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단방성 법랑모세포종 환아에 대한 증례 보고

        최서정,박호원,김성민,Choi, Seo-Jung,Park, Ho-Won,Kim, Soung-Min 대한소아치과학회 2002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29 No.3

        The unicystic ameloblastoma deserves separate consideration on the basis of its clinical, radiologic, and pathologic features and its response to treatment. It refers to those cystic lesions that show clinical, radiographic, or gross features of a jaw cyst, but on histologic examination show a typical ameloblastomatous epithelium lining part of the cyst cavity. The lesion is most commonly found on the mandible posterior area, and often asymptomatic, although large lesions may cause a painless swelling of the jaws. The lesion typically appears as a circumscribed radiolucency that surrounds the crown of an unerupted molar. These are usually considered to be a dentigerous, residual cyst on the relationship of the lesion to teeth in the area. Three histopathologic variants of unicystic ameloblastoma may be seen. 1) Luminal type, 2) Intraluminal type, 3) Mural type. In this case, these tumor was treated as cysts by enucleation with iliac bone graft, and the diagnosis of ameloblastoma is made after microscopic examination of the presumed cyst. 단방성 법랑모세포종(Unicystic ameloblastoma)은 임상적, 방사선적 및 병리학적 소견과 치료방법 등이 법랑모세포종과 구별되어 따로 분류된 질환이다. 임상적, 방사선적으로는 치성낭종의 소견을 보이는 단방정 병소이며 조직학적으로 낭종의 소견과 함께 법랑모세포종의 소견을 보인다. 하악 구치부에 호발하며 악골에 무통성 종창을 야기 할 수 있으나 대개는 무증상인 경우가 많고 대부분 미맹출치 치관을 둘러싼 방사선 투과성 병소로 나타나며 방사선적으로 함치성낭(dentigerous cyst)이나 잔류낭(residual cyst)과 유사하다. 조직학적으로 낭종상피의 법랑모세포종성 변화(luminal type), 낭종강 내 종양결절의 돌출(intraluminal type), 결합조직 내로 법랑모세포종 세포의 증식(mural type) 등의 소견을 보인다. 본 증례는 좌측 안면부 종창을 주소로 내원한 8세 남자 환아에서 임상적, 방사선적 검사 후 낭종의 완전 적출술(enucleation)및 장골이식(iliac bone graft)을 시행하였으며 생검을 통해 단방성 법랑모세포종이라 확진되었고 양호한 치료 결과를 얻었기에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 KCI등재

        환아의 그림을 통한 치과치료시 불안도 평가

        최서정,박호원,Choi, Seo-Jung,Park, Ho-Won 대한소아치과학회 2003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0 No.3

        아동의 그림을 통해 치과 치료시 불안을 측정 할 수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만 4세 이상 9세 미만의 아동 중 3회 이상의 진료가 필요한 35명을 대상으로 내원시마다 1장씩 그림을 받아 Sheskin의 치과불안도를 수정한 6개의 분석항목으로 불안도를 측정하였다. 그 후 치과불안도(Dental Anxiety Scale, DAS)가 아동들의 불안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자가기록 방법인 Faces Pain Scale(FPS)을 이용하여 비교연구를 시행하였으며 치과불안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여려 요인들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DAS는 최저치 0점과 최고치 6점 사이에서 2점과 3점이 각각 32.6%(42/129)와 31.8%(41/129)로 가장 많은 분포를 보였으며 평균 2.50점을 기록하였다. 2. DAS에서 불안을 나타내는 항목 중 많이 표현된 것은 '치료상황의 생략', '치과의사의 크기를 줄이거나 비슷하게 그림', '신체 부위의 생략이나 왜곡', '미소나 입이 없음'의 순이었으며 불안을 나타내지 않는 항목 중 많이 표현된 것은 '치과 의사의 존재', '치과기구를 그리지 않음', '미소가 있음', '신체 모든 부위의 정상적 묘사'의 순이었다. 3. FPS는 최저치 0점과 최고치 6점 사이에서 0점과 1점이 각각 65.12%(84/129)와 23.26%(30/129)로 가장 많았으며 평균 0.64점을 기록하였다. 4. FPS에서 높은 불안도를 나타내는 4-6점 사이가 5.4%(7/129)로 나타났으며, 0-3점 사이의 군보다 DAS가 높게 나타났다(p<0.05). 5. DAS와 FPS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 DAS로 아동의 불안을 측정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r=0.2610, p<0.05). 6. '만 8세이상 9세 미만의 군', '남자아동'에서 높은 불안도가 나왔으며 '모르겠다'라고 응답한 군에서 낮은 불안도를 보여 나이, 성별, 과거 치 의과적 반응 등의 항목이 DAS에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고, 반면 내원횟수, 치료종류 등의 항목은 DAS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stablish validity for Dental Anxiety Scale in children by their drawings. Dental treatment was provied for 35 children in the ages of 4 to 8, using the quadrant approach. The children's anxiety arising during dental treatment was measured by Modified Sheskin's Criteria(Dental Anxiety Scale, DAS). After reliability analysis of Dental Anxiety Score, it was compared with Faces Pain Scale and was tested for their correlation. Thereafter the several factors having an effect on Dental Anxiety Scale were examined. A significant correlation(r=0.2610) was found between the two scales and Dental Anxiety Scale was high significantly in 4-6 score of Faces Pain Scale. The findings suggested that the Dental Anxiety Scale is a valid means of assessing child dental anxiety status in a clinical context and the Dental Anxiety Scale can be affected by 'Age', 'Gender' and 'Reaction in the past'.

      • KCI등재

        탈북청소년을 위한 진로상담 프로그램 동향 및 질적지표 분석

        지은(Ji, Eun),신윤정(Shin, Yun Jeong),김지선(Kim, Je sun),최서정(Choi, Allis Jeong),Ayse Isilay Konuk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1 통일인문학 Vol.86 No.-

        본 연구의 목적은 탈북청소년 대상으로 진행된 진로 관련 집단 프로그램에 대해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탈북 청소년 대상 진로 상담 프로그램을 개발을 위한 추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9편의 연구문헌을 대상으로 미국 교육부 산하 교육 과학 연구소에서 설립한 WWC(What Wokrs Clearinghouse)에서 제안한 질적 지표와 Hobfoll(2007)이 제안한 위기 집단을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 개입 시 고려되는 구성 원리 다섯 가지를 바탕으로 프로그램을 분석하였다. 첫째, 진로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크게 적응 지원과 진로 지원으로 나누어 관찰되었으며 둘째, 연구 설계는 통제 집단 사후 설계가 다수를 이루고 있었다. 셋째, 전통적인 상담 형태 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프로그램이 진행되고 있었으며 자기이해나 공동체적 주제를 다루는 프로그램도 많이 발견되었다. 질적 지표의 충족여부를 살펴본 결과, 대부분의 연구가 질적지표를 다수 충족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위기 집단 대상 프로그램에게 요구되는 주요 구성원리 중에는 자기 효능감-집단 효능감을 증진시키고, 연계성과 희망을 증진시키는 주제가 주로 포함되어있었지만, 안정감 증진 및 평안증진은 상대적으로 부족하였다. 마지막으로 탈북청소년 대상 집단 상담프로그램 개발의 추후 연구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studies on career counseling programs for North Korean refugee students and provide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Nine studies were selected and systematically analyzed to identify : (1)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and (2) how scientifically the program was designed and conducted. The studies were analyzed based on quality indicators suggested by the Works Clearinghouse (WWC), which was established by the U.S. Institute of Education Sciences (IES), and the intervention strategies for trauma victims suggested by Hobfoll et al. (2007). The results indicated that current career counseling and educational programs can be divided into those that adopt a psychological approach and those that adopt a practical approach. Second, in terms of the experimental design of the studies, the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setting was primarily used. Third, research was conducted not only in traditional counseling settings, but in diverse forms as well, and the interventions were focused on self-understanding and common themes. Fourth, the current studies met most of the quality indicators of the intervention strategies for trauma victims that were suggested by Hobfoll et al. (2007), except improving connectedness and providing hope. Implications for further research and practice are provided based on this study"s results.

      • 종자의 발아와 저장지방 유동중의 유전자의 발현 연구

        차현정 ( Hyun Jung Cha ),배시은 ( See Eun Bae ),윤여준 ( Yeo Jun Youn ),조은정 ( Eun Jeong Jo ),최서정 ( Seo Jeong Choi ),허준희 ( Jun Heui Hur ),김대재 ( Dae Jae Kim ) 충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5 과학교육연구논총 Vol.30 No.2

        발아 초기 에서 유식물이 완성되는 단계까지의 역전사-중합효소연쇄반응 (RT-PCR)에 따르면, 유식물체의 발달 동안에 저장지방의 유동과 관련된 Thio-2, ICL 및 MS 유전자는 항상 유사한 공조된 유전자 발현 양상을 나타냈다. 오이의 발아 초기에 BOU 유전자와 함께 ICL 및 MS 유전자의 공조된 발현은 퍼옥시좀과 미톤콘드리아 사이에 아세틸 단위의 2차 통로의 존재 가능성에 대한 하나의 증거중 하나이다. 즉, 이들 지방 유동의 핵심 유전자 산물인 효소나 막단백질의 활성은 지방의 유동이 세포내 지방체-미소체-미토콘드리아-세포질을 관통하는 여러 소기관을 경유하며 진행되지만 공조의 필요성을 강하게 암시한다. 앞서 보고된 연구에서 보여준 BOU 활성에서처럼 BOU 유전자는 빛 의존성으로 암소에서는 세포막의 미약한 발달로 인하여 활성이 저하됨을 암시한다. 본 연구에서는 아세틸 단위의 운반에 대한 새로운 발견으로써 지방 저장 종자의 발아와 오이 떡잎의 발달과 관련된 유전자의 발현을 분자생물학 기법을 활용하여 식물에서는 처음으로 확인하였다. 향후 또 다른 관련 BOU 유전자들에 대한 세부적인 연구가 진행되면 더욱 명확한 지방의 새로운 유동 경로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단방성 법랑모세포증 환아에 대한 증례 보고

        최서정,박호원,김성민 大韓小兒齒科學會 2002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29 No.3

        단방성 법랑모세포종(Unicystic ameloblastoma)은 임상적, 방사선적 및 병리학적 소견과 치료방법 등이 법랑모세포종과 구별되어 따로 분류된 질환이다. 임상적, 방사선적으로는 치성낭종의 소견을 보이는 단방성 병소이며 조직학적으로 낭종의 소견과 함께 법랑모세포종의 소견을 보인다. 하악 구치부에 호발하며 악골에 무통성 종창을 야기할 수 있으나 대개는 무증상인 경우가 많고 대부분 미맹출치 치관을 둘러싼 방사선 투과성 병소로 나타나며 방사선적으로 함치성낭(dentigerous cyst)이나 잔류낭(residual cyst)과 유사하다. 조직학적으로 낭종상피의 법랑모세포종성 변화(luminal type), 낭종강 내 종양결절의 돌출(intraluminal type), 결합조직 내로 법랑모세포종 세포의 증식(mural type)등의 소견을 보인다. 본 증례는 좌측 안면부 종창을 주소로 내원한 8세 남자 환아에서 임상적, 방사선적 검사 후 낭종의 완전 적출술(enucle-ation)및 장골이식(iliac bone graft)을 시행하였으며 생검을 통해 단방성 법랑모세포종이라 확진되었고 양호한 치료 결과를 얻었기에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The unicystic ameloblastoma deserves separate consideration on the basis if its clinical, radiologic, and patho-logic features and its response to treatment. It refers to those cystic lesions that show clinical, radiographic, or gross features of a jaw cyst, but on histologic examination show a typical ameloblastomatous epithelium lining part of the cyst cavity. The lesion is most commonly found on the mandible posterior area, and often asympto-matic, although large lesions may cause a painless swelling of the jaws. The lesion typically appears as a cir-cumscribed radiolucency that surrounds the crown of an unerupted molar. These are usually considered to be a dentigerous, residual cyst on the relationship of the lesion to teeth in the area. These are usually considered to be a dentigerous, residual cyst on the relationship of the lesion to teeth in the area. Three histopathologic variants of unicystic ameloblastoma may be seen. 1) Luminal type, 2) Intraluminal type, 3) Mural type. In this case, these tumor was treated as cysts by enucleation with iliac bone graft, and the diagnosis of ameloblastoma is made after microscopic examination of the presumed cy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