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내 육성된 향미 품종의이앙시기별 이화학적 특성 및 향기성분 비교 분석

        조준현,송유천,이광식,최식원,이미자,장기창,김현영,강현중,박기도,서우덕,Cho, Jun Hyun,Song, You Chun,Lee, Kwang Sik,Choi, Sik Won,Lee, Mi Ja,Jang, Ki Chang,Kim, Hyun Young,Kang, Hyeon Jung,Park, Ki Do,Seo, Woo Duck 한국환경농학회 2017 한국환경농학회지 Vol.36 No.3

        1. 본 연구의 향미의 품종별, 이앙시기별 이화학적 특성 평가한 결과 품종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단백질 함량은 5.8~7.3%로 나타났고 5월 22일 조기이앙시 평균 6.4%로 가장 낮았으며 지방 함량은 조기이앙시 평균 $2.6{\pm}0.1%$, 보통기이앙시 평균 $2.5{\pm}0.1%$, 만기이앙시 평균 $2.2{\pm}0.1%$를 나타내어 이앙시기가 빠를수록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2. 향미 품종 중 Hyangmibyeo 2 ho가 강하점도의 값이 152.3RVU로 가장 높아 전분의 구조가 호화되기 쉬운 구조적 특성을 가지고 다른 품종에 비해 밥맛이 우수 할 것으로 판단되며 이앙시기는 조기나 보통기 이앙이 좋을 것으로 판단된다. 3. 향미 품종, 이앙시기별 향기성분 정량 분석 비교에서는 향기성분 등 중 대표적으로 2-acetyl-1-pyrroline (2AP)를 지표성분으로 정하여 정량분석 한 결과 품종 중에는 Aromi가 $41.7{\sim}66.7{\mu}g/100g$으로 가장 높은 2AP의 함량을 나타내었고 이앙시기의 영향은 모든 품종에서 각각 보통기이앙시 평균 $37.4{\mu}g/100g$, 만기이앙시 $31.5{\mu}g/100g$ 조기이앙 시 평균 $37.4{\mu}g/100g$ 순으로 나타났다. 최적 이앙시기는 생산력 검정 등의 다양한 요소를 고려해 볼 때 6월 5~20일 사이에 이앙하는 것이 최적으로 판단된다. BACKGROUND:The Aromatic rice which is characterized by the flavor of Nurungji when cooked rice, and consumption is increasing recent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roma components of five aromatic rice cultivars according to transplanting time. METHODS AND RESULTS: Quantitative analysis of protein, fat, fatty acid and essential amino acid for five aroma rice cultivars(Hyangmibyeo 2 ho, Aromi, Mihyang, Aranghyangchal, Heughyang)and transplanting time was analyzed by crude protein analyzer, gas chromatography (GC), liquid chromatography (LC) and viscosity analysis was done by using rapid viscosity analyzer (RVA). The content of 2-acetyl-1-pyrroline (2AP) was determined by gas chromatography mass spectrometer. (GC-MS) As a result, the average protein and lipid contents were 6.5% and 2.4%, respectively. The content of essential amino acid showed the highest content at 104.4mg/g.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normal nutrients during the transplanting time. By RVA, cv.Hyangmibyeo 2 ho showed the highest peak and total setback viscosities and lowest breakdown viscosity in early transplantation. The content of 2AP in flavor varieties and transplanting time was quantitatively analyzed by GC-MS. Among the cultivars, Aromi showed the highest 2AP contents at $66.7{\mu}g/100gin$ normal transplanting time. CONCLUSION: cv.Aromi and Hyangmibyeo 2 ho were excellent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2AP components contents amongaromatic rice cultivars tested. Theiroptimaltime to transplant was at the beginning of June in the area of Miryang.

      • SCOPUSKCI등재

        옥수수수염 알코올 추출물의 항염 및 항아토피 효과

        김현영(Hyun Young Kim),이미자(Mi-Ja Lee),서우덕(Woo Duck Seo),최식원(Sik-Won Choi),김선림(Sun Lim Kim),정건호(Gun-Ho Jung),강현중(Jung Kang) 한국식품과학회 2017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9 No.6

        옥수수수염 추출물에서 분리한 NICS-1 및 NICS-3이 가지고 있는 항염 및 항아토피 활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각각 RAW 264.7 및 HaCaT 세포를 이용하여 NO 및 TNF-α 생성 저해능과 TARC 생성량 정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항염활성의 경우 NICS-1 및 NICS-3 두 추출물 모두 NO 및 TNF-α 생성량이 농도의존적으로 크게 감소하였으며, NICS-3이 더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또한 항아토피 활성의 경우도 두 추출물 모두 TARC 생성이 대조구에 비하여 크게 감소하였으며 NICS-3 보다 NICS-1이 더 우수한 활성을 나타냈다. This study evaluates the ability of corn silk (Zea mays L.) extract to function as a natural anti-inflammatory and anti-atopic therapeutic agent.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corn silk were evaluated by measuring the inhibitory activities of nitric oxide (NO) and production of tumor necrosis factor-α (TNF-α). Anti-atopic effects were assessed by measuring the repression of thymus and activation-regulated chemokine (TARC).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NICS-1 (corn silk ethanol extract) and NICS-3 (high maysin corn silk ethanol extract) functioned as anti-inflammatory agents by downregulating LPS-induced NO and TNF-α. Additionally, two extracts showed weak repression of TARC expression levels in tumor necrosis factor TNF-α plus IFN-γ induced HaCaT cells,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rn silk extracts have anti-inflammatory and anti-atopic activities, and thus have the potential to reduce and alleviate the symptoms associated with atopic dermatitis.

      • KCI등재

        국내 쌀귀리 첨가 밥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활성

        이미자 ( Mi-ja Lee ),김양길 ( Yang-kil Kim ),이유영 ( Yu-young Lee ),김형순 ( Hyung-soon Kim ),최식원 ( Sik-won Choi ),이광식 ( Kwang-sik Lee ),서우덕 ( Woo-duck Seo ),강현중 ( Hyeon-jung Kang ),박기도 ( Ki-do Park ) 한국산업식품공학회 2016 산업 식품공학 Vol.20 No.4

        본 연구에서는 소비가 증가되고 있는 귀리의 소비형태로 쌀에 첨가한 귀리밥의 이화학성분, 취반특성, 기능성성분을 분석하고, 귀리 첨가량별 관능평가를 실시하여 귀리밥의 우수성과 적합한 귀리 첨가량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쌀과 비교하여 귀리는 전분함량을 제외한 단백질, 지방 등의 함량이 높았으며, 총베타글루칸과 총폴리페놀 등의 함량이 높아 귀리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귀리밥의 이화학성분함량과 기능성물질함량 등이 유의적으로 크게 증가하였다. 귀리함량이 증가할수록 경도와 씹힘성 등이 감소하여 부드러운 특성을 보였고, 흡수율과 퍼짐성은 귀리 함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귀리밥의 지방산함량은 귀리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올레인산이 증가하였고 팔미트산은 크게 감소하였으며, 쌀밥에 비하여 귀리를 첨가함으로써 불포화지방산 함량은 크게 증가하였다. 귀리 첨가량을 달리한 귀리밥의 DPPH 라디칼 소거 활성과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은 귀리함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귀리를 쌀과 혼반할 경우에는 20%와 30% 첨가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귀리를 첨가함으로써 쌀밥의 베타글루칸 함량 및 항산화활성 등을 증가시킬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ppropriate amount of oats to add to rice and the merits of oat meal. We analyzed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cooking properties, functional components, and sensory eval-uation according to the amount of oats added in the cooked rice. Compared with rice, the oat showed higher level in protein, fat, total β-glucan and total polyphenol, but not for starch. Therefore, the amount of chemical and func-tional components was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the increase in the amount of oats added. Water absorption and expansion were decreased with the increase in the amount of oat added. Oleic acid content was increased and lin-oleic acid content was decreased slightly. Unsaturated fatty acid content was greatly increased. The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 amount of oats added. As a result of sensory evaluation, the most appropriate amount of oat added was 20% and 30%. By the addition of oat, the β- glucan content of the cooked rice and the antioxidant activity could increase.

      • KCI등재

        콩발아배아추출물이 난소적출 랫트의 기억력 손실, 체중 증가 및 골다공증에 미치는 영향

        정현철(Hyun Cheol Jeong),서우덕(Woo-Duck Seo),윤민규(Min-Kyu Yun),권민영(Min Young Kwon),이성진(Sung-Jin Lee),이승훈(Seung Hun Lee),유희종(Heui-Jong Yu),최식원(Sik-Won Choi),김선림(Sun Lim Kim),오성훈(Sung-Hoon Oh),손요한(Johann Soh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9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8 No.6

        많은 폐경기 여성들이 기억 감퇴, 체지방 증가, 골다공증 및 에스트로겐 결핍에 의한 고지혈증과 같은 증상으로 고통을 받고 있는데, 이러한 증상을 완화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난소 적출 rat 모델을 이용하여 SGE의 갱년기 증상 개선 평가를 진행하였다. SGE를 4주간 13 ㎎/㎏, 26 ㎎/㎏ 및 51 ㎎/㎏의 농도로 처리하면 OVX에 의한 체지방, 렙틴 및 심혈관 관련 지표의 증가를 유의적으로 억제할 수 있었으며, 이는 SGE가 에스트로겐 결핍으로 인한 비만을 억제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또한 OVX 모델에서 기억력 및 인지기능이 현저히 저해되는데, 본 연구를 통해 기억 인지기능은 OVX군에 비해 모든 SGE군에서 개선되었고 SGE 농도 의존적으로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SGE가 OVX로 인한 기억 인지기능 감퇴를 억제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골다공증은 폐경기여성의 대표적인 증상 중 하나이며, 이 증상은 OVX rat에서도 확인된다. 뼈건강의 생화학적 지표인 ALP는 골다공증의 병리학적 지표로 간주하는데, SGE 투여군에서 OVX군에 비해 ALP 수준이 유의하게 감소했으며, 특히 대두이소플라본 섭취군보다 통계 유의적으로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SGE가 ALP의 농도를 낮추고 골다공증을 개선하여 뼈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을 보여준다. 추가로 단층 촬영을 이용하여 뼈의 미네랄 밀도를 측정했으며, 골다공증 진단에 사용되는 진단기준인 BMD는 OVX군에서 현저히 감소하였다. SGE를 4주 동안 처리하면 OVX의 효과가 반전되고 BMD가 유의하게 증가했다. 또한 골 강도의 평가를 위해 BV/TV를 측정하였는데, 모든 SGE 투여군에서 BV/TV가 OVX군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증가하였음을 관찰하였다. 결론적으로 SGE는 OVX로 인한 기억력 감퇴 및 체지방 개선에 효과적이며, 특히 골다공증에 있어서는 대두이소플라본보다 통계 유의적 개선을 보여주어, 향후 여성갱년기 증상 개선 기능성 소재로써 개발 가능성이 충분할 것으로 기대된다. It is well-known that soybeans relieve hormone deficient symptoms in postmenopausal women. In recent studies, germination of soy germ was shown to increase bioactive components such as aglycone isoflavones, γ-amino butyric acid, and soyasaponins.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effects of germinated soy germ extract (SGE) on memory loss, obesity, and osteoporosis in an ovariectomized (OVX) animal model. We found that oral administration of SGE improved memory function in OVX rats using a passive avoidance test. Levels of leptin and alkaline phosphatase and adipocyte size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SGE-treated group. Moreover, administration of SGE significantly prevented OVX-induced bone loss in OVX rats compared to the isoflavone-fed group.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SGE is effective for treatment of memory loss, obesity, and osteoporosis caused by ovariectomy in ra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