다른 지분권자의 사용·수익권을 박탈하는 결과가 되어 부당하다. 나아가 이러한 불평등으로 지분권을 행사할 수 없는 소수지분권가 공유물 분할이라는 방법으로 공유관계를 해소하려고 하여도 다수자의 횡포가 방치되는 한 소수지분권의 교환가치는 매우 낮게 평가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결국 소수지분권자는 지분권의 핵심적 가치인 사용·수익권과 교환가치 모두에 대한 불이익을 감수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에 대하여 단순히 다수의 논리로 접근할 것이 아니라 지분권의 본질적 가치에 중점을 두는 접근방법이 필요하다. Discussions over issues concerning use of and profit from jointly owned properties are relatively small compared with other forms of article jointly owned such as collective ownership and partnership-ownership. This is because the rules about unincorporated association are applied even though it becomes a target of common interest but does not have joint ownership, if a certain article has a clear common purpose and exists for a certain purpose. The limitation of management act about the use of and profit from article jointly owned is required to keep clear. The reason is that the civil law has the differences in requirements to exercise act by types of act even though it acknowledges three types of act about articles jointly owned such as act of preservation, act of management, and act of disposal or alteration. If the requirements to be recognized as a legitimate management act are not satisfied, the act is invalid between those who have joint ownership and it is invalid to the outside as well. Thus, it is likely to have unpredictable damages to the third party. However, with respects to this issue, the existing precedents almost neglected tyranny of those who have majority in the right of share. In other words, those who have majority in right of share can unilaterally make a decision on how to manage the article jointly owned without any agreements with other shareholders and such a decision is valid as long as it occupies a certain part of article jointly owned. The purpose of judge is to use article jointly owned based on its purpose by making a decision on the basis of majority in shares if the interest of many shareholders is in conflict and cannot find the appropriate agreements. It can be understood. However, if the tyranny of those who have majority in the right of share is neglected as it is, a shareholder can get all use of and profit from article jointly owned only with some of the shares as result. This result is unfair, because other shareholders’right of use of and profit from article jointly owned is deprived. Furthermore, even though those who have minority in the right of share and are not able to exercise the right of share due to these inequalities try to resolve the relationship of share with the method to split the article jointly owned, the exchange value will be evaluated very low as long as the tyranny of the majority is neglected. Eventually, those who have the minority in the right of share have no choice but to put up with the disadvantage of the right of use and profit and exchange value which is a core value of right of share. Therefore, with respect to these issues, it is necessary to put emphasis on the intrinsic value of right of share rather than simple approach with logic of the majority.

      • KCI등재

        시의 이야기성 연구

        최춘식(Choon-Sik CHOI) 한국프랑스문화학회 1998 프랑스문화연구 Vol.2 No.-

        On pourrait dire qu’il y a la narrativité lorsque un texte a le phénomène de succession d’états et de transformations, inscrit dans le discours, et responsable de la production du sens. Et l’annalyse de la narrativité de la poésie se présente sous la modèle actantielle au niveau de la surface du texte, et sous le carré sémiotique au niveau profond du texte. Délire Ⅰ, le texte de la confession du drôle du ménage, se devise en deux espaces qualifiés du Je. L’un est l’espace passif de la 〈Vierge folle〉, composé des isotopies/masochisme/ et /regression/. L’autre est l’espace aggresif de 〈l’Epoux infernal〉 composé des isotopies /agression/ et /ouvert/. La modèle actantielle de Délire Ⅰ se compose de la superposition des actants, et le carré sémiotique contient les isotopies /masochisme/, /esclaves/, /agression/, /puissance/ au niveau profond du texte. En conclusion, le locuteur de Délire Ⅰ traduit le dialogue du Je avec lui-même à la faveur de la disjonction qu’il ressent à l’intérieur de son être. 〈La Vierge folle〉 et 〈l’Epoux infernal〉 pourraient être une représentation double de l’Ego et le drôle ménage serait alors interprété comme une figuration de la dualité ontologique, des deux actants qui habitent le moi.

      • KCI등재

        종교활동의 제한 기준에 대한 일본 판례의 시사점

        최춘식(Choi, Chun-Sik) 한국법학회 2014 법학연구 Vol.55 No.-

        일본은 1995년 종교단체에 의한 지하철 테러사건 이후 종교법인법을 개정하였다. 그 주된 내용은 종교단체의 투명한 운영을 위해 신도와 공권력이 공동으로 종교단체를 감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여기에 더 나아가 2000년경부터 하급심판례를 중심으로 포교활동과정에서 종교적 자기결정권의 침해를 이유로 종교단체의 불법행위책임을 인정하고 있다. 이러한 판례는 이후 10년이 지난 현재까지 유지되어 이제 확립된 판례라고 할 수 있다. 종교단체라 하더라도 개별적인 사건에서 불법행위가 인정되는 것은 당연하지만, 여기에서 논의하는 판례는 이러한 개별적인 사건에서의 판례와는 다르다. 즉 신도가 종교단체에 가입하여 탈퇴한 후 당초 종교단체의 전도와 교화활동이 포괄적으로 위법하다는 이유로 손해배상책임을 묻는 형태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종교단체에 대하여 특별법도 없는 우리나라에서 이러한 일본의 판례는 시사하는 바 크다 할 것이므로 위 일본 판례를 중심으로 포교활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불법행위에 대하여 주로 살펴보았다. 일본에서 위법성이 인정된 종교단체는 이미 판례가 형성되기 수년전부터 사회적 비난의 대상이 되었고, 1995년 지하철 테러사건 이후 종교단체에 대한 법적규제를 강화하여야 한다는 사회적 여론에 힘입은바 컸다는 특수한 사정이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더라도 일본의 판례가 특별한 입법적 근거에 따라 형성된 것은 아니며, 민법상 불법행위의 일반적 성립요건에 따라 법리적으로 형성된 것이라는 점에서 우리나라에서도 충분히 참고할 만한 판례라고 생각된다. After the terrorist attacks in the subway by religious organizations in 1995, Japan revised the Religious Corporation Act. The main purpose was to monitor religious organizations in collaboration with the believers and the governmental authorities for transparent operation of religious organizations. However, in addition to this work, from around 2000, focusing on cases of lower court, it recognized tort liability of religious groups for the reason of religious self-determination violation in the course of missionary activities. Because these cases have kept for 10 years, it is said to be the established case law. Even if they are religious organizations, tort should be recognized in a separate and individual incident. However the case law in this case is not the same as an individual. That is, its the question whether they have responsibility to cover damages or not after withdrawal of believers who joined in the religious organizations, because the mission work and edification activities of that religious organizations were comprehensively illegal. There is not a special law about religious organizations in our country currently. So this study mainly includes investigations of illegal activities occurred in the course of religious activities focusing on Japanese precedents. These religious groups recognized with the illegality have been criticized by Japanese society before precedents was formed. Also, after the terrorist attacks in the subway by religious groups in 1995, Social opinion, that legal restrictions on religious organizations should be strengthened, has already formed. Therefore we can know that Japanese cases are not formed in accordance with a special legislative basis. We can understand Japanese cases are formed according to requirement for establishment of civilly tort. In these aspects, I think these cases can be valuable references in our country.

      • KCI등재

        건축협정제도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입법적 개선방안

        최춘식(Choi, Choon Sik) 한국법학원 2016 저스티스 Vol.- No.153

        건축협정제도는 건축행위에 대한 주민들의 자율적인 규제를 통해 주거환경 및 건축물에 대한 부가가치 창출을 유도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2014년 1월 건축법의 개정을 통해 도입되었다. 이 제도는 시행된 지 불과 2년 정도에 지나지 않아 아직 그 운영을 둘러싸고 실무적으로나 법적으로 이에 대한 문제점이 크게 부각되지는 않고 있다. 그러나 이 논문은 선도적으로 이 제도의 문제점에 대하여 살펴보고 그에 대한 입법적 개선방안을 제시하여, 장래의 문제에 효율적으로 대처하고자 하였다. 여기에서는 현행 건축협정제도의 법적 문제점에 대하여 여러 가지를 지적하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으나 특히 중점을 두었던 것은 건축협정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입법적 개선방안에 대한 것이다. 즉 현행 건축법은 건축협정의 효율적 이행을 담보할 수 있는 법적 수단을 전혀 규정하지 않고, 건축협정에 위반된 행위를 저지하기 위해서는 오로지 민사적 해결에 위임해 두고 있다. 그러나 건축협정은 행정청의 인가라는 개입을 통해 완성되는 것이고, 건축협정구역 내의 승계인에게도 효력이 있는 만큼 일정한 범위에서 행정청의 개입을 허용하는 입법적 개선방안이 필요하다. 이에 대한 개선방안은 행정청이 건축협정체결자 및 제3자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시정명령, 이행강제금 부과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는 것과 건축협정운영회를 통한 간접적 해결을 원칙으로 하는 방안들이 검토될 수 있다. 그리고 건축법은 건축협정의 효율적 이행과 관리를 위해 건축협정운영회를 자율적으로 두게 하고 있으나, 이 건축운영위원회의 법적 지위와 권한에 대하여는 전혀 규정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건축협정운영회의 구성, 권한 등에 대하여 좀 더 세부적인 규정을 마련할 필요성이 있다. 마지막으로 건축협정은 재산권에 대한 자율적 규제를 전제로 하고 있음에도 건축협정구역에서의 승계인에게도 그에 따른 효력을 받게 하고 있으므로 건축협정 사실을 누구나 쉽게 알 수 있도록 공시방법을 개선할 필요성이 있다. The Building Agreement was introduced in January, 2014 through the amendment of the Building Act for the purpose of promoting the creation of added value for residential environment and architectural works through resident"s autonomous control over architectural behaviors. However, because only two years passed after this system was enforced, any operational or legal problem has not been raised much on its operation. Hence, this paper explored the problems of this system initiatively, suggested a solution for legislative improvement for such problems and made an investigation considering the purpose of coping with future problems efficiently. This paper pointed out several issues for the legal problems of the current Building Agreement and suggested improvement solution for those problems, but special emphasis was made on the legislative solution for the efficient operation of the Building Agreement. In other words, the current Building Act does not stipulated any legal means at all which can guarantee efficient implementation of the Building Agreement but assigns it only to civil settlement in order to prevent any behavior violating the Building Agreement. However, as long as the Building Agreement can be completed through the intervention of administrative authorities" approvals and has its effect also on the successors within the district of the Building Agreement, legislative improvement is necessary to allow the intervention of administrative authorities in a certain range. As improvement solutions, preparing a ground for administrative authorities to take direct measures such as corrective order or imposition of fine for negligence on the Building Agreement members and third parties, and making a principle to take indirect solutions through the Building Agreement Association can be reviewed. In addition, the Building Act allows autonomous establishment of the Building Agreement Association for efficient execution and management of the Building Agreement, but does not stipulate anything for the legal position and authority of the Building Agreement Association at all.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epare more detailed provisions to define the organization and authority of the Building Agreement Association. Lastly, because the Building Agreement, even though it is subject to autonomous control over property rights, also allows its successors within the district of the Building Agreement to get the same effect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way of public announcement so that everyone may know easily about the Building Agre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