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보건사회복지 개념과 역할 재구성

        최권호(Choi, Kwon-Ho)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15 비판사회정책 Vol.- No.49

        건강은 신체, 정신, 사회적 영역을 포괄하는 다차원적 개념이다. 최근 암, 심혈관질환, 당뇨 등과 같은 비전염성 만성질환이 주요 건강위협질환으로 대두되며 질병과 건강을 이분하여 바라보던 급성케어모델이 건강연속성 모델로 전환되고 있다. 이와 함께 사회복지와 보건의료의 협력 및 통합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양자 간 협력의 존재태(存在態)로서 의료사회복지를 주목한 경우는 거의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의료사회복지의 기원이 되었던 미국을 중심으로 병원을 넘어 보건사회복지로 확대되었던 역사적 맥락을 짚어 보고, 한국에서는 그 개념이 어떻게 변천하여 왔는지 살펴보고, 보건사회복지의 개념과 역할 재구성을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한 축으로는 건강 연속적 속성, 다른 한 축으로는 병원-지역사회의 연속적 속성을 고려해 ①지역사회기반 예방중심, ②위기개입, ③옹호중심, ④병원중심(전통적 의료사회복지), ⑤사후관리 등의 5개 범주로 개념 및 역할을 재구성하였다. Health is a multi-dimensional concept which includes physical, mental, and social well-being, not merely the absence of disease. As non-communicable chronic diseases such as cancer, cardio-vascular diseases, and diabetes become health threatening, the foundation of health care transforms from acute care model toward health continuum model. With this context, the collaboration and integration between social work and health care becomes more crucial. However, few studies have focused on the health social work as a phenomenon of the collaboration and integration of both. Therefore, the historical changes of the concept of health social work in the United States as well as Korea are reviewed. Based on this review, five dimensions of health social work are reframed: ①community based disease prevention, ②crisis intervention, ③advocacy, ④hospital based, and ⑤long-term care.

      • KCI등재

        팀 기반학습을 적용한 사회복지 교과목 수업설계와 운영

        최권호(Choi Kwon Ho),류한수(Ryu Han Su)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2018 한국사회복지교육 Vol.43 No.-

        학습자에게 일방적으로 정보와 지식을 전달하는 교수방법에서 벗어나 팀을 학습에 활용하는 팀 기반학습의 효과성이 확인되며 대학 교육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사회복지교육에 팀 기반학습의 교수방법을 활용하여 대학 사회복지교육에서 「사회문제론」수업을 설계하고 그 운영과정과 학습자 참여수준의 효과성을 평가하는 데 목적이 있다. W대학교 사회복지전공에서 2018년 1학기에 개설된 교과목에 팀 기반학습의 원칙에 따라 수업을 설계하고 운영하였으며, 수업에 참여한 학습자 중 설문에 유효하게 응답한 45명을 대상으로 수업 사전, 중간, 사후 시점에 학습자 수업참여수준을 분석한 결과, 유의하게 수업참여 수준이 높아진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팀 기반학습이 대학 사회복지교육에서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으로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며, 이를 토대로 사회복지교육 적용 가능성을 논의하였다. Team-Based Learning (TBL), which utilizes team structures to facilitate learning, has been applied in various university educational settings as an alternative to one-directional teacher transmission of information and knowledge to learn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ign and implement a college-level “social problem” curriculum using TBL, which has been relatively less studied in social welfare, an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learning engagement in this setting. In the first semester of 2018 at W university, the course was designed and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principles of TBL. Forty-fiv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class were surveyed on the learning engagement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TBL. Results showed that the level in learning engagement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Therefore TBL may be an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in social welfare education.

      • KCI등재

        가정폭력 가해자 치료프로그램 이수 이후 가해 남편의 재폭력과 피해 여성의 정신건강 실태

        김재엽(Kim, Jae-Yop),최권호(Choi, Kwon-Ho),장용언(Chang, Yong-Eon) 한국피해자학회 2011 被害者學硏究 Vol.1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the recidivism of physical violence of batterers and mental health of battered women after BIP(Batterer Intervention Program). As method, a self-report telephone survey was completed by victimized women for three times. 116 women answered at time 1(9 months after BIP), 76 answered at time 2(14 months), 56 answered at time 3(19 months). Frequency analysis and F-test were conducted to identify the phenomenon. Results show that the recidivism of physical violence, emotional violence, control, depression, and suicidal idea were decreased, though the indicators were still high level at time 1. However, self-efficacy, aggression, and positive communication between family menbers (TSL: Thank, Sorry, Love) were not significantly improved. Based on these findings, we suggest implications for BIP. First, follow up case management for not only batterers but also victims after they return to their wedlock is needed, especially at early stage of return. Second, BIPs are needed to be improved, especially the idea that non-physical assault such as emotional violence and marital control are harmful to women is to be educated to batterers. At last, therapeutic family programs which emphasize basic and positive communication between family members are needed to be imposed to restore the family functions.

      • KCI등재

        탈북여성의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김재엽 ( Jae Yop Kim ),최권호 ( Kwon Ho Choi ),채지훈 ( Ji Hun Chae ),황현주 ( Hyun Ju Hwang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3 사회복지연구 Vol.44 No.2

        본 연구는 탈북여성의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 이를 토대로 사회복지적 함의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탈북여성 156명을 대상으로 자가보고식 설문조사를 시행하고, 빈도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조사대상 탈북여성 중 45.5%가 최근 1년 간 자살생각을 경험하였다. 우울,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알코올 사용, 소득, 연령 등을 통제한 상태에서도 탈북여성이 경험한 일상생활에서의 스트레스는 자살생각의 위험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이들이 경험하고 지각한 사회적 지지는 일상생활 스트레스와 자살생각과의 관계를 조절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토대로, 탈북여성의 자살문제에 대한 성 인지적 접근의 필요성, 정신건강 서비스 구축의 필요성, 지역사회 정착 프로그램의 강화 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between daily life stress and suicidal ideation of North Korean refugee women in South Korea. We survey with self-report questionnaires for 156 refugee women, conduct descriptive and regression analysis. As results, (1) almost half of the surveyed experience suicidal ideation in a year, (2) daily life stress affects suicidal ideation controlling with depression, PTSD, alcohol use, income, and age, (3) social support which North Korea refugee women perceive buffers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tress and suicidal ideation. From these results, implications are suggested. Gender cognitive policies are needed in North Korea refugees in South Korea. Also, community mental health services and sustainable community program for North Korea refugee women are important to prevent their suicidal attempts.

      • KCI등재

        소아암 아동청소년의 학교복귀 및 적응 어려움, 기존 서비스의 한계와 대안

        남석인(Seok In Nam),최권호(Kwon Ho Choi)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3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38 No.-

        본 연구의 목적은 소아암 아동청소년의 학교복귀 및 적응 어려움을 파악하고 기존 서비스의 한계와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만 18세 이상의 소아암 생존자 6명과 병원에서 소아암 환자와 가족에게 심리사회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건강전문가 6명이며, 이들 두 집단을 대상으로 초점집단토론(focus group discussion)을 실시하였다. 질적 연구방법의 하나인 근거이론에 기반하여 분석한 결과, 학교복귀 및 적응 어려움(소아암으로 인한 차별경험, 부모의 과보호, 준비 가 부족한 학교), 기존 서비스의 한계(건강장애 제도와 서비스의 한계, 병원 내 사회복지 전문 인력의 부족, 자원의 부족), 서비스 지원방안(소아암 당사자의 역량을 강화시키기, 멘토링 프로그램, 가족역량강화 서비스, 교사의 이해증진 프로그램, 사회적 인식의 개선, 병원과 학교의 연계 서비스)으로 3개의 주제와 12개의 하위 범주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소아암 당사자의 자기결정권을 존중하고 변화된 모습을 수용할 수 있도록 심리적 지지와 멘토링 프로그램, 가족역량 강화 서비스의 제공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학교환경 변화를 위한 단계적 지원과 사회적 인식 전환노력, 건강장애 제도의 개선방안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school reentry and adjustment difficulties of childhood cancer survivors and to make suggestions to improve services for them. A focus group discussion was conducted on two groups, one group of 6 childhood cancer survivors aged over 18 and the other group of 6 health professionals providing psycho-social services for childhood cancer patients and their families. Through an analysis drawing upon grounded theory,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school reentry and adjustment difficulties (discrimination against childhood cancer survivors, overprotection from parents, and unprepared school), limitations of the existing services (lack of health impairment system and services, a shortage of professional social workers and resources), plan for supporting services (empowerment of childhood cancer survivors, mentoring program, family empowerment services, promoting understanding of teachers, improvement of social awareness about childhood cancer, and affiliation between hospital and school for services) were came up in 3 themes and 12 sub-categories. Based on the results, we suggest the need for psychological support, mentoring program, and family empowerment services so that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childhood cancer survivors is respected and their changed image can be acknowledged. And a stepwise support for the alteration of school environment, improving social awareness of childhood cancer, and reformation of health impairment system are discussed.

      • KCI등재

        북한이탈가정 자녀학대 및 방임의 위험요인

        김재엽 ( Jae Yop Kim ),최권호 ( Kwon Ho Choi ),채지훈 ( Ji Hoon Chae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2 사회복지연구 Vol.43 No.3

        본 연구는 북한이탈가정의 자녀학대 및 방임의 위험요인이 무엇인지 확인하고 이에 대한 사회복지적 함의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18세 이하의 자녀를 둔 북한이탈주민 15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후 빈도분석과 포아송 회귀분석(Poisson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북한이탈주민의 정서학대, 신체학대, 방임 등의 가해 비율은 남한에 비해 높은 수준이었다. 둘째, 북한이탈주민 보호자의 나이는 신체학대와 방임, 장기간의 남한 거주는 중한 신체학대, 낮은 가구 소득은 정서학대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보호자의 우울은 중한 신체학대와 방임의 위험요인이었으나, 보호자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이 없었다. 넷째, 보호자의 사회적 스트레스는 정서학대와 경미한 신체학대의 위험요인이었다. 다섯째, 보호자의 성장기 학대피해 경험은 모든 유형의 자녀 학대의 위험요인이었으며, 이는 폭력의 세대전이 이론을 지지하고 있었다. 이 결과를 토대로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학대예방교육이 남한 이주 초기에 이루어져야 하며, 자녀를 둔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 스트레스에 대응할 수 있는 사례관리 서비스의 필요성을 제시하였고, 우울에 대한 개입을 위해서 정신건강 서비스의 확대 및 연계가 필요하며, 나아가 자녀학대 및 방임 예방을 위해서 북한이탈주민의 궁극적인 자립 및 정착 대책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isk factors of child maltreatment among North Korean refugees in South Korea and suggest the social welfare implications, As methods, a self-report surveys are completed by 158 North Korean refugees who care children under 18 years old, descriptive analysis and Poisson regression are conducted, As results, (1)the rate of child maltreatment among North Korean refugee families is higher than South Korean families, (2)respondents` age is related to psychological, physical abuse and neglect, period of living in South Korea is positively related to severe physical assault, low income is related to psychological abuse, (3)depression is related to severe physical abuse and neglect; however PTSD is not related to any types of child maltreatment, (4)life stress positively affects psychological abuse and minor physical assault, and (5)the maltreated experience of care giver is related to every types of child maltreatment which supports "the cycle of violence" theory.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are suggested. First, the education for child maltreatment prevention should be provided to North Korean refugees as they immigrate. Second, case management services are in need for North Korean refugees to cope with their life stress which they experience in South Korea. Third, mental health services should be expanded and the accessibility also should be easy.

      • KCI등재

        당뇨환자의 주관적 건강인식이 자살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우울의 매개효과

        남석인 ( Seok In Nam ),최권호 ( Kwon Ho Choi ),이희정 ( Hee Jung Yi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4 사회복지연구 Vol.45 No.1

        본 연구는 당뇨환자의 주관적 건강인식이 자살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우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이를 토대로 사회복지적 함의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09 지역사회건강조사』조사대상자 중 당뇨병이 있다고 응답한 16,612명의 자료를 토대로 빈도분석과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조사대상자 중 17.0%가 지난 1년 간 자살생각 및 시도의 경험이 있었다고 응답하였다. 성별, 연령, 교육수준, 배우자 유무, 연간 가구 소득, 직업 유무를 통제한 상태에서도 주관적 건강인식은 자살생각과 자살시도 여부에 유의미한 영향이 있었으며, 우울은 두 변수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토대로 당뇨환자에 대한 자살 예방 개입의 필요성, 당뇨환자를 위한 접근성 높은 정신건강 서비스의 강화, 당뇨 관리를 위한 개입의 강화 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perceived health status and suicidal behavior, and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among people with diabetes. The data was used from 『Community Health Survey 2009』, and 16,612 subjects were analyzed who responded that they were diagnosed with diabetes. As results, (a) 17.0% of respondents have suicidal ideation or attempt suicide in past year, (b) self-perceived health status is significantly related to suicidal ideation and suicidal attempts as well as depression mediates them controlling demographic variables. From these results, we suggest the suicide-prevention systems, psycho-social consultation and education services for diabetics.

      • KCI등재

        중복학대 피해 청소년의 우울, 공격성, 비행행동: 신체학대와 방임의 중복을 중심으로

        김재엽 ( Jae Yop Kim ),최권호 ( Kwon Ho Choi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2 청소년복지연구 Vol.1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최악의 조합"이라고 알려진 신체학대와 방임 모두를 경험한 중복학대 피해 청소년 집단의 우울, 공격성, 비행행동이 둘 중 한 가지 피해를 경험한 집단, 둘 다 경험하지 않은 집단과 여러 변인들을 통제한 상태에서도 어떻게 다른지 규명하고 함의를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전국 30개 초·중·고등학교를 할당 추출하여, 1,007명의 10대 청소년을 연구대상으로 하였고, 자녀학대 실태 파악을 위한 빈도분석,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공분산분석(ANCOVA) 등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1) 신체학대와 방임 둘 다 함께 경험한 중복학대 피해자는 조사대상자 중 9.0%였고, (2) 중복학대 피해 집단의 우울, 공격성, 비행행동 등은 신체학대 피해 집단, 둘 다 경험하지 않은 집단보다 높았으며, (3) 방임만을 경험한 피해 집단과 중복학대 피해 집단의 우울, 공격성, 비행행동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고, (4) 특히 초등학교와 중학교 청소년에게 중복학대가 집단 간 부적응 차이에 영향을 미쳤다. 이를 토대로 신체학대와 방임 중복학대가 사회적 문제로 제기되어야 하고, 학대의심사례 사정 및 개입 시 중복학대피해를 반드시 고려해야 하며, 방임의 영향이 중복피해 못지않게 심각하기에 방임에 대한 차별화된 정책과 개입이 필요하고, 초등학생 고학년 및 중학생 청소년의 중복학대피해로 인한 부정적 영향이 크므로 이들에 대한 개입이 우선되어야 함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1) investigate the prevalence of overlapping experience of child physical abuse and child neglect, which is to say "the worst combination", among children and adolescents, 2) investigate the mal-adaptation of children and adolescents such as depression, aggression, and delinquency by types of co-occurred experiences of physical abuse and neglect, and 3) provide implications to the problem of co-occurrence of child physical abuse and child neglect. For these, 1,007 responses among 30 schools including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by quota sampling from 5 nation-wide divided areas are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revalence of overlapping experience of physical abuse and neglect is 9.0% among the responders. Second, in depression, aggression, and delinquent behavior, co-occurred group is more serious than physically abused group and non-abused group. Third, neglected group is not statistically different from co-occurred group in depression, aggression, and delinquent behavior. Based on this results implications, suggestions,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is discussed.

      • KCI등재

        일반긴장이론에 근거한 청소년의 자살성 남녀 비교: 서대문구 중학생을 중심으로

        남석인 ( Seok In Nam ),최권호 ( Kwon Ho Choi ),민지아 ( Ji A Min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1 사회복지연구 Vol.42 No.2

        본 연구는 청소년 자살성(suicidality)의 성별차이를 일반긴장이론(general strain theory)에 근거하여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서울시 서대문구 3개 중학교 학생 81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t-test와 로지스틱 회귀분석(logistic regression)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관계적 긴장에 해당하는 아버지의 학대 피해와 학교폭력 피해는 남자중학생의 경험이 유의미하게 더 많았다. 둘째, 자살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서 남자중학생은 지위적 긴장에 해당하는 경제적 상황이, 여자 중학생은 관계적 긴장 요인에 해당하는 아버지의 비신체적 학대 피해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비신체적 학교폭력 피해는 남녀 모두의 자살성에 유의미한 영향요인이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중학생의 주요 생활환경인 가정과 학교에서의 사회복지적 접근을 통해 남자 중학생의 지위적 특성과 여자 중학생의 관계적 특성에 주목한 개입이 이루어져야 하며 학교사회복지사 및 관련기관의 네트워크가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trains such as status strains and relational strains and adolescent suicidality by gender. As method, a self-report survey was completed by students (n=819) from 3 middle schools in Seodaemun area, Seoul, Korea.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identify factors associated with adolescent suicidality, t-test analyses were used to verify gender difference. Results show that male adolescents are more likely to experience abuse from their father, and school violence related to relational strains than female. Differences were found in strains for males and females contributing to suicidality; male are responsive to economic status, a dimension of status strain, whereas female are reactive to non-physical abuse from father, a type of relational strains. Non-physical school violence was appeared to be a significant factor influencing suicidality for both genders. Based on these findings, research draws implications for social work interventions. First, different approaches by gender are needed to prevent adolescent suicide in consideration of the tendency that men are status-oriented and women are relationship-oriented. Second, it is suggested to hire full-time school social worker to provide consistent social service for students. Third, intensive effort is necessary to reduce non-physical school viol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