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교에서의 자살 사후개입 방안에 관한 연구

        최바올(Baole Choi),서영석(Young Seok Seo)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0 미래교육학연구 Vol.23 No.2

        유명인이나 주변인의 자살은 남은 사람들에게 매우 크고 파괴적인 영양을 준다. 본 연구에서는 아동이 지각하는 죽음에 대한 인식을 고찰하고, 이를 토대로 초등학교 아동들에게 적용할 수 있는 자살 사후개입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죽음에 대한 아동의 인식을 연구한 문헌들을 고찰하였고, 또한 국내외 주요 학술 데이터베이스에서 자살 사후개입(suicide postvention)이라는 키워드로 관련 연구물과 프로그램을 검색하였다. 이를 통해 초등학교에서 자살사건이 발생했을 때 활용할 수 있는 한국형 초등학교 자살 사후개입 프로그램(Korean Postven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KPPE)을 제시하였다. 특히, Roberts 등(1998)이 개발한 TEAM 접근법을 우리나라 상황에 맞게 재구성하여 현장에서의 활용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자살 사후개입에 지니는 의의와 제안점을 논하였다. A close person's or celebrities' suicide has vast and devastating effects on suicide surviv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chool-based postvention program especially designed for elementary schools. The literature on children's perceptions of death was reviewed, and Korean Postven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KPPE), a school-based postvention program was proposed on the basis of the TEAM approach developed by Roberts et al.(1998). Limitations of the study as well as implications for practice and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

        여대생의 자기개념 명료성과 이상섭식행동의 관계에서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의 매개효과

        최바올(Choi Baol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cept clarity and disordered eating behavior among female college students. Data from 302 female college students were analyzed apply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sults showed that self-concept clarity had negative effect o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had positive effect on disordered eating behaviors.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cept clarity and disordered eating behavior. These results suggest that female college students’ self-concept clarity affects disordered eating behavior through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Limitations of the research and implications for the literature, education and counseling were discussed. 이 연구는 여자 대학생의 자기개념 명료성과 이상섭식행동의 관계를 사회부과적 완벽주의가 매개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이루어졌다. 이를 위하여 서울의 4개 대학 홈페이지에 연구참여 홍보문을 게시하여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여자 대학 생 302명의 자료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여 적합도를 분석한 결과, 모형은 자료에 적합하였다. 변인 간 직접효과를 검증한 결과, 자기개념 명료성은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에 부적 영향을 미쳤으며, 사회부과적 완벽주의는 이상섭식행동에 정적 영향 을 미쳤다. 자기개념 명료성이 이상섭식행동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간접효과 검증을 위하여 부트스트래핑을 실시한 결과,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의 간접효과가 유의하여, 자기개념 명료성과 이상섭식행동을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가 문헌과 교육 및 상담현장에 주는 함의와 시사점을 논의 하였다.

      • KCI등재

        공대 졸업생의 진로포부, 직무적합성, 조직적합성, 전공연관성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유형별 직장 잔류의도 차이

        김승현(Seunghyun Kim),최바올(Baole Choi) 한국직업교육학회 2021 職業 敎育 硏究 Vol.40 No.3

        본 연구는 공과대학 졸업생들의 진로포부, 직무적합성, 조직적합성, 전공연관성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유형을 확인하고, 각 유형에 따른 잔류의도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실시하고, 잠재프로파일 유형의 따른 직장 잔류의도의 차이를 확인하고자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를 위해 2019년 한 대학의 졸업생 취업실태조사에서 수집한 자료를 조사 담당자의 동의를 얻어 사용하였다. 이 조사는 졸업 후 5년 이내의 졸업생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본 연구에서는 전체 응답자 중 현재 직장에 재직 중이며, 전공에 공학계열으로 답한 477명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한 결과 4개의 잠재프로파일 유형(낮은 포부-매우 낮은 적합성, 낮은 포부-낮은 적합성, 높은 포부-높은 적합성, 높은 포부-매우 높은 적합성)이 확인되었다. 둘째, 4개의 잠재프로파일은 잔류의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잔류의도는 높은 포부-매우 높은 적합성 집단이 가장 높았고, 높은 포부-높은 적합성, 낮은 포부-낮은 적합성, 낮은 포부-매우 낮은 적합성 순으로 도출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공과계열 대학생과 졸업생의 직업과 진로교육의 방향과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latent profile types according to career aspiration, job fit, organization fit, and major relevance of engineering college graduates, and to verify the difference in intention to stay for each type. To this end, latent profile analysis was conducted, and a one-way ANOVA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difference in the intention to stay at work according to the types of latent profile. For the study, data collected from the survey on the employment status of graduates of a university were used with the consent of the person in charge of the survey. This survey was conducted on graduates within 5 years after graduation, and data of 477 people who are currently employed and who majored in engineering were use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latent profile analysis, four types of latent profiles (low aspiration-very low fit, low aspiration-low fit, high aspiration-high fit, high aspiration-very high fit) were identified. Second, the four latent profiles had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tention to stay. Intention to stay was derived in the order of high aspiration-very high fit group, followed by high aspiration-high fit, low aspiration-low fit, and low aspiration-very low fit.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the directions and implications of career and career education for engineering students and graduates were suggested.

      • KCI등재

        4년제 대학 취업준비생의 지각된 상황적 제약과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의 관계: 자기냉담과 실패공포의 매개효과

        조진주 ( Jo Jin Ju ),최바올 ( Choi Baole ) 한국청소년학회 2023 청소년학연구 Vol.30 No.5

        본 연구는 대학 취업준비생의 지각된 상황적 제약과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의 관계를 파악하고, 이를 자기냉담과 실패공포가 매개하는지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4년제 대학교 4학년생, 초과 학기생, 졸업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 410부를 PROCESS macro로 분석한 결과, 첫째, 지각된 상황적 제약에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에 이르는 직접경로는 정적으로 유의하였다. 둘째, 지각된 상황적 제약과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의 관계에서 자기냉담과 실패공포 각각을 매개로 하는 간접효과와 순차적 이중매개 효과가 유의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상황적 제약을 지각하는 취업준비생에게 자기냉담과 실패공포가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을 높일 수 있는 변인임을 밝혀 개입의 근거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후속 연구에서는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을 낮출 수 있는 긍정적 매개변인의 탐색이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coldness and fear of failur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ituational constraints and intolerance of uncertainty among university students and graduates preparing for employment. For this study, the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410 university students and graduates, and the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PROCESS macro.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erceived situational constraints had positive effect on intolerance of uncertainty. Second, self-coldness and fear of failure medi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perceived situational constraints and intolerance of uncertainty. Third,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self-coldness and fear of failure between perceived situational constraints and intolerance of uncertainty was significant. This study revealed self-coldness and fear of failure are significant variables which can predict intolerance of uncertainty for job-seekers perceived situational constraints. Considering the results, future research needs to explore positive variables parameters that can lower intolerance of uncertainty.

      • KCI등재

        대학생의 특성불안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 자기격려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기수연(Ki, Suyeon),최바올(Choi, Baole) 한국진로교육학회 2019 진로교육연구 Vol.32 No.4

        본 연구는 대학생의 특성불안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자기격려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서울·경기‧대전‧충남‧광주지역 11개 대학교에서 온라인 설문조사를 하였고, 총 495부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변인 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연구방법으로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특성불안은 자기격려에 직접적인 부의 영향을 미쳤고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에는 간접적인 부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자기격려는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직접적인 정의 영향을 미쳤고 진로준비행동에 간접적인 정의 영향을 미쳤다. 셋째,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진로준비행동에 직접적인 정의 영향을 미쳤다. 넷째, 특성불안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자기격려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이중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특성불안이 높은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을 향상시키기 위해 내담자의 특성불안 수준을 파악하고, 내담자의 자기격려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수준을 고취시키기 위한 상담 개입이 유효할 것을 시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ncouragement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it anxiety of undergraduate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Data were collected from undergraduates of 11 universities in Seoul, Gyeonggi, Daejeon, Chungnam, and Gwangju province. The final 495 undergraduates’ data were included for analysis via online survey. The data were analyzed by apply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rait anxiety had a direct negative effect on self-encouragement and indirect negative effect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econd, self-encouragement had a direct positive effect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indirect positive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ir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had a direct positive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ourth, a full mediating effect of self-encouragement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was foun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it anxie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o improv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or undergraduates with high trait anxiety, it would be effective to increase their self-encouragement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Further implications for career counseling are discussed.

      • KCI등재

        남녀대학생의 페미니즘에 대한 인식 차이: 개념도 방법을 중심으로

        백근영 ( Keun Young Baek ),최바올 ( Baole Choi )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2021 人間理解 Vol.4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남녀 대학생의 페미니즘에 대한 생각의 내용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성별의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개념도방법을 활용하여 남녀 대학생이 인식하는 페미니즘의 내용을 추출하고, 페미니즘을 인식할 때 활용하는 차원과 군집을 살펴보며, 동의하는 정도를 확인하였다. 남녀 대학생들의 생각의 내용을 도출하기 위해 남자대학생 57명, 여자대학생 56명에게 페미니즘을 떠올리면 드는 생각을 적도록 하는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남자대학생으로부터 42개의 진술문, 여자대학생으로부터 39개의 진술문이 도출되었다. 이를 남자대학생 9명에게 남자대학생으로부터 추출된 진술문들을 유사한 것들끼리 묶도록 지시하고 여자대학생 10명에게 여자대학생으로부터 추출된 진술문들을 유사한 것들끼리 묶도록 지시하였다. 도출된 자료를 바탕으로 다차원 척도법 및 위계적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긍정-부정”과 “직관-판단”의 2개의 차원이 도출되었으며, 남자대학생은 “직관적 인식,” “인지적 긍정적 인식,” “부정적 정서와 인지”의 3개의 군집이 나타났으며, 여자대학생은 “부정적 정서와 인지,” “긍정적 직관적 인식,” “능동적 지향적 인식”의 3개의 군집이 나타났다. 남녀 대학생 150명씩 총 300명에게 각 진술문에 동의하는지를 조사하여, 페미니즘에 대한 진술문의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이를 기초하여 논의 및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e present study explored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 related to feminism and examined gender differences on those perceptions. Based on the process of concept mapping method, the present study extracted the contents of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related to feminism and identified the dimensions and clusters of perceptions related to feminism. As a result, three clusters of “Intuitive Perception,” “Cognitive Positive Perception,” and “Negative Emotions and Cognition” were extracted from male students, whereas three clusters of “Negative Emotions and Cognition,” “Positive Intuitive Perception,” and “Active Oriented Perception” from female students. Lastly, each of 150 male/female university students were examined whether they agreed to each statement. Based on this, suggestions were made for discussion and further research.

      • KCI등재

        공학계열 대학생의 심리적 · 환경적 진로장벽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희망과 진로정체감의 매개효과

        이건우(Lee, Geon Woo),최바올(Choi, Baole) 한국진로교육학회 2020 진로교육연구 Vol.33 No.1

        본 연구는 공학계열 대학생이 지각하는 심리적 · 환경적 진로장벽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희망과 진로정체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충북, 충남, 경북, 강원 소재의 4년제 대학교 여덟 곳에서 공학계열 대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여 심리적 · 환경적 진로장벽, 희망, 진로정체감, 진로준비행동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 407부를 바탕으로 변인 간 관계를 검토하고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통해 모형의 적합도 및 직접효과와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심리적 진로장벽은 진로준비행동에 직접 영향을 미치지 않고 희망과 진로정체감을 매개로 영향을 미쳤다. 둘째, 환경적 진로장벽은 진로준비행동에 직접 정적영향을 미쳤으며, 희망과 진로정체감을 매개로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 결과는 공학계열 대학생의 진로교육 및 상담 장면에서 희망과 진로정체감을 높이는 개입이 이들이 심리적 · 환경적 진로장벽을 극복하고 진로준비행동을 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hope and career identity betwee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each of psychological and environmental career barriers of engineering majors undergraduates. For this study,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407 samples were analyzed.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hope and career identity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career barrier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econd, hope and career identity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career barrier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terventions that enhance hope and career identity of engineering majors undergraduates can help them overcome psychological and environmental career barriers and take actions to prepare for their career.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4년제 대학 취업준비생의 다차원적 완벽주의와 사회비교경향성에 따른 군집유형별 취업불안과 구직효능감의 차이

        최명자(Myung Ja Choi),최바올(Baole Choi) 한국직업교육학회 2023 職業 敎育 硏究 Vol.42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취업준비생의 다차원적 완벽주의의 하위변인인 자기지향 완벽주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사회비교경향성에 따라 군집을 분류한 후 군집별로 취업불안과 구직효능감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 중 389부를 SPSS 22.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 2단계 군집분석,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이를 통해 형성된 군집을 확인하고, 군집 간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4개의 자연발생적 집단이 형성되었다. 군집 1은 ‘비완벽주의-비사회비교 집단’, 군집 2는 ‘사회부과 완벽주의 집단’, 군집 3은 ‘완벽주의-사회비교 집단’, 군집 4는 ‘자기지향 완벽주의-사회비교 집단’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군집유형에 따라 취업불안과 구직효능감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취업불안은 군집 1, 군집 2, 군집 4에 비해 군집 3 완벽주의-사회비교 집단이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구직효능감은 군집 1, 군집 2, 군집 3에 비해 군집 4 자기지향 완벽주의-사회비교 집단이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4년제 대학 취업준비생의 완벽주의와 사회비교경향성에 따라 취업불안과 구직효능감이 다르므로, 상담장면에서 내담자가 어느 하위집단에 속하는지에 대한 평가와 이에 따른 차별적인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job-seeking anxiety and job-seeking efficacy between groups of job seekers according to self-directed perfectionism,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For this purpose,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Using SPSS 22.0, 389 of the collected data were used to conduct descriptive statistics, two-step cluster analysis, and one-way ANOVA.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four naturally occurring clusters were formed. Cluster 1 was the Non-perfectionist-social comparison group; Cluster 2 was the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t group; Cluster 3 was the Perfectionist-social comparison group; and Cluster 4 was the Self-directed perfectionist-social comparison group. Job-seeking anxiet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cluster 3 to clusters 1, 2, and 4. Job-seeking efficac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cluster 4 to clusters 1, 2, and 3.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differences in job-seeking anxiety and job-seeking efficacy among job seekers based on self-oriented perfectionism,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ocial comparison tendencies, and to provide differentiated interventions to clients.

      • KCI등재

        코로나 팬데믹 시기 여자 고등학생의 간호학 전공 선택 과정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박우정(Park Woojung),최바올(Choi Baole) 한국진로교육학회 2024 진로교육연구 Vol.3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ajor selection process of female high school students who chose a nursing major during the COVID-19 pandemic. For this purpose, seven female college students who entered the nursing program after the pandemic were recruited as participants and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from February to May 2023. After analyzing the data using a case study method, we found that the participants chose to major in nursing mostly through the choice model process suggested by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SCCT; Lent, Brown, & Hackett, 1994). Specifically, the external environmental variables of the COVID-19 pandemic (increased job anxiety due to corona virus, weakening career education due to social distancing, and increasing amount of media about nurses) and personal variables (personality that likes to help others, occupational values that pursue job stability and altruism, and socialized gender role that requires women to take care of others and their families) interacted to influence learning experiences (browsing nurse-related media, listening to nurses’ field experiences, reading related books, and observing nurses in action) and influenced their self-efficacy and outcome expectations (Positive expectations about my future job, positive expectations of job conditions for female nurses), which led them to develop a career interest in nursing and choose nursing as a major. In this process, the interpersonal context (teachers’ and parental approval, and peer support) on choice behavior played a mediating role. This suggests that social change interacted with personal variables to influence female high school students’ choice of nursing as a major and that support and recognition from people around them is necessary when choosing a career.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xplored the process by which pre-existing cultural influences and personal variables interacted with unexpected changes in the social environment to influence individual career development, providing useful implications for the literature and for career counseling and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