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계룡산지 서록의 완사면상 선상지

        최성길,신희철 한국지형학회 1995 한국지형학회지 Vol.2 No.2

        계룡산지 서록의 신원사 곡구를 정점으로 퍼져 나가는 형상의 완사면상의 지형면은 기존의 연구에서와 같이 얇은 퇴적물에 피복된 침식삭박면 기원의 이른바 산록완사면이 아니라, 곡구로 부터 운반된 퇴적물에 의해 지형면의 형태가 결정된 충적 선상지인 것으로 보인다. 지형면 구성층이 양호한 원력과 아원력으로 구성되고, 층리와 력의 방향성이 나타나며, 곡구로 부터의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력경은 작아지나 원형도는 커지고, 력층의 상부에 세립질의 수직퇴적층이 퇴적되어 있는 점 등은 계룡산지 서쪽의 완사면상의 지형면이 산지 하천에 의한 운반과 퇴적에 의해 형성된 충적선상지임을 말해준다.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영덕 일대의 해성단구와 해면변동단구의 대비와 편년

        최성길,장호 한국지형학회 2019 한국지형학회지 Vol.26 No.4

        The Yeongdeok 53m marine terrace (Y53mT), Y43mT, Y33mT, Y24mT, Y19mT and Y11mT distributed along the Yeongdeok coast, southeastern Korean Peninsula are well compared with the thalassostatic terraces of the high terrace 1 (ℓHT1 ; 51m of the relative heights from the river floor), high terrace 2 (ℓHT2 ; 43m), middle terrace 1 (ℓMT1 ; 32m), middle terrace 2 (ℓMT2 ; 25m), lower terrace 1 (ℓLT1 ; 18m) and lower terrace 2 (ℓLT2 ; 10m) respectively, developed along the lower reaches of the Chucksan-cheon and Obo-cheon rivers, judging from the comparison of paleosols (red soils) between the above marine and thalassostatic terraces. Using the Y19mT of the MIS 5e as the key surface, we propose that the terraces of the Y53mT and ℓHT1, Y43mT and ℓHT2, T33mT and ℓMT1, Y24mT and ℓMT2, Y19mT and ℓLT1, and Y11mT and ℓLT2 have been formed at the MIS 11, 9, 7e and 7a (or 7a), 5e and 5a respectively. The red soils have been developed at the Y19mT and ℓLT1 and above them, but not on the Y11mT and ℓLT2 surfaces.

      • KCI등재

        2011년 3월 일본 동북지방 태평양 연안 지진재해시의 쓰나미 재해와 지각변동

        최성길,박지훈 한국지형학회 2012 한국지형학회지 Vol.19 No.3

        2011년 3월 일본 동북지방의 태평양 연안 해저에서 발생한 거대 지진(M 9.0)에 의한 쓰나미 재해와 지각변동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센다이 해안 평야의 경우 쓰나미에 의한 침수 거리는 현 해안으로부터 4.0km에 달하였다. 쓰나미 사질 퇴적물은 쓰나미 침수범위 중의 바다쪽 60∼75%의 구간, 니질 퇴적물은 육지쪽 25∼40%의 구간에 분포한다. 이 분포 비율은 센다이 해안평야의 충적층 속에 묻혀있는 과거 거대 쓰나미 때의 퇴적물 분포로부터 당시의 내륙쪽 침수한계를 추정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센다이 해안평야 지역에서는 표고가 낮고 저평한 지형조건이, 그리고 리아스식 해안인 산리쿠 해안지역에서는 좁은 만입부에서의 쓰나미 증고 현상이 쓰나미 재해를 크게 증대시킨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이시노마키, 오가와, 오가치, 오나가와 등 동북 일본 해안지역의 여러 곳에서 이번의 대지진으로 인한 지각변동으로 0.5∼1.0m정도의 지반침강이 일어났음을 확인하였다. The tsunami disasters and tectonic movements derived from mega-earthquake(M 9.0) which occured in the sea floor of the Pacific side of northeast Japan in March, 2011 were investigated. Landward invasion limit of the tsunami was 4.0km from the present coastline in Sendai coastal plain. It was observed that sandy deposit was dristributed largely in coastward part and muddy deposit was distributed largely in landward part. The ratios of distribution distances of the above two deposits were, respectively, 60∼75% and 25∼40% of the whole invasion distance of the 2011 tsunami. The ratios of the above distribution distances of tsunami deposits could be used to estimate landward invasion distances of the past maga-tsunamies(e.g. "2,000year B.P. Mega-Tsunami" and "Jogan Tsunami" etc.) in Sendai coastal plain. The mega-scale tsunami disasters were caused by the low and flat geomorphic condition in the Sendai coastal plain and the increasing effect of tsunami height affected by narrow inlet condition of the so-called Ria's coast in the Sanriku coastal area respectively. Tectonic subsidences caused by the mega-earthquake in march, 2011 were observed in many areas of Ishinomaki, Ogawa, Ogachi and Onagawa coasts in northeast Japan. The displacements of tectonic subsidence were between 0.5 meters and 1.0 meters.

      • KCI등재

        한반도 남동부 영덕 해안의 최종간빙기 해성단구와 지반융기율

        최성길 한국지리학회 2019 한국지리학회지 Vol.8 No.1

        한반도 남동부 영덕 해안에 분포하는 ‘영덕 19m 해성단구’와 ‘영덕 11m 해성단구’는 각각 MIS 5e와 MIS 5a에 형성된 것으로 보고된 강릉~울진 해안 및 울산~포항 해안의 저위 해성단구 1면과 저위 해성단구 2면에 각각 대비되는 점으로부터, MIS 5e와 MIS 5a에 형성된 해성단구로 추정 편년되었다. ‘영덕 19m 해성단구’의 추정 구정선 고도는 19m 정도이므로, MIS 5e의 해면고도를 +6m로 볼 때, MIS 5e(125ka BP) 이후의 영덕 해안 일대의 지반융기율은 대략 0.1mm/년(1.0m/10,000년)으로 계산된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지반융기율은 본 연구지역 및 인근 지역의 해안에서 연구된 다른 연구들에서 계산된 지반융기율보다 낮으며, 추후 본 연구와 다른 연구들 간의 지반융기율의 차이에 대한 정밀한 검토가 요청된다. The ‘Yeongdeok 19m marine terrace’ and the ‘Yeongdeok 11m marine terrace’ distributed along the Yeongdeok coast of the southeastern Korean peninsula are assumed to have been formed in the MIS 5e and MIS 5a respectively, judging from the comparison between the ‘Yeongdeok 19m marine terrace’ - the ‘Yeongdeok 11m marine terrace’ and the ‘lower marine terrace 1’ - the ‘lower marine terrace 2’ respectively, which have been known as the marine terraces of MIS 5e and 5a in the Gangneung ~ Uljin coast and the Ulsan ~ Pohang coast respectively. If we assume that the sea level of MIS 5e was 6m higher than that of the present, as is generally known, the uplift rate in the Yeongdeok coast since the MIS 5e(125ka BP) is calculated as about 0.1mm / year (1.0m / 10,000years) because the estimated former shoreline altitude of the ‘Yeongdeok 19m marine terrace’ is about 19m. The uplift rate derived from this study is lower than those of the other studies which have been made in the same and adjacent coasts of this study. The further investigation on the differences of the uplift rate between this study and the other studies is required.

      • KCI등재
      • KCI등재

        개인용 컴퓨터를 이용한 PCR System 개발에 관한 연구

        최성길 대한의용생체공학회 1991 의공학회지 Vol.12 No.4

        A system using a personal computer has been developed for Polymerase Chain Reaction, an amplifying process of specific DNA. This system is composed of software and hardware which contains a control system, a heating and cooling system, a multichannel A/D converter, and a personal computor. The software is programmed'in assembly'and basic language. The newly developed PCR system which is controlled by the program of the personnal computor can be applied 1.o the amplification of various DNA. This system was tested by using Mycobacterium tuberculosis DNA and showed the DNA band on the UV transilluminator.

      • SCOPUSKCI등재

        동결속도 및 저장온도가 취반된 쌀의 노화도, 조직감 및 미세구조에 미치는 영향

        최성길,이철,Choi, Sung-Gil,Rhee, Chul 한국식품과학회 1995 한국식품과학회지 Vol.27 No.5

        Cooked rices were frozen at four different rates(3, 5, 7 and 12 hr) of maximum ice crystal formation zone and stored at $-20^{\circ}C\;and\;-70^{\circ}C$ for 3 months. Freezing rate, storage temperature and storage period all affected the degree of retrogradation of cooked rice. As the maximum ice crystal formation zone increased from 3 hrs to 12 hrs, the degree of retrogradation of cooked rice increased from 14.9% to 40.0%. Further retrogradation occurred during the freezing storage and cooked rice stored at $-20^{\circ}C$ retrograded faster than that held at $-70^{\circ}C$. The hardness and adhesiveness of frozen cooked rice thawed in $40^{\circ}C$ water were measured. Hardness of the frozen cooked rice was higher than that of non-frozen sample and was higher at lower freezing rate. However, the hardness of cooked rice decreased after 3 months of storage. On the other hand, the adhesiveness decreased during the freezing processing, and adhesiveness decreased more rapidly at a higher freezing rate. However, the adhesiveness of cooked rice increased after 3 months of the storage, and the level of decrease was higher at $-70^{\circ}C$ than at $-20^{\circ}C$. After 3 months of storage, ice crystal size of frozen cooked rice became larger by recrystalization than that of frozen sample prior to storage. Microstructure of cooked rice was damaged by ice crystal formation and its growth when observ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본 연구는 동결속도 및 동결저장온도가 취반된 쌀의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단열재를 이용하여 최대 빙결정 형성신간이 3시간, 5시간, 7시간 그리고 12시간인 동결속도로 24시간 동안 동결하였고, 동결된 시료는 각각 $-20^{\circ}C$와 $-70^{\circ}C$의 냉동고에서 3개월간 저장하여 동결저장동안에 각 시료의 노화도 그리고 조직감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동결된 쌀밥의 미세구조 및 표면구조는 빙결정을 동결치환에 의해 제거한후 scanning electron microscopy(SEM)으로 관찰하였다. 취반된 쌀의 노화도는 동결속도, 동결저장온도, 저장기간에 따라 큰 영향을 받아 최대 빙결정 형성시간이 3시간에서 12시간으로 길어짐에 따라 노화도는 14.85%에서 40.00%로 증가하였고, 동결된 쌀밥의 동결저장 중 노화도는 $-20^{\circ}C$에서 저장한 것이 $-70^{\circ}C$의 경우보다 노화된 정도로 크고, 빠른 진행을 보였다. 동결된 시료를 해동한 후의 경도는 동결시키지 않은 대조구와 비교할 때 크게 증가하였으며, 또한 동결속도가 늦어질수록 더 큰 증가를 보였다. 하지만, 3개월간 저장한 후에는 경도가 다시 감소하였다. 한편, 부착성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24시간 동안 동결된 쌀밥에서는 감소하였으며 3개월간 저장한 후에는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동결된 취반된 쌀의 빙결정의 크기는 동결속도가 늦어짐에 따라 커졌고 그 수는 상대적으로 적었다. 또한 3개월간 저장한 후에는 얼음의 재결정화에 의해 시료의 빙결정은 더욱 커져 취반된 쌀의 구조가 많이 파손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최대빙결정형성시간을 단축하여 취반된 쌀을 동결시키는 것과 낮은 온도에서 저장하는 것이 빙결정의 형성과 성장에 따른 전분의 노화와 조직감의 변화를 억제할 수 있다고 판단되었다.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