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1926년 작 통도사 <십육나한도>의 근대성 고찰

        최엽 동악미술사학회 2016 東岳美術史學 Vol.0 No.20

        경남 양산 통도사의 응진전에 봉안된 <십육나한도>는 총 6폭으로 구성되었으며, 근대기를 대표하는 불화승인 금강산 유점사의 문고산이 수화승으로 참여하고 신계사 화승인 박학송이 함께 그린 대작의 나한도이다. 이 나한도는 여타의 나한도들과 비교해 매우 복합적인 도상과 화풍을 보여주고 있다. 우선 도상에 있어서는 십육나한은 응진전에 원래부터 봉안되어 있는 십육나한상들의 모습을 그대로 화폭 안에 옮겨 그렸고, 시동과 시자의 모습과 배경의 일부는 중국불교판화의 도상을 차용해 그렸다. 또 제작자인 문고산의 근거지인 금강산의 실경을 산수 배경으로 채택하는 파격적인 요소도 보이며, 신선도와 같은 일반회화의 모티프들이나 당대의 복식이나 기물 등을 반영한 참신한 도상들을 도입하는 등 복합적인 경향을 볼 수 있다. 표현기법도 서양화의 명암법이나 동양의 기법과 서양의 것을 혼합한 사실적인 화법, 그리고 길상화 등 일반회화에서 보이는 기법을 두루 사용하고 있다. 특히 배경의 금강산을 표현함에 있어 당대 발행되었던 금강산 관광엽서의 구도와 채색을 적극적으로 반영하여 제작한 것은 당시 인쇄문화의 발달과 금강산 철도 부설, 그리고 그에 따른 관광산업의 발달과 홍보관련 시각물의 성행 등 다양한 측면이 영향을 미친 결과로 통도사 <십육나한도>는 그 어떤 불화보다 시대성이 짙은 불화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른 나한도들과 차별화를 보이는 개성적인 표현과 금강산 화승으로서의 정체성의 표현은 이 불화를 제작한 문고산의 근대적 작가상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으며, 1926년에 제작된 이 통도사 <십육나한도>는 근대를 대표하는 불화 중 하나이다. The Sixteen Arhats enshrined in Eungjinjeon Hall of Tongdosa Temple in Yangsan, Gyeongsangnam-do was painted on six panels of the altar wall of the hall by a group of monk-painters led by Mun Go-san from Yujeomsa Temple of Geumgangsan Mountain. Mun is now widely regarded as one of the leading Buddhist artists of the modern period together with Bak Hak-song, a renowned monk-painter who was based at Singyesa Temple. The painting shows the sixteen arhats attended by a group of page boys and adult assistants whose appearance recalls the figures depicted in Chinese Buddhist prints. Parts of the landscape in the painting’s background seem to be of Chinese origin, while others appear to be actual scenes of Geumgangsan Mountain, where the head artist Mun Go-san lived as a monk. The painting also appears to have been influenced by the paintings of Daoist immortals or other ordinary paintings of the period in terms of the subjects’ clothing and the various objects and motifs; and it exploits a variety of western and eastern painting techniques, including chiaroscuro, and those of Gilsanghwa, or the paintings of auspicious symbols. The artists actively adopted the composition and colors used in tourist postcards made in the same period as promotional materials for Geumgangsan Mountain, suggesting that they were greatly influenced by the development of printing culture and the tourism industry, the construction of the Geumgangsan Railroad, and the contemporary vogue for publicity materials. These factors explain why this painting of sixteen arhats was influenced more by ongoing developments of the period than by other Buddhist paintings of the time. The characteristic elements which distinguish this painting from others and the expression of the identity of the head artist as a monk based at a temple at Geumgangsan Mountain reveal the modernity of the artist Mun Go-san. Completed in 1926, The Sixteen Arhats is now generally regarded as one of the finest examples of modern Buddhist painting in Korea.

      • KCI등재

        장욱진의 불교 인연과 관련 회화 연구

        최엽 동악미술사학회 2023 東岳美術史學 Vol.- No.34

        ‘장욱진과 불교’ 관련하여서는 여러 주요한 에피소드들이 청소년기부터 꾸준히 언급되어 왔으나 실제로 장욱진의 작품에서 불교 관련 작품이 등장하는 것은 1970년대인 그의 나이 53세 경부터이다. 주요한 대표작인 <진진묘>, <팔상도> 및 <미륵존여래불> 등 장욱진의 먹그림들은 그의 불교에 대한 우호적인 태도와 가족들의 불심, 그리고 백성욱 박사와의 인연 등 불교 인사들과의 관계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또한 그는 사찰 답사를 즐기며 특히 고찰의 마애불과 석불을 즐겨그렸다. 그의 작품은 대체로 작은 화면일 뿐 아니라 언제나 ‘심플’을 지향했던 장욱진에게 걸맞게 일견단순, 소박해 보일지도 모른다. 그러나 그의 작품에서 느껴지는 밀도감과 종교성으로부터 오는 짙은 여운은, 그가 행했던 오랜 시간의 바라봄과 오랜 시간의 산책과 더불어 마치 수행자와 같이 화폭 위에 그만큼의 쌓고 덜어내는 행위의 오랜 반복들, 즉 장욱진의 시간이 오롯이 쌓여서 나오는결과일 것이다. 장욱진의 작품은 ‘그림처럼 정확한 나의 分身은 없다’고 그 자신이 얘기했듯이 장욱진 그 자체이고, 그것이 곧 그의 작품 앞에 오래 서있게 하는 이유이다. 수행하듯 반복했던 그의일상과 작업, 그의 말처럼 ‘내세우는’ 것은 아니었지만 불교에 깊이 스며든 그의 삶은 어떤 재료와바탕이건, 매체를 막론하고 그의 작품 속에 녹아 있다. While researchers have introduced various episodes connected with Chang Ucchin’s relationship with Buddhism in his younger days, it was in the 1970s, when Jang was 53 years old, that he began to produce works related with Buddhism. The widely admired ink-wash paintings of Buddhist themes that he produced from that time onwards - such as Truly True Wonder (Jinjinmyo), Eight Phases of the Shakyamuni’s Life (Palsangdo) and Maitreya Buddha (Mireukjonyeoraebul) - are closely related with his friendly attitude towards Buddhism, his family’s devotion to Buddhism, and his friendship with Buddhists such as Dr. Baek Seonguk. The artist also loved touring Buddhist temples and producing paintings of rock-carved Buddhist figures and stone Buddhist sculptures. The paintings of Chang Ucchin seem to be characterized by their small size and simple depictions of his subjects. Despite their surface simplicity, however, his paintings create an atmosphere of profound religious density and quality, reflecting the times of calmness he enjoyed while taking a long and close look at the objects around him during his long walks. His works appear to be the result of his repeated action of piling ideas on, and then taking them off, the canvas, which may be comparable with the life of an ascetic, and the accumulation of Chang Ucchin’s own moments. His paintings were, and are, the artist himself, as he himself once stated: “There is no ‘my other self’ that is as truthful as my paintings.” That is why his paintings compel his viewers to remain standing before them for a long time. Although neither his daily life nor his activities as an artist may be as “profound” as the life of an ascetic, his deep, lifelong attraction to Buddhism is clearly reflected in his works, regardless of the materials and media he used.

      • KCI등재

        백련 지운영의 불교계 활동과 <관음보살도> 연구

        최엽 동악미술사학회 2018 東岳美術史學 Vol.0 No.23

        白蓮 池雲英(1852~1935)은 조선 말에서 일제강점기를 살았던 인물로 독특한 이력을 가진 서화가이다. 그는 일본에서 사진술을 배우기도 하고, 김옥균 암살 시도로 인하여 유배에 처해지는 등 굴곡이 많은 삶을 살았다. 또 서화가로서도 유명하여 시서화삼절로 알려져 있었으며, 유불선에 두루 능통하였다고 전한다. 본고에서 다룬 지운영의 <관음보살도>는 그가 남긴 얼마 안되는 불교 관련 작품 중 하나이다. 이 그림의 도상은 조사결과 중국 절강성 보타산에 남아있는 역시 당대 유명 화가였던 염립본의 관음보살 석각의 도상과 유사함을 발견할 수 있었다. 도상과 더불어 섬세한 필선과 아름다운 담채의 채색은 그의 불교 관련 작품들 중에서도 주목할 만하다. 지운영의 <관음보살도>의 상세한 고찰은 중국 당대 유명 화가인 염립본의 관음보살도 도상이 한국 근대기 서화가에 의해 구현되었다는 점과 더불어 지운영의 <관음보살도>의 도상적 근거를 발견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그의 작품으로 인해 그간 국내에서는 찾아볼 수 없었던 염립본의 관음보살도상을 확인할 수 있는 점에서도 이 작품은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 논의를 통해 격변기인 근대기를 지냈고, 다재다능했지만 파란만장한 인생을 살았던, 지식인인 동시에 서화가였던 지운영의 불교적 성향과 관련 작품에 대한 논의들이 보다 활발해지기를 기대한다. Ji Un-Yeong (a.k.a. Baengnyeon, 1852~1935) was a versatile artist who led a very eventful life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1392~1910) to the early Japanese colonial period (1910~1945). His life was full of ups and downs as he learned photography in Japan and got involved in the attempted assassination of Kim Ok-Gyun (1851~1894), which led to banishment. In his heyday, he was revered as a master artist of "three perfections" - namely, poetry, calligraphy, and painting. At the same time, he had a reputation as a scholar with profound knowledge in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Ji Un-yeong’s Avalokitesvara, the painting discussed in this study, is one of a few Buddhist paintings remaining today. The painting displays some remarkable similarities with the seventh century Tang painter Yan Liben in iconography and the image of the Buddhist deity engraved in Zhejiang Province’s Putuo Mountain. The masterful use of fine brush strokes and watercolors makes the painting one of his greatest Buddhist masterpieces. Regarding the Korean history of Buddhist art, it is significant that "Avalokitesvara" painted by Ji Un-yeong, a modern Korean artist, was inspired by the work of the same Buddhist saint created by Yan Liben, an ancient Chinese master artist. It is equally important that the painting is a rare example showing the influence of the renowned Chinese master upon the modern Korean art world. This study is expected to inspire further in-depth researches on the influence of traditional Buddhist art upon the life of Ji Un-yeong, a talented individual who dedicated himself to his art despite the turmoils of modern Korean history that disrupted his life from time to t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