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304 스테인레스 강의 부식 손상 중 발생하는 음향방출신호 분석

        우카이거(Kaige Wu),최찬양(Chan-Yang Choe),변재원(Jai-Won Byeon) 한국비파괴검사학회 2013 한국비파괴검사학회지 Vol.33 No.5

        음향방출법을 이용하여 304 스테인레스 강의 부식 손상 과정을 평가하였다. 스테인레스 강의 가속부식시험을 수행하면서 음향방출신호를 수집할 수 있는 측정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양극분극시험에서 공식부식(pitting corrosion)이 발생하는 시점 이후부터 음향방출(AE)신호가 검출되기 시작함을 확인하였다. 부식 실험후 시편 표면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다수의 공식부식이 발생하였음을 검증하였다. 부식 시간의 증가에 따른 AE 누적카운트 증가율과 AE 신호 진폭의 변화는 3단계로 구분되는 특징을 보였다. 이러한 AE 신호 발생 특징을 스테인레스 강의 부식 발생 과정의 단계별 변화와 관련하여 고찰하였다. AE 신호를 이용하여 금속 소재의 부식 손상 정도 및 부식 과정의 평가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In this work, corrosion of 304 stainless steel was evaluated by using acoustic emission(AE) technique. AE measurement system was set for detecting acoustic signal during accelerated corrosion test of the specimen. AE signal started to be detected after the time of pitting corrosion initiation was evaluated by anodic polarization curve. Pitting corrosion damage was confirmed by optical microscopic observation of the surface morphology. AE cumulative counts and amplitude according to corrosion time could be divided into three stages. These trends were discussed in relation with changing pitting corrosion mechanism. Feasibilities of AE technique for evaluation of corrosion damage and mechanism were suggested.

      • 컴퓨터 작업 시 의자 등받이 위치가 근육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김민우,변승진,이경은,정소영,조주영,최원자,최찬양,김경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1 再活科學硏究 Vol.29 No.1

        이 연구는 컴퓨터 작업시 의자 등받이 위치가 근육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36명의 근골격에 문제가 없는 성인 남녀가 참가하였으며 대상자들은 등받이가 뒤에 있는 의자와 등받이가 없는 의자, 등받이가 앞에 있는 우리들 의자를 무작위로 배정하고 동일한 컴퓨터 작업을 실시하게 하였다. 실험 중, 표면근전도기를 사용하여 의자에 따른 위등세모근, 머리널판근 그리고 척주세움근의 근활성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등받이가 앞에 있는 의자는 허리 근육의 부담을 줄이지만 목근육에 부담이 늘어나고 등받이가 뒤에 있는 의자와 없는 의자는 허리근육에는 다소 무리가 가지만 목근육에는 부담이 덜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환자의 증상에 다라 컴퓨터 작업을 하는 동안 의자 등받이의 위치를 조절하여 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생각되어진다. Objective : In this study, we checked and observed people's change of body muscle and muscle activity who do computer work on different chairs. We set three kind of chairs which one is a stool and another one is the back is fixed, and the other one is the back is fixed in front of chair. Subject : Accounting for 36 health men and women, we divided these people to 3 groups and put them on the three cases(position 1, position 2, position 3). We measured muscle activity of upper trapezius, Splenius Cervics, Erector Spinae from the groups by using surface electromyogram system. Methods : The standard of the electromyogram was 'reference voluntary contraction', and we carried out 'one way anova' to compare muscle activity of three groups. Results : In position 1, reference voluntary contraction of upper trapezius muscle activity was 123.2821%, Splenius Cervics was 141.7526%, and Erector Spinae was 254.5233%. In position 2, reference voluntary contraction of upper trapezius muscle activity was 132.9395%, Splenius Cervics was 141.7526%, and Erector Spinae was 246.6540%. In position 3, reference voluntary contraction of upper trapezius muscle activity was 190.6487%, Splenius Cervics was 270.2332%, and Erector Spinae was 182.1021%. Both upper trapezius and Splenius Cervics muscle activity of position 3 group was higher than the others groups. In position 1 group, Erector Spinae muscle activity was hight than the other groups. And either was position 2 group's(p<0.05). Conclusion : Therefore the chair which is the back is fixed in front is more comfortable for waist muscle but it's not good for neck. And the other chairs are better in waist muscle but not in neck muscle. So far, when we do a computer work, it's prefer to sit on the group 1&2's chairs to reduce neck muscle's stress and sit on group 3's chair to reduce waist muscle's str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