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동주택 층간균열의 하자판정 및 보수공법 적용에 대한 개선방안

        최상진,신만중,Choi, Sangjin,Shin, Manjoong 한국건설관리학회 2022 건설관리 : 한국건설관리학회 학회지 Vol.23 No.5

        공동주택의 하자소송 금액에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균열하자는 하자판정 기준이 명확하지 않아 판결에 따라 하자에 관한 판단이 엇갈리고 있다. 균열하자 판결금액 대부분을 차지하는 층간균열은 균열의 폭이나 상태와 관계없이 모두 하자로 판정되는 추세이며, 보수공법 또한 대부분 일률적으로 정해지고 있다. 이는 균열하자 판정의 기준이 되는 국토교통부의 하자판정기준과 법원에서 기준을 삼는 건설감정실무의 기준이 일치하는 않는 문제에서 출발한다. 법령의 개정과 법원감정실무지침서의 개정 등을 통해 모든 이해관계자가 적용할 수 있는 하자판정 기준의 수립이 필요하다. 또한, 층간균열 보수공법 기준은 층간균열의 폭과 상태에 따라 공법을 적용할 필요성이 있다. 균열에 대한 하자판정과 보수공법적용을 합리화한다면 소송에만 의존하는 현재의 하자분쟁 추세를 바꿀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Cracks, which account for the largest proportion of defect lawsuits in apartment buildings, are not clear on the criteria for defect determination, so judgments about defects are mixed. Interlayer cracks, which account for most of the crack defect judgment amount, tend to be judged as defects regardless of the crack width or condition, and repair methods are mostly set uniformly. This starts from the problem that the standards of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and the Construction Appraisal Practice, which the courts use as standards, do not match.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defect determination standard that can be applied to all stakeholders through the amendment of laws and the revision of the Court Appraisal Practice.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apply the crack repair method according to the width and condition of the interlayer crack. If the defect determination and the application of the repair method for cracks are rationalized, it could serve as an opportunity to change the current trend of defect disputes that rely only on litigation.

      • KCI등재

        Tizen 플랫폼 기반의 스마트워치에 대한 디지털포렌식 기법 연구

        최상진(Sangjin Choi),김휘강(Huy Kang Kim),이상진(Sangjin Lee) 한국디지털포렌식학회 2021 디지털 포렌식 연구 Vol.15 No.4

        최근 건강관리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늘어나면서 웨어러블 기기의 판매량도 증가하고 있다. 범죄 수사에서도 웨어러블 기기에 저장된 정보의 확보와 분석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하지만 다양한 플랫폼이 탑재된 웨어러블 기기에 대해 아직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아 범죄가 발생했을 때 신속한 자료 수집과 분석이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웨어러블 기기 중 삼성전자에서 출시한 Tizen 플랫폼이 탑재된 스마트워치에 대한 디지털포렌식 기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Tizen 플랫폼이 탑재된 스마트워치에서 획득한 자료를 분석하여 범죄 수사에서 활용할 수 있는 유의미한 자료들이 있는지 살펴본다. 그리고 스마트폰과 클라우드에 연동된 스마트워치의 건강 정보들을 확보하여 분석하고, 스마트폰의 연결 없이 스마트워치를 단독으로 사용할 때 스마트워치 전용 앱에서 확보할 수 있는 정보를 분석한다. 본 연구를 통해 범죄 수사에 있어서 스마트워치 내의 정보를 빠른 시간 내에 정확히 확보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Recently, as people"s interest in health care increases, the sales rate of wearable devices is also increasing. Acquisition and analysis of information stored in wearable devices is becoming more important in criminal investigations. However, as many studies have not yet been conducted on wearable devices equipped with various platforms, it is difficult to quickly collect and analyze data when a crime occurs. In this study, among wearable devices, we propose a digital forensic technique for smartwatch equipped with the Tizen platform launched by Samsung Electronics. We analyze the data obtained from the smartwatch equipped with the Tizen platform to see if there are any meaningful data that can be used in criminal investigations. In addition, it analyzes the health information of the smartwatch linked to the smartphone and the cloud, and analyzes the information that can be obtained from the smartwatch app when the smartwatch is used alone without a smartphone connection.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 information in the smartwatch can be accurately secured in a short time in criminal investigations.

      • KCI등재

        사업자의 일방적 급부변경권 약관에 관한 연구

        최상진(Choi Sangjin) 한국법학원 2021 저스티스 Vol.- No.186

        계약법의 기초는 당사자 간 의사 합치에 있다. 따라서 당사자 간 합의에 따라 체결된 계약의 내용을 한쪽 당사자가 일방적으로 변경할 수 있게 하는 일방적 급부변경권은 계약법의 세계에서 생소한 개념이다. 그러나 계약 체결 이후 발생한 사정으로 급부 간 등가성이 깨어진 경우 기존 계약의 구속력을 완화하고 급부를 조정함으로써 등가성을 회복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일방적 급부변경권은 그 의의를 갖는다. 또한 사업자에게 이와 같은 일방적 급부변경권을 유보하는 약관은 사업자와 고객 모두의 거래비용을 절감시켜 준다는 점에서 약관의 본래적 기능에 부합한다. 그러나 약관에 의한 계약이 갖는 구조적 불균형은 일방적 급부변경권 약관에 있어서 더욱 심화되므로 일방적 급부변경권 약관에 대한 내용통제가 필요하다. 우리 약관법 제10조 제1호는 상당한 이유 없이 급부의 내용을 사업자가 일방적으로 결정하거나 변경할 수 있도록 권한을 부여하는 조항은 무효라고 선언하고 있으나, 이때 ‘상당한 이유 없이’는 추상적인 기준으로서 당사자들의 예측가능성과 법적 안정성 제고를 위해 구체화할 필요가 있다. 본고는 급부 간 등가성의 유지가 일방적 급부변경권의 목적이자 한계로서 작용한다는 점에 근거하여, 해당 약관에 의하여 ‘변경 이후 급부 간 등가성이 담보될 수 있는지’를 일방적 급부변경권 약관의 내용통제 기준으로 제시한다. 한편, 비교법적 검토와 판결 분석을 거친 결과, 절차적인 요소로는 ① 급부 변경에 대한 통지 규정의 유무, ② 변경에 동의하지 않는 고객이 계약 관계로부터 벗어날 기회를 부여받는지 여부를, 실체적인 요소로는 ① 급부의 성격, ② 급부가 변경되는 사정의 명시 여부 및 그와 같은 사정에 따른 급부 변경의 필요성, ③ 약관 작성 과정에서 사업자 외의 자의 참여 여부를 일방적 급부변경권 약관에서 급부 간 등가성을 담보할 수 있는 구체적인 요소들로 제시하고자 한다. The basis of contract law is an agreement between the parties. Consequently, the unilateral right to modify obligation, which allows one party to unilaterally change - without the other party’s consent - the contents of a contract concluded by an agreement between the parties, is an unfamiliar concept in the world of contract law. However, when the equivalence between each party’s obligation is broken, the unilateral right to modify obligation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restore equivalence by making an adjustment to obligation. In addition, the terms and conditions for reserving such a right to a businessperson can reduce transaction costs for both businessperson and customer. Nevertheless, structural imbalance of a standard form contract deepens with terms and conditions of a businessperson’s unilateral right to modify obligation, thus requiring content control. Article 10.1. of Act on the Regulation of Terms and Conditions declares that a clause which, without a substantial reason, gives a businessperson power to unilaterally determine or change the details of obligation shall be null and void. However, “without a substantial reason” is an abstract criterion which needs to be further specified to enhance predictability and legal stability of the parties. Based on the concept of equivalence which justifies, and at the same time, limits the unilateral right to change obligation, this paper sets out to specify the abstract criterion provided in the Act. ‘Whether equivalence can be guaranteed between each party’s obligation’ after the modification under such term shall be a criterion in deciding the unfairness of such term. Through the analysis of comparative law and Korean court’s cases, this paper suggests ① notice clause regarding the change of obligation, ② customer’s right to terminate the contract as procedural factors, and ① the nature of the obligation, ② whether the conditions of such modification is explicitly stated in the term and need for such modification can be approved generally, ③ whether anyone other than the businessperson participated in the preparation of such terms, as substantive factors that can guarantee such equivalence.

      • 중소기업 진단 KIT 개발 연구

        최상진(Sangjin Choi),김진영(Jinyeong Kim),은종성(jongseong Eun) 한국산업경제학회 2016 한국산업경제학회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16 No.11

        국가과학기술연구회와 정부출연연구기관에서는 기술지도 · 자문, 인력파견, 사업기획․컨설팅, 해외진출지원, 기술이전 사업화, 애로기술개발, 원천기술개발, 네트워킹, 장비지원, 인력양성, 정보인프라지원, 정책연구, 시험 · 분석 · 인증 · 평가, 시제품 제작지원, 창업보육 등의 다양한 지원정책을 실행하고 있다. 그러나 지원프로그램 중복이 많고 효과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중소기업지원실에서는 중소기업에게 어떤 프로그램을 지원하면 되는지, 추가적으로 지원할 것은 무엇인지, 기업의 애로사항은 무엇인지 등을 파악하기 위해 중소기업 진단 KIT를 개발하게 되었다. 중소기업 진단 KIT는 중소 에너지기업들의 경영활동 영역에 대한 정의와 구체적인 활동을 제시하고, 이러한 정의와 활동을 평가하는 세부 평가지표들을 제시함으로써 중소기업들의 경영활동 진단자료로써 활용할 수 있다. 본 중소기업 진단 KIT에서는 전문적인 진단 영역을 일반화하여 피 진단기업들도 스스로 진단하고, 경영 전반에 대한 개선점을 스스로 도출할 수 있도록 하는데 주력하였다. 이를 위해 전문적인 용어의 사용을 배제하고, 항목을 최대한 단순화하였으며, 진단 KIT를 바탕으로 중소기업들이 스스로 진단하는 자가경영 진단모델로서도 활용이 가능하다. The National Research Council of Science & Technology and government-supported research institutes have been implementing various support policies. These include technology assistance and consulting; manpower dispatch; business planning and consulting; support for overseas market entry; improvement of technology bottlenecks; networking; equipment support; manpower training; information infrastructure support; policy research; testing, analysis, certification, and assessment; support for prototype manufacturing; and business incubation. However, many duplications in support programs exist and questions have been raised regarding their effectiveness. Thus, an assessment ‘KIT’ for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has been developed by the SMEs Support Team of the Korea Institute of Energy Research to investigate which programs are suitable for provision to SMEs, what kinds of additional support are needed, and what kinds of bottlenecks businesses are facing. The SME assessment KIT can be utilized as assessment material for SMEs’ management, as it provides the definition of the domain of SMEs’ management activities and the specific activities involved, along with detailed assessment criteria used to evaluate such definition and activities. The primary focus of this SME assessment KIT was to generalize the professional assessment domain to allow assessed enterprises to self-assess, in order to eventually help them locate by themselves where they can improve their overall management. For this purpose, the use of terminologies were avoided and the criteria simplified as much as possible. This assessment KIT may also be utilized as a model of business self-assessment for SMEs’ use.

      • 신재생 에너지기술 시장 평가

        박수억(Park, Soo-uk),이덕기(Lee, Deokki),최상진(Choi, Sangjin)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5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5 No.06

        There are many activities involved in promoting renewable energy technologies. These include governments, the renewable energy manufacturing and service industries, energy supply companies, investors, researchers, non-government organizations and customers. For a sustainable renewable energy market, finding a promising industry is essential. The industry has made significant progress in recent years, considering the fact that today's renewable energy market is relatively small. This paper analyses the technology market of renewable energy, focusing on photovoltaic system, fuel cell, wind system. It appears that there has been remarkable progress in renewable energy systems. Besides, developed countries are effectively increasing the share of niche market and promoting renewable energy worldwid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