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수출기업의 GVC 통합 솔루션 구축전략과 수출성과 결정요인

        최기몽,문희철 국제e-비즈니스학회 2019 e-비즈니스 연구 Vol.20 No.1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evel of syetem integration and its implementation strategy in Korean exporting firms from global value chain(GVC) perspective.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e study, we analyzed the determinants of the adoption of GVC integrated solution and its effects on GVC improvement and export performance in Korean exporting firms. For the empirical analysis,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500 domestic exporting firms, and 131 sheets were collected and statistic analysis was implemented using SPSS, AMOS and PLS program. In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level of GVC integrated solution implement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G-SCM performance and lead to export performance. Also compared to large enterprises, SMEs in Korea are very vulnerable to GVC integration due to the cost of construction and lack of proper strategy, and their utilization of support system related to export is very low. Therefore, government's policy support might be urgent for construction and utilization of integrated solution. 본 연구는 우리나라 수출기업이 ERP와 e-SCM, e-C/O 시스템의 연계와 같은 정보시스템을 어느 정도 수준에서 구축하고 있는가와 그에 따른 수출성과를 GVC(글로벌 가치사슬) 관점에서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위해 우리나라가 체결중인 FTA의 유리한 무역환경과 제도적 기반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GVC 통합솔루션의 개발이 필요한가에 대한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선도적인 대기업 및 중견기업과 다수의 중소기업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실증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조사대상 대기업과중견기업 등은 시장의 불확실성 등 외부요인의 영향에도 불구하고 대부분 높은 수준의 시스템을 구축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활용성과도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반면에 대개의 중소기업들은 시장의 불확실성과산업 내 경쟁 등 외부요인에도 불구하고 역량 부족으로 정보시스템 구축에 소극적이었고, 특히 e-SCM 과e-C/O 시스템과 ERP 시스템의 융합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각각의 시스템을 연동시켜활용하는 사례는 매우 미미하였다. 결론적으로 GVC 통합솔루션 구축 수준은 GVC와 수출 성과에 긍정적인영향을 주고 있으며, 대기업에 비하여 국내의 중소기업들은 구축비용 부담, 전략의 부재 등으로 인하여 GVC 편입에 매우 취약한 상황이고 수출과 관련된 지원시스템 활용도 매우 낮았다, 따라서 GVC 통합시스템의구축과 활용에 대한 정부의 관심과 정책적 지원이 FTA를 활용하여 세계시장에 진출하고자 하는 많은 국내중소기업들에게 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 KCI등재

        한국 제조기업의 GVC참여와 거버넌스 유형이 수출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적 연구

        최기몽,안태식,문희철 한국무역학회 2023 貿易學會誌 Vol.48 No.1

        This study is an empirical analysis of export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type of GVC participation and governance of Korean manufacturing companies. Based on panel data from KOSPI listed firms, it was analyzed that relational investment, information exchange, and innovation affect the level of supply chain integration and corporate performance with the moderating role of trust.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degree of integration of the supply chain affects GSCM's performance and export performance. In case of the type of GVC governance, it was analyzed that the higher the integration strength, the higher the performance compared to other types. This result shows that trust-based supply chain integration and continuous GVC investment are very important. This explains that high levels of GVC governance, along with high integration strength, can lead to successful GSCM performance. Innovative investment strategies based on the relationship capabilities and trust levels of GVC participating companies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degree of global partnership formation and integration 본 연구는 국내 제조기업의 GVC 참여 유형과 거버넌스에 따른 수출성과를 실증분석한 것이다. KOSPI 상장기업의 패널자료를 바탕으로 관계투자, 정보교환, 혁신은 신뢰의 조절역할과 함께 공급망 통합수준과 기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공급망 통합 정도가 GSCM의 실적과 수출 실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GVC 거버넌스 유형의 경우 통합강도가 높을수록 다른 유형에 비해 성과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신뢰 기반의 공급망 통합과 지속적인 GVC 투자가 매우 중요함을 보여준다. 이는 높은 통합 강도와 함께 높은 수준의 GVC 거버넌스가 성공적인 GSCM 성과로 이어질 수 있음을 설명한다. GVC 참여기업의 관계역량과 신뢰도에 기반한 혁신적인 투자전략은 글로벌 파트너십 형성 및 통합 정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KCI등재

        4차 산업혁명 시대 한국 무역업체의 uTradeHub 활용에 관한 실증적 연구

        정재은,최기몽,손경원,문희철 한국통상정보학회 2019 통상정보연구 Vol.21 No.4

        본 논문은 2008년 본격 서비스가 제공되기 시작한 One-Stop 신개념 전자무역 단일창구인 uTradehub의 활용현황에 대해 재조명 해보고 활용결정요인과 uTradehub 활용상의 장애요인이 기업의 uTradehub 활용수준과 수출성과에 대해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데에 연구목적을 두고 있 다. 실증분석을 위해 설문조사를 이행하고 구조방정식 연구모형 분석법을 적용해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실증분석에는 SPSS 24.0, AMOS 24.0의 프로그램이 활용되었다. 분석 결과 기업의 uTradehub 활용수 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외부환경의 압박 및 영향과 정부의 교육지원 요인인 것으로 나타 났으며, 경영진의 uTradehub 활용에 대한 지원과 정부의 교육지원 요인이 uTradehub 장애요인에 부 (-)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uTradehub 장애요인은 uTradehub 활용수준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쳤다. This paper reviewed the current status of uTradehub, Korean e-Trade single window platform that have begun to provide one-stop trade process services since 2008. For the empirical analysis, the survey was conducted and the results were obtained by applying the structural equation research model analysis method. The programs of SPSS 24.0 and AMOS 24.0 were used for the empirical analysis. As a result, the factors that significantly effected the uTradehub use level of the company were the pressure and influence of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the government's education support factors. The negative effects of the management's support and the government's education support factors on uTradehub obstacles were significant. uTradehub obstacles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uTradehub use lev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