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최종훈 ( Choi Jonghun ),김자경 ( Kim Jakyoung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2020 지적장애연구 Vol.2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perception of secondary school general education teachers’ inclusive education. For the purpose, a metaphor analysis as a qualitative data collection tool was used.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54 secondary school general education teachers in B city, U city and K-do. Collected data were categorized through metaphor analysis and analyzed quantitatively. This study collected 150 metaphors and grounds. These metaphors were categorized into seven themes; ‘harmony’, ‘process of preparation and growth’, ‘place for understanding the difference’, ‘coexistence of positive and negative’, ‘plausible excuse’, ‘wall to be crossed’, and ‘deservedly necessary existence'.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were discussed for the successful inclusive education.
최종훈 ( Jonghun Choi ),이태화 ( Taehwa Lee ),김상우 ( Sangwoo Kim ),신용철 ( Yongchul Shin ) 한국농공학회 2017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7 No.-
최근 들어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로 인한 자연재해(홍수, 가뭄 등)가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다. 우리나라는 여름철에 집중호우가 발생하는 기후적인 특성으로 인하여 봄, 가을 및 겨울 가뭄에 취약하며, 특히 매년 발생하는 봄 가뭄은 영농활동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지속적인 관심과 대응방안이 필요하다. 토양수분은 작물의 생장 및 수확량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농업가뭄 평가시 반드시 고려되어야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는 PDSI(Palmer Drought Severity Index, PDSI), SPI(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등과 같은 기상학적 가뭄지수를 이용하여 가뭄을 평가하기 때문에 지표특성에 영향을 받는 농업가뭄을 해석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상학적 가뭄과 MODIS(MODerate-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기반의 토양수분을 산정하여 시·공간적으로 변화하는 가뭄 특성을 분석하였다. 기상학적 가뭄을 분석하기 위하여 RAI(Rainfall Abnormality Index)를 선정하였으며, RAI의 적용성을평 가하기위해서 SPI(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와 비교·분석한 결과 RAI와 SPI 가뭄지수가 매우 유사한 특성을 보였다. 기상청 관측지점(ASOS) 기반의 기상자료는 공간적으로 불연속적이기 때문에 기상학적 가뭄 평가시 공간적으로 연속적인 분포를 고려하기 위하여 TRMM(Tropical Rainfall Measuring Mission) 인공위성 기반 강수량을 이용하여 TRMM-RAI 지수를 산정하였으며, 기상청 관측자료 기반 ASOS-RAI와 비교한 결과TRMM-RAI 지수가 관측지점의 ASOS-RAI 지수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토양수분은 MODIS 이미지 자료와 Scott et al. (2003)이 제시한 경험식을 연계하여 산정하였다. TRMM-RAI와 MODIS 기반 토양수분의 시·공간적인 변화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2000-2015기간까지 총 15년 동안의 격자별 표준편차를 산정하여 분석하였다. TRMM-RAI는 해안가 부분과 중부지역에서의 표준편차가 상대적으로 높은 특성을 보였으나, MODIS 토양수분의 경우 산림지역에서는 상대적으로 표준편차가 낮고 도시지역 및 비산림지역에서 표준편차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 토양수분의 경우 지표특성이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농업가뭄 평가시에는 기상학적 가뭄지수와 토양수분을 연계한 농업가뭄 평가 및 대책 수립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LANDSAT 이미지를 이용한 원격탐사된 토양수분 상세화 기법 개발
이태화 ( Taehwa Lee ),김상우 ( Sangwoo Kim ),최종훈 ( Jonghun Choi ),신용철 ( Yongchul Shin ) 한국농공학회 2017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7 No.-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가뭄의 발생 빈도 및 피해가 증가하며 농업활동에 영향을 주는 토양수분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토양수분은 TDR(Time Domain Reflectrometry) 센서를 이용하여 관측하고 있으나, TDR 기반 토양수분의 관측은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모되고 시공간적으로 변화하는 토양수분의 변화를 나타내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최근 인공위성을 이용한 토양수분관측(AMSR-E(Advanced Microwave Scanning Radiometer for EOS), AMSR-2(Advanced Microwave Scanning Radiometer 2), SMOS(Soil Moisture Ocean Salinity), SMAP(Soil Moisture Active & Passive) 등)이 수행되고 있다. 그러나 인공위성 기반 토양수분 이미지자료의 경우 낮은 공간 해상도로 인하여 좁은 농지 면적과 지형이 복잡한 우리나라에 적용할 경우 불확실성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해상도 LANDSAT(30m×30m) 이미지를 이용하여 중해상도 MODIS(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500m×500m) 기반의 토양수분 이미지를 고해상도로 변환하기 위한 상세화 기법을 개발 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상세화기법의 검증을 위하여 미국 오클라호마주의 Little Washita(LW 13/21) 지역을 선정하였다. LW 지역에서 측정된 항공기 기반의 ESTAR(Electronically Scanning Thinned-Array Radiometer, 800m×800m) 토양수분 이미지에 상세화기법을 적용하여 TDR 기반의 토양수분 자료와 검증하였다. 경사지를 포함하고 있는 LW13지역의 경우 Pearson 상관계수(R) 및 불확실성(RMSE)이 0.144 및 0.005로 불확실성이 다소 높게 나타났다. 평탄한 지형이 우세한 LW21의 경우 상관계수와 불확실성이 0.518, 0.054로 LW13 지역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LW13 지역의 경우 지형적 특성과 토양수분 관측오차로 인하여 상세화된 토양수분 공간 분포의 불확실성이 높게 나타났으나, LW21의 경우 상세화된 토양수분이 지표피복에 따른 토양수분의 공간적 분포 특성을 잘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록 지형적 특성 반영시 불확실성이 나타났지만, 본 연구에서 개발된 토양수분 상세화 기법은 평탄한 지역에서의 농업가뭄, 수자원 관리 등을 위해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Irrigation & Crop Production 모형을 이용한 작물 생산량 향상
신용철 ( Yongchul Shin ),이태화 ( Taehwa Lee ),김상우 ( Sangwoo Kim ),최종훈 ( Jonghun Choi ) 한국농공학회 2017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7 No.-
작물은 토양층의 수분함량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기 때문에 가뭄에 매우 취약하다. 극한가뭄 발생시 작물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Irrigation & Crop Production 모형을 개발하였다. ICP 모형은 작물 생육에 필요한 적절한 토양수분을 결정하여 최적의 작물 생산량을 산정한다. ICP 모형의 적용성 평가를 위하여 파키스탄 Regional Agromet Centre Faisalabad 지역과 미국 오클라호마 Little Washita 13/21 지역을 선정하였다. 전체적으로 다양한 토양과 작물 특성에 대해 ICP 모형이 적절한 관개용수를 산정하여 작물생산량 향상에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상인자 중에서 일사량과 강우량이 작물생산량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기상인자의 경우 인위적으로 조절하지 못하는 점을 고려할 때 적절한 관개용수를 제공하여 작물 생산량의 향상이 필요하다. 또한 지하수위가 지표면에서 100cm 이하일 경우 모세관 현상으로 인하여 작물뿌리에 물이 공급되어 작물생산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하수위가 지표면에서 200cm 이하에서는 작물 성장에 미치는 영향이 미비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비록 제한된 지역에서 검보정 실험이 수행되었지만, 본 연구결과는 가뭄 발생시 ICP 모형을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가뭄에 대응하고 작물생산량을 향상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수자원 관리, 농업가뭄대응, 농업정책수립 등을 위하여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