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네트워크도시 이론과 영남권 지역의 발전 전망

        최병두(Choi, Byung-Doo) 한국지역지리학회 2015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1 No.1

        이 논문은 네트워크도시 이론의 정책적 함의와 분석적 유용성을 고찰하면서 그 한계를 보완하고, 이를 영남권 지역에 적용하여 지역 발전을 위한 전망을 제시하고자 한다. 네트워크도시는 상대적 자립성을 가진 중소도시들이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상호보완성과 시너지를 확보함으로써 개별 도시와 권역의 발전을 동시에 추구한다는 점에서, 지구 지방화 과정에 대한 도시 및 지역의 적극적인 대응방안이 될 수 있다. 그러나 네트워크도시 이론과 이를 응용한 경험 적 연구가 가지는 한계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네트워크도시의 연계성을 경험적으로 고찰하기 위한 분석기법의 체계화, 연계성 지표의 확장, 네트워크도시에 내재된 규범성의 재확인, 네트워크도시를 위한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 네트워크도시와 연계된 도시 내부 공동체의 발전 방안의 모색 등이 요구된다. 이 이론을 활용한 영남권 도시지역에 관한 예비적 분석에서 이 지역은 네트워크도시에 근접하고 있지만, 명확히 네트워크도시라고 판단하기는 어렵다. 그러 나 규범적, 정책적 측면에서 영남권 도시지역이 네트워크도시를 지향하기 위하여, 권역 내 도시 및 지역들 간 교통통신 인프라의 확충, 경제적 상호연계성의 강화, 협력적 거버넌스의 구축, 권역 차원의 기능적 연계성의 국지적 착근화 가 필요하다는 점이 제시된다. This paper is to provide some suggestions to complement and extend theory of network city, and to consider preliminarily its applicability for development of the Yeongnam region, exploring its normative implications for urban and regional policy and its significance of empirical research. In order to resolve some limitations and problems of network city theory and of empirical research, we need to reconsider systematically analysis methods, to extend indices of connectivity, to reconfirm normative characters inherent in network city theory, to suggest the constitution of cooperative governance, and to develop policies for embedding functional connectivity into internal community. In a preliminary analysis of Yeongnam region on the basis of network city theory, it is not clear whether the urban system of the region is entirely a type of network city, even though it seems to be close to network city. However, in order for the Yeongnam region to orient towards network city, we can point out importance of policy issues such as expansion of transportation and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strengthening of economic connectivity, constitution of cooperative governance, and local embeddedness of functional network within the region.

      • KCI등재

        초국적 결혼이주가정의 음식

        최병두(Choi, Byung-Doo) 한국지역지리학회 2017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3 No.1

        이 논문은 행위자-네트워크이론에 바탕을 두고 초국적 결혼이주가정의 음식-네트워크의 형성과 이를 통한 결혼이주 여성의 경계 넘기를 개념적으로 고찰하는 한편, 이에 바탕을 두고 대구지역의 초국적 결혼이주여성의 경험적 자료를 수집・분석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로 다음 주장들이 제시된다. 첫째, 음식은 단일한 대상물이 아니라 음식을 만들고 먹는 과정에 개입하는 다양한 인간 및 비인간(물질과 제도 등) 행위자들로 구성된 네트워크 또는 다중적이고 혼종적인 요소들의 집합체로 이해된다. 음식문화는 가정의 사회적 관계와 장소성에 의해 규정되며, 또한 이를 재구성한다. 둘째, 결혼이주가정의 음식-네트워크는 이를 형성・재형성하는 과정에서 미시적 권력(또는 애착) 관계를 내포하며, 이러한 점에서 음식을 둘러싼 갈등과 타협이 교차하는 권력의 장이다. 셋째 결혼이주가정의 음식-네트워크는 본국 및 한국의 거시적 공간환경과 미시적 장소성에 의해 규정되며, 이러한 공간환경과 장소성은 음식-네트워크의 일부로서 다른 인간 및 비인간 행위자들과의 관계 속에서 작동한다. 넷째, 결혼이주가정의 음식-네트워크는 다중적・다규모적으로 형성되는 초국적 음식문화의 공간적 이동성과 장소성을 반영한다. 이를 통해 형성된 음식-네트워크에서 혼종적으로 재현되는 본국 음식문화는 위상학적으로 ‘유동적 공간’ 및 ‘부재의 출현’을 표현하며, 결혼이주여성으로 하여금 문화적 경계 넘기를 (불)가능하게 한다. This paper is to consider conceptually a formation of food-networks and border-crossing of transnational marriage migrant households on the basis of actor-network theory, and to analyze empirical data on the issues collected by interview with marriage migrant women living around Daegu, S.Korea. Some research results can be argued as follows: First, food can be seen, not as a single material object, but as a multiple and hybrid network of human and nonhuman (material and institutional) actors, in which activities of food cooking and eating are regulated by and (re)construct social relations and placeness of households. Secondly, food-networks in marriage migrant households implement relationships of micro-power (and attachment) in the process of its (re)formation, and hence the food-network, it can be argued, is a field of power in which conflicts and compromising around food cooking and eating are intersecting each others. Thirdly, food-networks in marriage migrant households in both their origin country and in the Korean home are not only affected by macro natural and social environments but also by micro placeness of the households, both of which constitute the food-networks and operate in relations with other actors in the netwroks. Finally, food-networks in marriage migrant households reflect multiple and multi-scalar spatial mobility and placeness of transnational food culture, through which they express topologically ‘fluid space’ and ‘absent presence’, in which marriage migrant women can (or cannot) conduct social and cultural border-crossing.

      • KCI등재

        자유주의적 환경론과 환경정의

        최병두(Byung-Doo Choi) 대한지리학회 2005 대한지리학회지 Vol.40 No.6

        이 논문은 현대 사회의 이데올로기적 바탕을 이루고 있는 자유주의적 이론에서 제시되거나 또는 함의된 환경론을 고찰하고, 특히 환경정의의 관점에서 이를 비판하고자 한다. 우선 포괄적 의미에서 자유주의적 견해에서 이해되는 환경론을 살펴보고, 다음으로 보다 심층적으로 로크 등의 근대 사상가로부터 시작되는 고전적 자유주의와 여기서 분화된 자유지상주의, 공리주의를 환경론적 관점에서 해석하고자 한다. 끝으로 자유주의에 근거한 다원주의 및 이에 대한 비판으로 제기되고 있는 다양한 대안적 다원주의들, 특히 공동체주의, 포스트모던 다원주의, 그리고 문화적 다원주의 등을 자유주의의 한계 극복과 환경(정의)론의 구축과 관련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결론적으로 환경정의에 관한 바람직한 개념화와 환경문제에 대한 올바른 접근을 위하여 최소한 자유주의(자유주의적 다원주의를 포함)에서 비판적 다원주의로 관심을 전환해야 함을 주장하고자 한다. This paper is to explore critically environmentalism, especially in terms of environmental justice, suggested or implied in theory of liberalism which has been the ideological foundation of contemporary society. It begins with a brief look at liberal perspective in a broad sense, then interprets in-depth the classical liberalism of J. Locke, libertarianism (esp. R. Nozick) and utilitarianism (including cost-benefit analysis) from the environmental point of view. And finally it considers liberal pluralism and other alternative theories of pluralism, especially communitarianism (esp. M. Walzer), postmodern pluralism (esp. I. Young), and cultural pluralism (esp. C. Taylor) in order to overcome limitations of liberal environmentalism and to find out some clues for theory of environmental justice. In conclusion, this paper argues that we need to transfer from liberalism (including liberal pluralism) to critical pluralism in oder to develop a proper understanding of environmental problems and to conceptualize a desirable theory of environmental justice.

      • 정보기술의 발달과 공간 개념의 재구성

        최병두(Choi, Byung-Doo) 한국공간환경학회 2005 공간과 사회 Vol.24 No.-

        정보기술이 역동적으로 발달함에 따라, 사이버공간이나 유비쿼터스 공간과 같은 새로운 전자공간의 등장과 더불어 물질적 공간의 근본적인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는 현실 세계의 사회공간적 재편과 더불어 공간 개념의 재구성에 대한 심층적 연구를 긴급하게 요청하고 있다. 이 논문은 먼저 정보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창출된 두 가지 유형의 새로운 공간, 즉 사이버공간 및 유비쿼터스 공간의 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정보기술의 발달에 따라 공간 개념 일반이 어떻게 재구성될 수 있는가를 고찰하고, 특히 전자적 공간을 공간적으로 재해석하고 나아가 전자적 공간과 물리적 공간 간의 관계를 논의하고자 한다. 끝으로 이러한 정보기술의 발달과 전자공간의 등장과 관련하여 사용되고 있는 공간적 은유와 그 함의들을 고찰하고자 한다. 결론적으로 전자공간은 물리적 공간의 소멸이 아니라 그 연장선상에서 상호 보완적 관계 속에서 형성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가상공간에서 사용되는 은유들은 현실 공간의 물질적 실천이나 권력 관계를 반영하고 있다는 점이 강조된다. As informational technology has been developed dynamically, not only new electronic spaces such as cyberspace and ubiquitous space have been generated, but also physical space has been fundamentally changed. This requires urgently a deep-insighted study on reconceptualization of space as well as reconfiguration of space in the real world. This study first looks into some characteristics of two kinds of new space, that is, cyberspace and ubiquitous space which have been emerged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al technology. And then it consider how the concept of space in general and that of electronic space in particular can be reformulated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al technology, and how electronic space and physical space are interrelated with each other. Finally this paper discusses on spatial metaphors and their implications which have been used in relation to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al technology and the generation of electronic space. In conclusion, this paper emphasizes that electronic space has to be seen not as disappearance of physical space, but as generation of new space in a mutual complement with the latter, and that the spatial metaphors in cyberspace reflects material practices or power relations in the real space.

      • KCI등재후보

        관계이론에서 행위자-네트워크이론으로

        최병두(Byung-Doo Choi) 대구대학교 다문화사회정책연구소 2017 현대사회와 다문화 Vol.7 No.1

        이 논문은 초국적 이주 분석을 위한 기존 연구방법론으로 관계이론을 재고찰하고, 이에 대한 대안적 연구방법론으로 행위자-네트워크이론의 유의성과 한계를 논의하고자 한다. 초국적 이주에 관한 기존 이론 또는 연구방법론들은 흔히 행위이론, 구조이론, 그리고 이들 간을 연계시키고자 하는 관계이론으로 구분된다. 사회적 연결망 이론, 사회적 자본론, 네트워크이론, 이주체계이론, 그리고 초국적이주이론 등을 포함하는 관계이론은 행위/구조의 이분법을 벗어나서 연계성을 강조하지만, 연계에 관한 서술이 다소 모호하고, 또한 다양한 용어들을 사용한다는 점에서 한계를 가진다. 행위자-네트워크이론은 이러한 관계이론에 대한 방법론적 대안으로 제시된다. 이 논문은 행위자-네트워크이론의 3가지 주요 개념들, 즉 행위자-네트워크, 번역, 위상학적 공간 개념 등에 초점을 두고, 이러한 개념들이 초국적 이주 연구에 어떻게 응용될 수 있는가를 고찰하고 있다. This paper is to reconsider traditional relational theories in analysis of transnational migration, and to discuss actor-network theory as an alternative methodology for the analysis of transnational migration. Traditional theories or methodologies to approach transnational migration tend to be classified into 3 types, that is, action theory, structural theory and relational theory which attempts to connect those two types. The type of relational theory which includes social network theory, social capital theory, migrant networks theory, theory of migration system, and transnational migration theory has emphasized properly the connectivity between the levels of action and that of structure, but described somewhat ambiguously that connectivity and tended to use confusingly numerous terms to do so. To resolve these problems in traditional theories of transnational migration, this paper suggests actor-network theory, and explore its applicability to analysis of transnational migration, especially focusing on three groups of its important concepts, that is, actor-network, translation, and topological space.

      • KCI등재

        인류세를 위한 녹색전환

        최병두(Choi, Byung-Doo) 한국공간환경학회 2020 공간과 사회 Vol.30 No.1

        이 논문은 ‘인류세’와 ‘녹색전환’의 개념에 근거하여 오늘날 인류가 처한 지구적 생태위기의 특성을 살펴보고 이에 내재된 두 가지 근본 문제로서 서구의 근대성에 내재된 사회와 자연 간 이원론적 인식론의 한계, 그리고 이러한 근대성에 기반을 두고 산업화·도시화를 추동했던 자본주의적 사회-자연의 문제를 고찰하면서, 사회-자연에 관한 대안적 인식론과 녹색전환을 위한 사회생태적 과제들을 논의하고자 한다. 이 논문은 우선 인류세에 관한 논의에서 제시된 지구적 생태위기의 특성을 ‘행성적 한계’와 관련하여 살펴보고 이러한 생태위기를 해소하고 진정한 의미의 ‘인류세’를 맞기 위하여 녹색전환이 필요함을 주장한다. 인류세를 위한 이러한 녹색전환은 지구적 생태위기를 초래한 인간의 의식과 사회구조의 근본적 변화를 요구한다는 점에서, 사회/자연의 이원론의 한계와 이를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인식론에 관해 논의한 후, 자본 축적을 위하여 무한 성장을 추구하는 자본주의 경제체제의 사회생태적 모순을 설명하고 나아가 이를 해소하기 위한 사회 각 분야의 녹색전환 과제들을 제시한다. This paper is to consider two fundamental problems in terms of the Anthropocene and ‘green transformation’, that is, limitation of the dualism of society and nature inherent in the Western modernity, and problems of capitalist society- nature in rapid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looking on global ecological crisis in a coupling process of the socio-economic system and the earth system, and to discuss both alternative epistemology of society-nature and important socio-ecological issues for green transformation. For these aims, this paper suggests first of all that what would be called as ‘green transformation’ is necessary to generate the Anthropocene in a true sense, while dealing with some characteristics of global ecological crisis in terms of the ‘planetary boundary’. As the green transformation for the Anthropocene requires substantial change of human consciousness and social structure which have promoted global ecological crisis, limitations of the society/nature dualism and a new epistemology to overcome it is discussed, a socio-ecological contradiction of capitalist economic system pursuing unlimited growth is explained, and finally some tasks for green transformation of each aspect of society are listed.

      • KCI등재

        결혼이주자의 이주 및 정착과정에서 나타나는 사회적 네트워크 변화에 관한 연구

        최병두(Byung-Doo Choi),정유리(Yu-Ri Jeong) 대구대학교 다문화사회정책연구소 2015 현대사회와 다문화 Vol.5 No.1

        본 연구는 행위자, 행위자 간 연결성, 연계 구조 등에 초점을 둔 사회적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결혼이주자의 이주 및 정착과정에서 나타나는 사회적 네트워크의 변화와 행위자들 간 영향력 관계를 살펴보고, 결혼이주자가 상호관계 맺고 있는 다양한 행위자들의 구성에 따라 생활만족도에서 나타나는 차이와 특성을 파악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이주 및 정착과정의 시기를 국제결혼 의사결정 과정, 이주 과정, 이주 직후, 현재로 구분하여 시기적으로 변화하는 사회적 연결망의 부재와 형성, 그리고 축소와 확대의 과정을 중심으로 분석하였으며, 행위자의 규모적 차원으로는 개인적 차원, 지역적 차원, 국가적 차원, 지구적 차원으로 구분하여 결혼이주자의 생활에 있어 행위자들이 미치는 차이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연구대상인 136명의 결혼이주자들의 사회적 네트워크는 시기에 따라 상당히 다른 특성을 보였다. 또한 행위자의 영향력에 따른 사회적 네트워크에서의 사회적 지지체계를 개인·지역·국가·지구적 차원으로 유형화하여 생활만족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결혼이주자는 자신을 지지해 주는 다양한 사회적 연결망이 구축될수록 한국생활에 자신감과 만족감을 나타냈다. 끝으로 이러한 점들과 관련하여 사회적 지지와 사회적 네트워크의 형성이 궁극적으로 결혼이주자의 한국사회에서의 생활에서 중요함을 밝혔다. This research is concerned with evaluation of social network with some principle issues on actors, their relationships and structures of connectivit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e out social network changes and influence linkages among actors through network analysis of human and non-human actor variables and through consideration of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of life satisfaction in relation to composition of various actors within marriage immigrants’ interrelation. To analyze periodic changes regarding absence/creation as well as downsizing/enlargement of social network, the migration and settlement process of international marriages has been categorized into four periods; decision making in the home country, international movement to Korea, right after arrival in Korea, and present status. As for an individual, the level of analysis has been divided into four scale, that is, personal, regional, national and global scale to identify living distinctions among marriage immigrants with regards to their influence. As a result, it is found out that characteristics and structures of social networks of 136 survey respondents differ according to their timeframe. Furthermore, by comparing disparities of life satisfaction among four different groups categorized according to their influence power, it is identified that those who have established diverse social networs show more confidence and satisfaction in Korean life. Finally, with a consideration of these factors, it is demonstrated that establishing social network and providing social supports are two crucial elements for marriage immigrants in Korean society.

      • KCI등재

        한국의 신지역지리학

        최병두(Choi, Byung-Doo) 한국지역지리학회 2016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2 No.1

        이 논문은 2000년대 이후 한국의 신지역지리학의 발달 배경 및 종합적 연구 동향에 관한 앞선 논문에 이어서, 인문지리학의 주요 전공분야들에서 이루어진 경험적 지역 연구의 동향과 과제를 고찰하고자 한다. 특히 장소와 경관 에 관한 역사문화지리학, 산업지구(또는 클러스터)에 관한 경제지리학, 도시 네트워크와 분화에 관한 도시(사회)지리학 에서 지역이 어떻게 연구되고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각 전공분야들에서 연구자들은 지역을 지칭하기 위해 각기 다른 용어들을 사용하고 있지만, 지역의 특수성을 보편적 과정과 관련시키고, 본질적 실체이지만 또한 담론적 구성물로 이 해하며, 영역성보다는 네트워크나 관계성에 더 많은 관심을 두고 있음이 확인된다. 이러한 공통점들은 기존의 전통적 지역연구에서 벗어나 신지역지리학의 경향을 반영한 것으로 평가된다. 앞으로 지역 연구에서 지역의 개념화를 위한 주요 과제로, 특수성/보편성, 실체성/구성물, 그리고 영역성/관계성의 이분법을 극복할 필요가 있으며, 또한 지역에 관 한 경험적 연구의 주요 이슈로 새로운 관점에서의 지역적 종합, 지역 내・외적 관계로서 지역불균등발전, 그리고 대안적 지역 만들기 등이 제시된다. This paper is to consider trends and issues of regional research in major sub-fields of human geography in Korea, following the previous one which dealt with contexts and general trends of new regional geography in Korea since the 2000s. They include historical and cultural geography on place and landscape, economic geography on industrial districts or agglomerated regions (i.e. clusters) and urban (and social) geography on urban networks and differentiation. Even though researchers in sub-fields have used different terms and concepts to identify region, they are in common to relate specificities of region to general processes such as (de)modernization, (de)industrialization, and globalization, to understand region as social and discursive constitution as well as substantive reality, and to give more attention to socio-spatial networks and relationality than territoriality of regions. These common points seem to reflect the emerging trend of new regional geography, and to get rid of existing traditional concept of region. It is suggested that major tasks for conceptualization of region in future research are to overcome dichotomy of speciality and generality, of substantive reality and discursive constitution, and of territoriality and relationality, and that important issues for empirical research on region include regional synthesis from new perspectives, uneven regional development as relational process in and between regions, and producing practice for alternative regions

      • KCI등재

        초국적 이주와 한국의 사회공간적 변화

        최병두(Byung-Doo Choi) 대한지리학회 2012 대한지리학회지 Vol.47 No.1

        이 논문은 한국에서 지난 20년 동안 급증했던 초국적 이주자들의 국내 유입과 이에 따른 사회공간적 변화에 관한 주요 세부 주제들을 전반적으로 그러나 가능한 체계적으로 성찰해보기 위한 것이다. 지구화의 불균등성과 교통통신기술의 발달 그리고 국내 경제성장과 저임금 노동력의 부족 등으로 인해 급증하게 된 외국인 이주자들은 수도권과 공단지역을 중심으로 불균등하게 분포해 있다. 이주노동자들은 단기적으로 지역경제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지만, 장기적으로 보면 오히려 부정적인 것으로 추정된다. 내국인들은 다문화의 필요성을 수용하면서도 동시에 단일민족에 대해 자부심을 가지는 이중적 태도를 보이고 있다. 중앙정부는 2000년 중반이후 외국인 이주자들을 위하여 본격적인 다문화정책을 추진하게 되었지만, 여전히 동화주의 또는 차별배제주의를 내재하면서 이들을 주변화시키고 있으며, 지방정부의 역할은 매우 미흡한 편이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고 다문화사회공간으로 원활하게 전환하기 위하여, 진정한 다문화주의 담론과 정책, 지방정부의 역할 증대, 지구-지방적 시민권의 보장 등을 촉구하는 초국적 이주의 지리학이 필요하다. This paper is to reconsider comprehensively and systematically major issues on transnational immigrants, increased rapidly since the beginning of the 1990s, and their impacts on socio-spatial changes in S. Korea. Foreign immigrants who have moved on the contexts of unevenness of globalization and advances in transport & telecommunication technology on the global level and of economic development and shortage of cheap and unskilled workers have been distributed unevenly, concentrating on the Capital region and local areas with industrial complexes. Foreign workers seems to have some negative influences on regional economies in the long-term, though positive in the short-term. Domestic people seem to have an ambivalent attitude which accepts necessity of multi-culture, while simultaneously continues to be selfconfident on ethnic homogeneity. The Korean government has launched multicultural policies for foreign immigrants by the mid-2000, but still continues some policies with assimilationism and differential exclusionism, marginalizing them socio-spatially, while lacking local government's policy and programmes. In conclusion, in order to resolve these problems and to transfer multicultural societal space of Korea, a geography of transnational migration which promotes especially discourse and policy with authentic multiculturalism, extending roles of local government, and ensuring glocal citizenship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