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산지역주민의 행복감 영향요인 분석

        최말옥(Choi, Mal-Ok)(崔末玉),문유석(Moon, Yu-Seok)(文維錫) 한국지방정부학회 2011 지방정부연구 Vol.15 No.1

        본 연구는 지방정부가 목표로 하고 있는 주민들의 삶의 질과 행복감 증진을 위한 정책추진을 위해서는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가를 규명하는 것이 우선되어야 된다는 인식하에 부산시민 47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일련의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사회경제적 요인별 행복감 평균값 차이분석에서는 연령, 교육수준, 종교유형, 직업, 주택소유형태, 월소득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행복감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종교유형별로는 천주교의 행복감이 가장 높고 가장 낮은 불교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교육수준, 직업, 주택소유형태, 월소득 등에 따른 행복감의 평균값차이 분석 결과는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을수록 행복감이 높아진다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부산시민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시행된 회귀분석결과에서는 사회경제적 요인 중에서는 주거유형과 월소득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주거유형이 자가인 경우가 전세나 월세인 경우에 비해 높고, 월소득이 많을수록 행복감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적인 요인으로는 낙관주의와 우울 모두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낙관주의는 정(+), 우울은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활여건 요인 중에서는 교육과 경제에 대한 만족도가 행복감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결과가 가지는 이론적인 의미를 논의하고 부산시민의 행복감 증진을 위한 정책적인 방향을 제시하였다. Local governments are responsible for increasing their residents’ happiness level by implementing various policies. Effective policies for local residents’ happiness can be secured only if they are based on an accurate diagnosis on the causes of happiness. This study aims to find out factors influencing local residents’ happiness by analyzing the data collected through conducting surveys on 472 citizens of Busan Metropolitan City.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rough a series of analysis of variance (ANOVA), this study found that among socio-economic variables, age, education level, religion type, occupation, housing ownership type, and monthly income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happiness levels. Second,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is study found that housing ownership type, monthly income, optimism, depression, satisfaction levels of education, and economy are significant predictors of local residents’ happiness level. After discussing theoretical meanings of these findings, this study proposed a few policy alternatives to improve local residents’ happiness level.

      • KCI등재

        노인 생활 만족도 및 자아존중감과 우울감에 대한 집단 음악 프로그램 효과성 비교 연구

        최말옥(Mal Ok Choi),박혜령(Hye Ryoung Park) 한국노인복지학회 2005 노인복지연구 Vol.0 No.27

        본 연구는 집단음악프로그램이 시설노인과 재가노인의 생활만족도와 자아존중감의 향상, 우울감의 감소에 대하여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 시설노인과 재가노인 간의 효과성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집단음악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그 결과를 분석한 것이다. 연구의 대상자는 마산시의 사회복지관 부설 탁로소에서 생활하고 있는 노인 13명과 창원시에 소재한 S양로시설의 12명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을 대상으로 200t년 2월 16일부터 동년 3월 31일까지 6주간 12회로 집단음악 프로그램을 진행하여 수집한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연구목적을 위해 세 가지의 가설을 설정하였다. 즉 첫째, 집단음악프로그램에 참여한 시설노인과 재가노인의 생활만족도는 프로그램에 참여하기 전보다 참여한 후 차이가 날 것이다. 둘째, 집단음악프로그램에 참여한 시설노인과 재가노인의 자아존중감 정도는 프로그램에 참여하기 전보다 참여한 후 차이가 날 것이다. 셋째, 집단음악프로그램에 참여한 시설노인과 재가노인의 우울 정도는 프로그램에 참여하기 전보다 참여한 후 차이가 날 것이다. 분석 결과, 집단음악프로그램이 시설노인과 재가노인 모두에게 긍정적 효과를 가져왔으나 재가노인보다는 시설노인의 생활만족도, 자아존중감, 우울감 감소에 더욱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시설노인의 경우 생활만족도 U=22.500, 유의확률 p=0.003(p<0.01), 자아존중감 U=0.000, 유의확률 p=0.000(p<0.001), 우울감 감소 U=2.500, 유의확률 p=0000<0.001) ). 이러한 분석 결과에서 알 수 있는 것은 일반적으로 집단음악프로그램이 재가노인 보다는 시설노인에 대하여 생활만족도와 자아존중감을 증가시키고, 우울감은 감소시켜 준다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서 시설노인에게 보다 유익한 프로그램임을 확인할 수 있다는 것이다. This study analyzed the result after did group music program for the effectiveness of difference the aged in welfare institution and in Family, and How about the group music program have effect on promoting life satisfaction and self-esteem, while demoting the mental depression of the aged in welfare institution and in Family. The sample of this study was taken from day-care center of social-welfare center located in Masan, 13 aged people, and welfare institution located in Changwon, 12 aged people. The programs were held in 12 separate performanc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life satisfaction level of the aged in welfare institution was improved after the group music program(pre- 33.25, post- 40.08/ +6.83, U=22.500, p=0.003(p<0.01)). 2. the self-esteem level of the aged in welfare was improved as well, after the group music program(pre-24.33, post-32.12/ +7.83, U-0.000, p=0.000(p<0.001)). 3. the depression level of the aged in welfare diminished after the group music program(pre- 21.42, post- 14.17/ -7.25, U=2.500, p=0.000(p<0.001)). The result, the group music program improved for both the aged in welfare institution and the aged in family. But the group music program improved the life satisfaction level the self-esteem level the depression level of the aged in welfare institution more than the aged in family.

      • KCI등재

        지역아동센터 아동들에 대한 지역사회복지사의 사례관리 경험

        최말옥 ( Mal Ok Choi ),박은주 ( Eun Ju Park ) 경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人文論叢 Vol.40 No.-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 아동들의 사례관리를 위해 파견된 지역사회복지사를 대 상으로 사례관리과정에서의 경험을 이해하고 그 의미를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참여에 동의한 5명의 지역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포커스 집단 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최종 분석에는 4명의 연구참여자로부터 얻은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지역사회복지사들은 긴장과 설렘, 분노와 무력감, 자책, 다시 힘을 내어 그리고 더 나은 변화를 위해 의 과정을 경험하였다. 그러한 경험은 아 동과 부모, 지역아동센터 선생님과 학교선생님뿐만 아니라 지역사회복지사들에 게 긍정적 변화를 경험하게 하는 힘 이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들을 바탕으로 지역아동센터 아동을 위한 사례관리에서 대해서 논의와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know case management experience of social workers in the case management process in community children``s center. Using focused group interview(FGI), the depth interviews with five case managers had been carried out three times.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ased on the interview and focus group research method by Corbin and Strauss (2008). This study found the case management is the motive power of the growth in the community children``s center. The case management system would be changed for children and parents to encourage their positive changes. Through case management, social workers`` perspectives were changed specifically, they have shed light on children as service users.

      • KCI등재

        정신장애인의 자아존중감과 집단의식이 권리의식에 미치는 영향

        최말옥(Choi Mal-Ok) 한국사회복지학회 2004 한국사회복지학 Vol.56 No.2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의 일반적 특성, 정신장애인의 장애관련 특성, 대인관계의 정도, 서비스의 경험정도를 살펴보고, 이들 특성들이 정신장애인의 자아존중감과 집단의식, 권리의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정신장애인의 자아존중감과 집단의식, 권리의식이 어떠한 상관관계를 가지는지를 살펴본 것이다. 본 연구는 부산.경남지역의 정신보건시설을 이용하는 정신장애인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로는 첫째, 정신장애인의 자아존중감에 있어서는 교육의 정도, 가족의 월 소득정도, 가족관계에 대한 만족도, 친구와 보내는 시간, 친구에 대한 만족도와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신장애인의 집단의식에 있어서는 결혼상태, 친구와 보내는 시간과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신장애인의 권리의식에 있어서는 진단명, 친구와 보내는 시간, 친구에 대한 만족도에 따라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자아존중감, 집단의식, 권리의식과의 상관관계에 있어서는 자아존중감이 집단의식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집단의식이 권리의식에 상당한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information needed in developing mental health service programs which can help mental patients to improve their self-esteem.<br/> For that purpose, the difference and the interrelation between mental patients' characteristics, and their self-esteem, group consciousness and consciousness of right were examined. And also, in practice, I observed 374 patients suffering from mental problem, who live in Busan and in Kyeong Nam province.<br/> As the result, the several facts which could be got from this theoretical examination and practical observation are as follows:<br/> First, it is shown that what is meaningfully related to mental patients' self-esteem are their educational level, the families' monthly earnings, a feeling of satisfaction to family relationship, the time spending together with their friends, or a feeling of satisfaction to their friends<br/> Second, it is appear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group consciousness of mental patients, and whether they have got married and the time spending together with their friends. <br/> Third, it is found out that their feeling of satisfaction to family relationship and the time spending together with their friends have meaningful relation to consciousness of right which mental patients have. <br/> Finally, speaking of interaction among self-esteem, group consciousness and consciousness of right, it is understood that self-esteem has significant effect of group conciousness, and that group consciousness has confidential effect on consciousness of right

      • KCI등재

        강점관점으로 본 ADHD 아동 어머니의 양육 경험에 관한 연구

        최말옥(Choi, Mal-Ok) 한국사회복지학회 2012 한국사회복지학 Vol.64 No.1

        본 연구는 ADHD 아동을 양육하는 어머니들의 체험을 통한 본질의 의미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면접은 2010년 4월부터 2011년 4월까지 약 12개월동안 14명의 ADHD 아동 어머니를 대상으로 2~3회에 걸쳐 현상학적 연구로 진행되었다. 그 결과 강점관점으로 본 ADHD 아동 어머니들의 양육경험의 본질은 ‘완주를 위해 자신과 싸우는, 원하지 않는 마라톤’을 위해 달려가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이러한 어머니의 강점관점으로서의 경험 본질은 ‘그래도 이쁜 내새끼와 함께하기 위한 힘을 찾아가는 여정’인 마라톤이었으며 그 경험은 시·공간적으로 8가지로 구성되었다. 처음 아이의 독특한 행동들을 겪으며 ‘혼란의 연속’속에서 ‘ADHD진단의 먹먹함’을 경험하지만 ‘엄마라는 운명’에 아이를 위한 총체적 노력을 기울이게 된다. 그 과정에서 ‘총알이며 은총인 선생님의 말’에 절망과 감사함을 경험하면서 엄마들은 원하지 않은 마라톤의 대열에 합류하게 된다. 포기할 수도 없는 완주를 향해 달려가는 외로운 전투를 하면서도 내아이를 위해, 나를 위해 ‘그래도 긍정적으로’ 살기로 한다. 하지만 자식을 위해 자신을 독려하지만 쉬운 과정은 아니다. 그럼에도 아이로부터, 가족으로부터, 전문가들로부터 도움을 받으며 ‘버텨내는 힘’을 얻게 된다. 평범하지 않은 아이를 키우는게 힘들고 ‘현재진행형이지만 그래도 이쁜 내새끼를 위하여’ 오늘도 엄마는 아이와 함께 완주를 위해 달려가고 있는 것이다. ‘도착점’이 다시 ‘출발점’이 된다 하더라도 달려갈 수 밖에 없는 마라톤을 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경험적 근거를 기반으로 하여 ADHD 어머니와 아동을 위한 사회복지실천과제를 제언하였다. This study was aimed to seek the essential meaning of the Strengths Model based experience of the mothers of the children with ADHD. To achieve such goal, a phenomenological study was carried out from April 2010 to April 2011 covering about 12 months in the way of 2~3 times of interviewing with 14 mothers of the children with ADHD. As a result, the essence of the experiences of those mothers was interpreted as "the running of unwanted marathon struggling themselves to complete it". The joining in the unwanted marathon turned out to have led "me" the mother of the children with ADHD into miserable pain, but that is the "energy" for "my child" to endure the world. The essence of those mothers" experiences were divided into eight processes by timely constitution. They firstly experience ’a serial confusion" by their children"s odd behaviour which turns out to be "a semiconscious feeling by the diagnosis with "ADHD" but then they make full efforts for their children accepting their " maternal fate" . In that process, they participate in the unwanted marathon with the feeling of misery and gratitude for the "sayings of teachers which play the roles of shot and grace". The process was expressed as "marathon like pain" They make a resolve to live positively in the midst of lonely struggle unable to give up toward the finish line for "my child and myself". They encourage themselves for their children, but that"s not easy process. Nevertheless, they gain enduring energy supported by their child, family and specialists. Those mothers keep running today also for their " beloved doves enduring the ongoing hardship" from the raising of abnormal child toward the finish line of the marathon they have to run for even though the "finish line" may turn into" "starting point" again" This researcher submits here the maternal experiences above as the task to practice social welfare for the mothers of the children with ADHD and the children themselves.

      • KCI등재

        경계선 지적기능 아동을 둔 어머니의 양육 경험에 관한 연구

        최말옥(Choi, Mal-Ok) 한국사회복지학회 2014 한국사회복지학 Vol.66 No.1

        본 연구는 경계선 지적기능 아동을 양육하는 어머니들의 체험을 통한 본질의 의미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면접은 2011년 10월부터 2012년 7월까지 약 10개월 동안 8명의 경계선 지적기능 아동을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2~3회에 걸쳐 면접한 뒤 Van Manen(밴 매넌)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경험의 본질을 탐색하였다. 그 결과 경계선 지적기능을 가진 아동을 둔 어머니들의 양육경험의 현상은 ‘못하는 아이에서 느리게 가는 아이로의 이해' 과정이었다. 양육경험의 본질은 ‘소유가 아닌 바라보기’인 것으로 해석되었다. 이 의미는 Tennyson(테니슨)이 주장한 소유의 개념이 아닌 松尾芭蕉(바쇼)의 ‘바라보기’이다. 하지만 궁극적인 개념은 Goethe(괴테)의 존재의 개념에서의 ‘바라보기’이다. 경계선 지적기능 아동을 둔 어머니들은 아동을 키우면서 자신의 틀 안에서 키우고 싶었지만 많은 갈등과 마음 속 전쟁을 치르면서 내 아이가 아닌 아동 그 자체를 바라보아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못하는 아이가 아니라 느리게 가는 아이라는 것을 인식하게 되었다. 그러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엄마의 욕심을 내려놓고, 아이를 이해하며, 아이와 보폭을 맞추어 가면서 스스로의 존재에 대해서도 인식해야 함을 경험한 것이다. The major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care giving experiences of mothers, who have their children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disorder. The core analytical strategy was to find out the essential meaning of caring their children. For this purpose, eight mothers were participated in depth interview, which conducted during October, 2011 through July 2012. The face-to-face interview repeated two or three times based on phenomenological perspective. The interview suggested two major findings: changing mother’s view from raising retarded children to caregiving a child with growing-up substantially slow speed; the essence of nurturing experiences for mothers, whose children have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was to watching with attention rather than advocating ownership. This result can be also found in Barshow’s concept of ‘watching’ rather than ‘possession’, which is suggested by Tennyson. However, the essential meaning of this concept was associated with ‘watching with care’, which was originated form Goethe’s notion of ‘existence’. Mother’s of children with borderline intellectual functioning have reached a point of view: when creating a parent-child relationship, it was essential that the child was not ‘my child’, but was ‘a child’ per se. This type of parent-child relationship was a result of giving up a desire that the child raised within mother’s boundary. It was also a result of psychological warfare and conflict in mother’s mind. To internalized this view, it is recommended that the mothers implement the following three perspectives: first, the mothers put down overly-pushed motive toward their children; second, they enhance their level of understanding toward their child; third, it is necessary that the mothers build a new sense of existence through matching their level of concern with their children.

      • KCI등재후보

        정신장애인의 권익옹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분석

        최말옥(Choi Mal-Ok),김행미(Kim Haeng Mi)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8 社會科學硏究 Vol.24 No.4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이 지각하는 가족의 적응력과 결속력, 낙인에 대한 지각과 대처 방법에 의해 권익옹호의식이 차이가 있는지,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그 영향력이 어느 정도인지를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었다. 참여자는 전국의 정신병원, 정신보건센터, 사회복귀시설을 이용하고 있는 정신장애인과 등록된 정신장애인 중 설문에 응해준 677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는 첫째, 조사 결과 정신장애인은 낙인에 대한 대처방법으로 교육을 제일 우선시해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둘째, 자신의 권리옹호(2.55)보다 타인의 권리를 옹호하는 정도가 높았으며, 전체 권익옹호의 평균은 2.66이었다. 이것은 아동에 대한 조사에서의 자신의 권리(3.17), 타인의 권리(3.04)보다 그 수준이 훨씬 낮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자신의 권익을 옹호하는 것은 가족의 결속력과 적응력, 타인의 권리가, 타인의 권익을 옹호하는 데는 가족의 결속력과 적응력보다는 낙인지각대처로서 교육의 대처방법과 자신의 권익옹호가 영향을 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primary information for the practice of mental health in the field studying which factors would affect advocacy. The factors includes the family adaptability and the family cohesion. perceived stigma and coping method. This survey was completed through delivering mails over about 9 weeks from October 12 to December 16. It analyzed 677 out of 683 which were answered by the mentally ill registered in and using the mental hospital, mental health center, social rehabilitation center.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one 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revolution analysis by SPSS 14.0. I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ducation affected the human rights advocacy of the mentally ill. The human rights advocacy has the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Stigma, family adaptability and the family cohesion have the effect on the human rights advocacy. Human rights advocacy was affected by the family cohesion. perceived stigma and coping method.

      • KCI등재후보

        소방대원의 외상 후 스트레스와 레질리언스 과정에 관한 연구

        최말옥(Choi Mal Ok),손광훈(Son Kwang Hoon),김서정(Kim Seo Jung),김행미(Kim Haeng Mi)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7 社會科學硏究 Vol.23 No.3

        본 연구는 화재진압, 구조, 구급 등의 다양한 구분의 영역에서 외상 후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되는 소방대원들의 경험을 통해 외상 후 스트레스를 극복해 온 레질리언스 과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 대상자들은 부산광역시에 거주하고 있는 소방대원 중 화재나 구조현상으로 인한 외상 후 스트레스로 인해 공상 받은 소방대원 9명을 선정하였다. 그러나 면담을 거부한 1명과 면담에 필요한 내용을 밝히기를 거부하는 2명을 제외한 6명을 대상으로 사례연구를 하였다. 사례분석의 결과 소방대원들은 신체적 고통을 느끼는 단계, 현실을 인식하는 단계, 절망에 빠지는 단계, 긍정적인 사고를 하는 단계,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는 단계, 현실에 대해 체념하는 단계, 살아가기 위한 노력하는 단계를 거친다고 보였다. 연구대상자들이 외상 후 스트레스를 견뎌온 과정에서 주변사람들의 도움을 포함함에도 불구하고 외상 후 스트레스는 개인의 신체적, 심리적 건강을 위협하며, 가족과 이웃을 비롯한 사회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study focused on assessing resiliency of the fireman in dealing with post traumatic stress related to their occupational duties. Nine fireman in Busan who they perceived were under stress resulting from fire fighting work or rescue work were recruited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Because one rescuer among nine refused to participate in the interview for the study and two refused to give an informed consent for the study, interviews with six fireman were finally examined in case study. It is found that the fireman tend to work through several stages in dealing with occupational post-traumatic experience: stage of experiencing physical pain, stage of realizing one's reality, stage of feeling despaired, stage of having optimistic view, stage of accepting one's reality, and stage of struggling for living. In addition, participants in the case study indicates that post traumatic stress resulting form occupational duties makes them vulnerable in psychological as well as physical aspect and then impacts to one's family, neighbor, and further the whole society.

      • KCI우수등재

        ADHD 아동을 둔 어머니들의 ADHD 치료 및 서비스 경험에 관한 연구

        최말옥(Choi, Mal-Ok) 한국사회복지학회 2016 한국사회복지학 Vol.68 No.2

        본 연구는 ADHD 아동을 양육하는 어머니들의 체험을 통한 ADHD 아동에 대한 치료와 서비스 본질 의미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본질을 탐색하기 위해 ADHD 아동에게 실시한 치료와 서비스의 경험을 Giorgi 4단계를 토대로 단계별 치료와 서비스 경험의 의미와 정보 채널의 과정을 연구문제 내용으로 기술하였다. 연구문제는 ADHD 아동 어머니들이 경험한 ADHD 치료 및 서비스 경험의 실태는 무엇인 가?, ADHD 아동 어머니들이 경험한 ADHD 치료 및 서비스의 본질적 의미는 무엇인가? ADHD 아동 어머니들이 경험한 ADHD 치료 및 서비스 경험의 구조는 어떠한가?로 구성되었다. 이를 위해 2014 년 6월부터 전화면접을 통한 접촉을 시작하였으며, 인터뷰는 2014년 12월부터 2015년 2월까지 실 시되었다. 13명의 ADHD 아동 어머니를 대상으로 2~3회에 걸쳐 현상학적 연구로 진행되었다. 그 결과 ADHD 아동 어머니들이 경험한 ADHD 치료 및 서비스 경험의 본질적 의미를 통한 질적 구 조는 ‘내가 변해야 우리 아이가 산다’는 것으로 인지의 변화를 가져온 ‘인식변화를 위한 동행과정’이었 다. 이러한 과정은 ‘무지와 혼란 속에서 자기결정의 부재’를 가져온 경험을 통해 ‘지각한 현실과 불안 에 대처하며 변화에의 욕구’를 가진 후 ‘변화를 시도하지만 아직 남은 미결의 과제’를 지닌 채 ‘긍정적 변화의 주체로’ 맞서 나아가는 과정이었다. 이 연구결과를 통해 병합치료의 필요성과 치료를 지속하는데 있어 부모의 올바른 인식에 의한 치료 참여는 주요한 변인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아동의 변화를 위한 어머니의 변화가 중요하 지만 삶에 대한 어머니의 태도가 긍정적으로 변화될 때만이 이루어질 수 있는, 어머니의 인지의 변화 과정이었다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erceptions in treatments and experiences of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s (ADHD) for mothers parenting a child with ADHD. Using Giorgi's 4 stag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aning of ADHD treatments for mothers. Data were collected from December 2014 to February 2015 for 3 months with a sample of 13 mothers of children with ADHD via in-depth interviews.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an interpretative phenomenological approach. Dominant issues identified were: I (mother) need to be changed for my child; Through mothers' experiences of lack of self-determination about a child with ADHD, they realized ignorance, chaos, and anxiety. While they experience multiple negative feeling, there is a positive change with unresolved issues. The findings highlight the correct awareness of ADHD and incorporated therapies for mothers and children with ADHD to improve treatment retention. Also, specialized services would be developed for mothers to promote their positive attitude to life, which is vital to cultivating the correct self-awareness.

      • KCI등재

        남성과 여성의 행복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 비교

        최말옥(Choi Mal-Ok)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1 社會科學硏究 Vol.27 No.2

        본 연구는 사회경제적 요인, 심리적 요인 중 여성과 남성에게 행복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2010년 9월 대학생조사원이 부산에 거주하는 성인 남녀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한 자료 중에 미회수되거나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472부의 설문지를 토대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 사회경제적 요인(성별, 연령, 교육수준, 종교 여부, 결혼여부, 동거 자녀수, 직업, 주거유형, 월소득, 거주기간), 심리적 요인(낙관주의, 건강상태, 대인관계, 자아존중감, 정신건강상태)에 따라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이 다른지를 살펴보았다. 결과는 첫째, 여성과 남성 다 공통적으로 교육정도, 낙관주의가 행복감에 주는 영향력이 컸다. 둘째, 여성은 주거형태, 정신건강상태가 영향력이 큰 반면 남성의 경우는 직업적 요인과 우울요인이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행복감을 향상시키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거나 대책방안을 마련할 때 성별로 차별화 될 필요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level of happiness among males and females, and examine the effect of socioeconomic factors, psychological factors, and regional factors contributing to the happiness of males and females. A total number of 500 adults completed the questionnaire containing measures of study variables, and 472 of them(302 female and 170 male) were analyzed. The findings of the research indicated the following: First, with regard to the factors,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something in common of happiness in education and optimism. Second,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to examine the explanatory power of variables on happiness, the housing types and mental health status were the most effective on happiness of females and the occupation factors on that of males. For happiness of males, economic satisfaction was also significant. These findings of the research indicate a need of different involvement between males and females in developing the programs for increasing happi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