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확률적분변환에 기초한 역가우스분포에 대한 적합도 검정

        최병진,Choi, Byungjin 한국통계학회 2013 응용통계연구 Vol.26 No.4

        Mudholkar와 Tian (2002)이 제시한 엔트로피 기반 검정은 위치모수와 척도모수가 모두 알려져 있지 않거나 척도 모수만 알려져 있는 역가우스분포의 적합을 알아보고자 하는 경우에만 사용이 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위치모수와 척도모수가 모두 알려져 있거나 위치모수만 알려져 있는 역가우스분포의 적합에도 적용할 수 있는 엔트로피 기반 적합도 검정을 소개한다. 이 검정은 확률적분변환에 기초를 두고 있다. 모의실험을 통해서 추정한 표본크기와 윈도크기에 따른 검정통계량의 기각값과 근사기각값을 얻기 위한 계산공식을 제시한다. 제안한 검정과 Mudholkar와 Tian (2002)의 검정을 검정력 측면에서의 성능을 비교하고자 모의실험을 수행한다. 모의실험 결과에서 제안한 검정은 기존의 엔트로피 기반 검정보다 더 좋은 검정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난다. Mudholkar and Tian (2002) proposed an entropy-based test of fit for the inverse Gaussian distribution; however, the test can be applied to only the composite hypothesis of the inverse Gaussian distribution with an unknown location parameter.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ntropy-based goodness-of-fit test for an inverse Gaussian distribution that can be applied to the composite hypothesis of the inverse Gaussian distribution as well as the simple hypothesis of the inverse Gaussian distribution with a specified location parameter. The proposed test is based on the probability integration transformation. The critical values of the test statistic estimated by simulations are presented in a tabular form. A simulation study is performed to compare the proposed test under some selected alternatives with Mudholkar and Tian (2002)'s test in terms of power. The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test has better power than the previous entropy-based test.

      • KCI등재

        모수적 엔트로피 추정량과 비모수적 엔트로피 추정량에 기초한 정규분포에 대한 적합도 검정

        최병진,Choi, Byungjin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13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ol.24 No.4

        본 논문에서는 모수적과 비모수적 엔트로피 추정량들에 기초한 정규분포에 대한 적합도 검정을 다룬다. 정규분포의 엔트로피에 대한 모수적 추정량으로 사용할 최소분산비편향추정량을 유도한다. 이 추정량과 대립가설 하에서의 자료생성분포에 대한 비모수적 엔트로피 추정량으로 표본엔트로피와 이것의 변형된 추정량들을 이용하여 검정통계량들을 구축했고 이 검정통계량들을 사용하는 새로운 엔트로피 기반 적합도 검정들을 제시한다. 제안한 검정들의 기각값들을 모의실험을 통해 추정해서 표의 형태로 제시한다. 성능의 조사를 위해 수행한 모의실험에서 제안한 검정들이 기존의 Vasicek (1976) 검정보다는 더 좋은 검정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난다. 응용에서 새로운 검정들이 정규성 검정을 위한 경쟁적인 도구로 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 this paper, we deal with testing goodness-of-fit for normal distribution based on parametric and nonparametric entropy estimators. The minimum variance unbiased estimator for the entropy of the normal distribution is derived as a parametric entropy estimator to be used for the construction of a test statistic. For a nonparametric entropy estimator of a data-generating distribution under the alternative hypothesis sample entropy and its modifications are used. The critical values of the proposed tests are estimated by Monte Carlo simulations and presented in a tabular form.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tests under some selected alternatives are investigated by means of simulations. The results report that the proposed tests have better power than the previous entropy-based test by Vasicek (1976). In applications, the new tests are expected to be used as a competitive tool for testing normality.

      • KCI등재

        역가우스분포에 대한 적합도 평가를 위한 그래프 방법

        최병진,Choi, Byungjin 한국통계학회 2013 응용통계연구 Vol.26 No.1

        A Q-Q plot is an effective and convenient graphical method to assess a distributional assumption of data. The primary step in the construction of a Q-Q plot is to obtain a closed-form expression to represent the relation between observed quantiles and theoretical quantiles to be plotted in order that the points fall near the line y = a + bx. In this paper, we introduce a Q-Q plot to assess goodness-of-fit for inverse Gaussian distribution. The procedure is based on the distributional result that a transformed random variable $Y={\mid}\sqrt{\lambda}(X-{\mu})/{\mu}\sqrt{X}{\mid}$ follows a half-normal distribution with mean 0 and variance 1 when a random variable X has an inverse Gaussian distribution with location parameter ${\mu}$ and scale parameter ${\lambda}$. Simulations are performed to provide a guideline to interpret the pattern of points on the proposed inverse Gaussian Q-Q plot. An illustrative example is provided to show the usefulness of the inverse Gaussian Q-Q plot. Q-Q 플롯은 자료에 대한 분포적 가정을 평가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편리하고 효과적인 그래프 방법이다. Q-Q 플롯은 자료의 분포와 이론적 분포를 비교하기 위한 확률플롯으로 자료에서의 분위수와 이에 대응하는 이론적 분위수를 각각 수직축과 수평축으로 해서 그린 산점도의 형태를 취한다. 본 논문에서는 확률변수 X가 위치모수 ${\mu}$와 척도수 ${\lambda}$를 가지는 역가우스분포를 따르면, 변환된 확률변수 $Y={\mid}\sqrt{\lambda}(X-{\mu})/{\mu}\sqrt{X}{\mid}$는 평균이 0이고 분산이 1인 표준반접정규분포를 하게 되는 분포적 결과를 활용하여 역가우스분포 Q-Q 플롯의 구축방법을 소개한다. 역가우스분포와 다른 분포를 따르는 자료를 대상으로 그린 Q-Q 플롯에서 나타나는 점들의 형태를 알아보고자 모의실험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제시한다. 실제 자료에 대한 사례분석을 통해 제안한 Q-Q 플롯의 유용성을 보인다.

      • KCI등재

        가에타노 줌보의 해부학 밀랍 모형

        최병진(Choi, Byungjin) 서양미술사학회 2017 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 Vol.47 No.-

        본 논문은 역사적으로 발전해온 의학과 미술의 협업 관계를 고려해서 라 스페콜라 자연사 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가에타노 줌보의 4점의 소극장과 〈두상의 해부학〉을 재조명한다. 특히 〈두상의 해부학〉은 의학사 분야에서 높이 평가받아왔지만 미술사 분야에서는 많이 연구되지 않았다. 따라서 최초의 다색 해부학 밀랍 모형으로서 접근하는 대신 문화적 의미를 담고 있는 미술품으로서 접근했다. 이를 위해 〈두상의 해부학〉과 같은 시기에 제작된 4점의 소극장은 죽음에 대한 줌보의 생각을 보여준다. 〈두상의 해부학〉은 소극장을 작업한 후 볼로냐에서 인체를 재현한 과학적 지식을 접한 후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소극장 그룹과 〈두상의 해부학〉이 연결고리가 있다고 판단했다. 이 과정에서 소극장 그룹과 연결될 수 있는 부분은 〈두상의 해부학〉의 표정이었다. 〈두상의 해부학〉은 해부학 밀랍 모형이라는 점에서 다시점이 적용된 내부 구조가 중요했다. 반면 작품에서 표피를 구성하는 인물의 표정이 지식의 전달에 반드시 필요한 부분이 아니었기 때문이다. 이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동시대의 작품들이나 이후 해부학 모델에서 지속적으로 발견되는 명확하지 않은 감정 표현이 담긴 이 표정은 르네상스 시대 가우리코 이후의 평론에서 설명하는 ‘모호성’과 서사 구조의 특징이 담겨있으며 이는 바로크 시대의 극화된 서사 구조의 특성과도 잘 부합한다는 점에 주목했다. 이를 토대로 동시대 가톨릭 종교개혁의 신학과 이미지에 대한 관점이나 죽음이라는 테마와 연관된 아졸리니와 같이 밀랍을 활용해서 제작한 종교적 봉헌물을 비교해본다면 <두상의 해부학>이 죽음과 연옥의 의미를 환기하는 문화적 혼유라는 사실을 보여준다. 그리고 이 연구는 의학과 미술 두 분야가 상호 융합된다기보다 상호 관점의 차용과 교환 속에서 각 분야를 발전시키면서 인간에 대한 의미체계를 함께 구성해나간다는 점을 보여주었다. This paper examines and analyzes the Anatomical Head of Gaetano Zumbo, the earliest known multi-colored anatomical wax model, in relation to his four teatrini – Vanitas of Great Human Being, Pestilence, Consequence of Syphilis, and Sepulchre – all of which are now on display in the Museum of Natural History of Florence, also called La Specola. Aside from being a rigorous anatomical model, the Anatomical Head may be viewed as a distinctive work of art exhibiting many of significant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period. Its facial expression, which is not an essential element of anatomical model, adds an artistic dimension which calls for some imaginative interpretations. It is posited that the Head’s facial expression is marked by certain ambiguities and epic styles that match the dramatic traits of Baroque art. It is also shown that the Head embodies the motif of death and the image of purgatory in reflection of the contemporary debates put forward by the Reformation and the Counter-Reformation movements. The Anatomical Head of Zumbo demonstrates how the two disparate fields of art and medicine could collaborate through the sharing of their respective perspectives so as to advance the system of knowledge concerning human beings and the culture.

      • KCI우수등재

        극단값분포에 대한 적합도 검정에 관한 연구

        최병진(Byungjin Choi)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19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ol.30 No.3

        극단값분포는 수명검정과 수문학 등의 다양한 영역에서 데이터 분석을 위한 확률모형으로 광범위하게 시용되고 있다. 극단값분포가 이들 영역에서 이론적 또는 응용적인 면에서 매력적인 모형이라고 하더라도 분석모형으로 데이터에 적합한지를 검증해 볼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모수들이 미지인 극단값분포에 대한 적합도 검정을 위해 앤더슨-달링 (Anderson-Darling)과 크래머-미제스 (Cramervon Mises) 검정의 사용을 논의한다. 검정에 사용할 검정통계량은 극단값분포와 관련된 모수를 포함하게 되고 이것을 편의-수정 최대가능도추정량과 최대엔트로피추정량 등으로 대체한 수정된 검정통계량들을 제시한다. 검정의 수행을 위해 필요한 기각값은 모의실험을 통해 추정하여 표의 형태로 제공한다. 또한 검정력 비교를 위해 모의실험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제시한다. The extreme value distribution is extensively used as a probability model for data analysis in various fields including life testing and hydrology. Although the use of the extreme value distribution is theoretically or practically justified in such fields, it is necessary to ascertain the appropriateness of the distribution prior to data analysis. In this paper, we discuss the use of the modified Anderson-Darling and Cramer-von Mises tests of fit for the extreme value distribution with unknown parameters. Since the test statistics to be used include the parameters involved in the extreme value distribution, we present the modified test statistics by replacing the unknown parameters with the estimators obtained by the maximum likelihood method for reducing bias and the maximum entropy method, etc. The critical values of the proposed tests using the modified test statistics are estimated by Monte-Carlo simulations and provided in a tabular form. We also carry out Monte-Carlo simulations for performance comparison in terms of power and present the obtained results.

      • KCI등재

        박물관 문화의 변화와 시각장애인을 위한 미술

        최병진(Byungjin Choi) 현대미술사학회 2018 현대미술사연구 Vol.0 No.43

        본고는 유럽 사회의 발전을 위한 전환점이었던 68운동 이후 박물관 개념의 변화에 관심을 가지고, 사회 구성원의 참여가 사회적 변화를 이끌어내는 부분을 다루려고 한다. 앙리 리비에르(Georges Henri Rivière)는 지속 가능한 사회에 대한 생각을 토대로 에코뮤지엄을 이론적으로 제안한 이후 박물관의 사회적 소통 전략이 변화되기 시작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황은 박물관의 사회적 소통에 대한 전략의 변화를 가져왔다. 전통적인 박물관의 이해관계자의 역할을 관람자 혹은 사회 구성원들이 대신하면서 공적 관심이 증가했다. 이러한 관점에서 대안공간이나 오픈 뮤지엄과 같은 박물관의 새로운 제도적 형식이 발전하면서 이제 박물관은 사회적 프로세스를 만드는 작업을 진행하게 되었다. 그리고 더 나아가 이와 같은 상황은 특별한 사회구성원들의 상황들이나 사회적 긴장에 주목하게 되었다. 예를 들어, 호메로스 국립 촉각 박물관은 시각장애인을 위한 미술을 전시하며, 이 과정에서 같은 전시공간에서 일반인과 시각장애인들이 동일한 경험을 통해 서로의 상황을 이해하고 사회를 개선하기 위한 시도로 설립되었다. 이와 같은 점에서 본다면 박물관은 매우 효과적인 사회적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도구이자 매체이다. 그리고 이는 사회적 관계성에 따라 요구되는 사회적 긴장에 대한 대안을 제시한다. 또한 박물관에 대한 사회적 관점의 변화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미술작품의 사례처럼 미술에 대한 지평을 확장하고 변화시키는 여러 요인 중 하나이기도 하다. The present study aims to examine the transformation of Museum Concept as an institution and the new role of the audience at the museum after Protests of 1968 where makes a social process work. The theoretical proposal of Henri Rivière about the ecomuseum that aimed at sustainable development of society, the strategy of the museums on the communication was changed. The participation of audiences in the role of the stakeholders improved the public interest. In this way, another institutional form of museum of Art is also developed: alternative space or open museum where the institutions became a social process work. This situation makes to see the social member’s particular situation, for example, the Visually Impaired at the museum of Art. The Homer State Tactile Museum at Ancona creates social dialogues between normal members and Visually Impaired making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on simultaneously at the exhibition. Proceeding from what has been said above, the museum is a useful instrument of social intervention that make the development of the local community. And this study has also shown that the change of viewpoint of the museum can be one of the influential elements on the idea of Art, obviously opening a new prospect in the field of art & art critic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