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코로나19시대 보건운동생체바이오데이터 교육: MZ세대 대면실습 참여 콘텐츠 인식 분석

        최경아,Choi, Kyung A 한국융합학회 2021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2 No.8

        By analyzing the recognition analysis and motivation method of the determinant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future development direction of health exercise biodata analysis face-to-face practice education content. The participants were 40 millennial and zoomers (MZ) generation college graduates. Factors related to the decision to participate in face-to-face practice classes in the field of health exercise biodata and bio-digital content convergence technology in the era of COVID-19 were measured. Of the participants, 67.5% voluntarily decided to participate in small group classes while observing social distancing rules. This study presented the most effective and learning motive methods to participate in face-to-face training. Health exercise biodata needs improvement in terms of integrating with adjacent disciplines such as big data. 본 연구의 목적은 건강 운동 바이오 데이터 분석 대면 실습 교육 콘텐츠의 향후 발전 방향 조사를 위해, 인식결정 인자 분석과 동기 부여 방법을 분석하는 것이다. MZ 세대 대학졸업생 40 명을 선정하고, 건강 운동 바이오 바이오 데이터 및 바이오 디지털 콘텐츠 융합 기술 분야 대면 실습수업 참여 결정과 관련된 인식요인을 측정하기 위한 테스트를 실시했다. 참가자의 67.5%가 격리 규칙을 준수하면서 소그룹 대면 실습수업에 자발적으로 참여하기로 결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생체정보바이도데이터분석 대면실습교육에 참여 유도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과 학습동기방법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건강운동바이오데이터 분야는 딥러닝, IT빅데이터 클라우드, 보건정책행정 등 인접 분야와의 융합 교류를 통해 깊이 있고 교육내용개발이 적절하게 탐구되어야한다. 또한 건강운동시스템과 의료보건복지 정책을 개선하고 발전시키기 위해서 건강운동바이오데이터 교육 내용이 여러 분야와 적극적으로 융합시켜야한다.

      • KCI등재
      • 탈모 완화 예방 효능을 가진 자생식물을 이용한 여가 건강 라이프 스타일 개선 방안

        최경아(Kyung A Choi),박석근(Suk Keun Park),김준현(June Hyun Kim) 한국농어촌관광학회 2023 농어촌관광연구 Vol.26 No.2

        Hair loss is a common concern affecting individuals worldwide, with a substantial impact on self-esteem and overall well-being.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tremendous growing interest in utilizing Asian native plants as natural remedies for preventing hair loss. This comprehensive review explores the diverse array of Asian native plants traditionally used for hair care, their phytochemical composition, mechanisms of action, and clinical studies. Moreover, We examine how incorporating these natural remedies into leisure health practices can promote a holistic improvement in overall well-being, aligning with the principles of leisure health. Hair loss, a common concern for both men and women, can have a significantly high impact on an individuals self-esteem and overall well-being. The use of natural remedies, including native plants, has gained popularity as an alternative to conventional treatments. This research article explores the efficacy of local native plants in preventing hair loss and their potential to enhance a leisure health lifestyle. We investigate the phytochemical constituents and mechanisms of action in these plants, shedding light on their traditional and scientific relevance. The findings suggest that incorporating local native plants into leisure health practices can promote not only healthier hair but also an improved overall lifestyle.

      • KCI등재후보

        남아시아불교와 가야불교의 접점

        최경아 ( Choi Kyung-ah ) 한국불교사연구소 2017 한국불교사연구 Vol.12 No.-

        인도에서 발생한 불교가 서역과 중국을 거쳐 국내에 들어왔다는 것이 정설이었지만, 최근 해상경로를 통해 인도에서 직접 전래됐다는 남래설이 심심찮게 제기된다. 하지만 사료 부족으로 기존 통설을 번복하기엔 역부족인 것도 사실이다. <삼국유사> ‘가락국기’에는 수로왕이 불교를 잘 알고 있었다고 짐작할 수 있는 ‘16나한’, ‘칠성’ 등의 불교적인 표현이 등장 한다. 이는 아마도 『삼국유사』가 편찬되었을 당시의 불교 지식이 반영된 내용일 것으로 보인다. 아유타국의 왕녀로서 수로왕의 황후로 기록되어 있는 허황옥과 함께 불교가 전래되었다고 단정할 필요는 없으며, 불교의 전래와 공식 수용의 시기가 같다고 볼 필요도 없다. 따라서 불교가 가야 권역으로 들어온 시기는 허황옥이 가야에 온 서기 48년 이전일 수도 그 이후일 수도 있다. 교조적이고 종파화된 불교가 아닌, 민속이나 민간신앙의 형태로 교역을 통해 민간에 먼저 전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대당서 역기』나 『불국기』에 아유타국이 등장하는 것을 볼 때 삼국유사의 일연은 아유타가 인도의 고대도시 아요디야임을 인지했을 것이다. 아요디아는 그 지명 자체가 인도의 종교를 상징하는 총체이다. 그러나 굽타왕조에 이르러 아요디야라는 이름으로 개명될 때까지 이 도시의 이름은 사께따(Saketa)로 알려져 있었다. 허왕후가 가야국에 도래한 1세기경 이 지역은 꾸샨왕조가 지배했던 시기로 헬레니즘, 페르시아계의 조로아스터교, 힌두교와 새롭게 등장한 대승불교 등 다양한 종교가 동서교역을 통해 축적되는 막대한 부와 더불어 번영하고 있었다. 이 시기에 또한 불탑이 조성되고 불상이 막 등장하기 시작한다. 『삼국유사』에는 허왕후가 고향에서 가져온 물품들이 나열되어 있다. 그녀가 가져온 물품들과 유사한 것들이 인도의 서부 해안과 동남부해안, 중북부 내륙의 아이하눔과 인근 꾸샨의 도시들, 베트남의 오케오 유적지 등에서도 발굴되었다. 그리고 김해의 고분군에서도 발굴되었다. 인도와 가야의 접점은 문화가 매개하고 있었고 그 내용은 다문화와 글로벌교역이었으며, 불교라는 형태로 이 땅에 흔적을 남겼던 것이다. 허왕후가 남인도 출신이라 해도 크게 다르지 않다. 이 무렵 남인도의 안드라 부근에서도 여러 부파불교의 학파들이 활동했는데 이들은 점차 대승에 가까운 사상으로 전개되었다 남인도 역시 해상 실크로드의 활성화로 로마제국의 귀금속 등 서방의 상품이 유입되는 등 글로벌한 국제교역의 현장이었다. It is widely accepted that Buddhism in India came to Korea through the Western Regions and China. Recently, it has been argued that Buddhism had been imported directly from India through the maritime route. However, due to the lack of historical materials it is not easy to reverse the more generally accepted view. In the Garak-guk-gi (Record of Garak country) of Samguk Yusa (The Heritage of the Three States), there appear expressions such as ‘16 Nahan(Arahant)’ and ‘7 sung(saint)’, by which it can be guessed that King Suro knew about Buddhism well. This probably reflects the knowledge of Buddhism at the time when Samguk Yusa was compiled. We do not necessarily have to conclude that Buddhism has been brought to Korea along with Hwang-Ok Heo. Neither do we need to think that the date of official acceptance of Buddhism and that of introduction of Buddhism are the same. The time when Buddhism was introduced to the Gaya region can be before or after C.E. 48. It seems that it was first introduced to common people in the form of folk customs and folk beliefs through trades, not in the form of dogmatic and sectarianized Buddhism. Hwang-Ok Heo is said to be the princess of Ayutta kingdom. As “Ayutta kingdom” appears in the Daedang-seoyeok-gi (The Great Tang Records on the Western Regions) and Bulguk-gi (The Record of the Buddhist Countries), it seems that Ilyeon (the author of Samguk Yusa ) recognized Ayutta as Ayodhya, the ancient city of India. Ayodhya is the epitome of the religion of India. However, the name of this city was known as Saketa until it was renamed as Ayodhya during the Gupta dynasty. Around the first century, when the Hwang-Ok Heo arrived in Korea, the region was in prosperity with the enormous wealth accumulated through East-West trade, with various religions such as Hellenism, Zoroastrianism, Hinduism and the newly emerging Mahayana Buddhism. During this period, more pagodas were built and the Buddha image began to appear. There are records of Hwang-Ok Heo and Ayutta in Samguk Yusa, and the items she brought from her home county are listed. Items similar to hers were unearthed on the west coast and southeastern shores of India, in the cities of Ai khanoum and Kushan in the north-central part of the country, and at the Oc-eo sites in Vietnam. They were also excavated in the tomb of Gimhae. The point of contact between India and Gaya was midium of the culture, which was multicultural and global trade, and left traces in the form of Buddhism. Even if it is accepted that she is from South India, there is not much difference. At that time, various Buddhist schools were active in the Andhra area of South India, which gradually evolved into Mahayana Buddhism. South India was also the site of global international trade such as the precious metals of the Roman due to the invigoration maritime silk road.

      • KCI등재

        벤처기업의 손실과 재무요인이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최경아 (Choi, Kyung-Ah),이은영(Lee, Een-Young) 한국산업경제학회 2020 산업경제연구 Vol.33 No.2

        본 연구에서는 코스닥 벤처기업을 대상으로 손실기업을 선택하여 이러한 기업들의 재무적 특성이 향후 이익개선의 기대로 기업가치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검증해 보았다. 즉 현재는 손실기업이라 할지라도 재무적으로 다른 기업과 차이가 있다면 기업가치에 다른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증한 것이다. 여기에서 사용된 재무변수는 영업외항목, 연구개발비수준, 기업의 성장성, 자본유지력이며, 이들 변수에 따라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한 것이다. 연구결과는 두 가지 모형으로 검증하였는데 기업의 성장성과 자본유지력의 경우 예상한 가설처럼 성장률이 높고 자본유지력이 좋은 경우 비록 현재 손실을 기록하고 있더라도 기업가치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study, we selected loss companies for KOSDAQ ventures to verify whether these companies" financial characteristics affect their corporate value as expected for future profit improvements. That is to say, at present, it is a verification of the different effects of an entity"s value if it differs financially, even if it is a loss entity. It is a verification of the assumptions that the non-current items of financial variable roll used here, the R&D cost level, growth strategy, and capital maintenance power will differ in their impact on the value of firm. The findings were verified in two models: growth strategies and capital maintenance, have a positive effect on corporate value, even if losses are currently being recorded, if the growth rate is high and the capital maintenance is good.

      • KCI등재

        승단분열과 결집사의 쟁점에 대한 일고찰 : 제3결집과『까타밧투』의 성립

        최경아(Choi Kyung Ah) 韓國佛敎硏究院 2015 불교연구 Vol.43 No.-

        제3결집은 남방불교에서만 전승되는 전설로서 역사적 사실로서의 근거가 미약하다. 또한 제3결집은 남방상좌부의 논서 『까타밧투(Kathavātthu)』 (Kv)의 성립과도 맞물려 있다. 이 논서가 스리랑카의 사서가 전하는 대로 아쇼까왕 당시에 성립되었다면, 당시 실존했던 초기부파불교의 학설을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임이 분명하다. 결집의 계기가 되었던 승단분열은 주로 각 부파의 율장에 나타난 역사적 사건을 통해 연구되어 왔다. 파법륜과 파갈마라는 두 종류의 파승에 대한 입장은 붓다 입멸 후에 정법을 가릴 주체가 없기 때문에 파승의 원인으로서 법륜의 파괴란 있을 수 없고, 동일한 계(界)에서 갈마를 따로 행하는 것이 파승이라는 쪽이 힘을 얻게 된다. 이는 다양한 견해를 승인하고 부파화를 촉진시키는 촉매가 되었거나, 부파화를 합리화하는 정당한 사유로 작용했다. 그러나 제3결집과 관련하여 Kv의 성립에 관한 문헌 자료들을 검토해 보면 파승에 관한 복잡한 양상들이 나타난다. 아쇼까왕 당시에 불교승단에 대한 전폭적인 지원으로 이교도들이 난입하여 교단이 분열되고 포살도 행해지지 않았고, 이로 인해 목갈리뿟따띳사(Moggaliputta Tissa)가 비구들과 함께 빠딸리뿟따(Pāṭaliputta)에서 법의 결집을 행하고 Kv를 저술했다는 것이 그 요점이다. 파갈마만이 파승의 원인으로 간주된다면 그에 대한 해법 또한 화합갈마를 행한 다거나 이를 다루는 율장을 재정비하는 방식이 자연스러운 수순일 것이다. 그런데 외도의 난입으로 포살이 끊긴 파승 상태의 승단 지도자가 행한 작업은 아비담마 논서의 편찬이었던 것이다. 물론 이는 남방상좌부 전통의 문헌에 나타난 기록이라 역사적 사실로서 완전히 신뢰할 수는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내용이 시사하는 점은 단순히 기강의 확립만으로는 불법과 승단을 보전할 수 없다는 것이다. 제3결집과 Kv의 성립을 둘러싼 문제들에 대한 남전 자료의 검토를 통해, 당시 승단의 무질서와, 새롭게 부상하는 불교계의 신흥세력에 기존의 보수적 전통주의자들이 어떤 식으로 대응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The Third Assembly is recognised only in the tradition of Theravāda Buddhism and thus cannot be confirmed historically. It is, however, related to the composition of Kathāvatthu, the Abhidharma text of Theravāda, which is supposed to have been composed at the time of Aśoka. Kathāvatthu could be an important material through which some of the theories of early sectarian Buddhism can be checked on. The study on the schism of Buddhism in Indian subcontinent has been carried out mainly on the basis of Northern tradition. In this regard, if texts of Sri Lanka, which inform us of the Third Assembly and the background of the composition of Kathāvatthu, are examined, and if theories of different sects introduced in Kathāvatthu are analysed, one would investigate the history of sectarian Buddhism and the theory of a sect from a neutral point of view. What is required as well is the examination of the stance of Buddhists concerning the schism and of the historical fact regarding the Third Assembly. This paper, therefore, investigates first the definition of ‘saṃghabheda’ given in the extant Vinayas of Mahāsaṃghika, Vibhajjavādin, Dharmaguptaka, Mahīśāsaka and Sarvāstivādin, and then analyses controversial points of historical situation and meaning related to the Third Assembly and Kathāvatthu.

      • KCI등재

        일반논문 : 떼비자숫따(Tevijjasutta)에 나타난 종교관의 재정립

        최경아 ( Kyung Ah Choi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11 禪文化硏究 Vol.11 No.-

        떼비자숫따(Tevijjasutta)는 빠알리 니까야 가운데서도 비교적 고층에 해당하는 경전으로 추정되며 붓다의 기존 종교에 대한 입장이 고스란히 반영되어 있는 의미 있는 경이다. 본 논고는 붓다의 기존 브라흐마니즘에 대한 비판과 이에 따른 종교관의 재정립을 떼비자숫따를 통해 살펴본다. 초기불교 연구자들이 사범주(四梵住)로 한역되어 알려진 브라흐마비하라(brahma - vihara)를 논할 때 자주 언급하는 이 경에는 실제로 이 용어가 아닌 브라흐마사하브야따(brahma-sahavyata)만 나타난다. 브라흐마사하브야따는 ``브라흐마와 함께 함``을 말하며, 브라흐마(Brahma)의 거주처에 머뭄을 암시하는 브라흐마비하라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계를 구족한 비구가 慈 悲 喜 捨를 행함으로써 브라흐마와 동등한 경지에 이른다는 것이다. 신들에게 제식을 올리고, 재물과 아내를 소유한 사제계급인 브라흐마나(Brahmana)가 아닌, 브라흐마처럼 브라흐마짜리야(brahmacariya; 淸淨梵行)를 행하는 비구가 바로 브라흐마사하브야따의 주체이며 진정한 브라흐마나라고 주장한다. 상대종교 최고신의 품위를 손상시키지 않고 추종자들의 무지와 무능을 지적하는 점, 브라흐마짜리야와 브라흐마사하브야따 등 상대 신의 이름을 적용하여 최고의 경지를 표현하고자 한점 등은 상대종교에 대한 존중과 화합을 위한 노력으로 비춰진다. 이러한 양상은 브라흐마가 접두어로 활용된 다양한 복합어의 사례에서도 확인된다. 본 논고에서 떼비자숫따의 성립시기가 초기불전 가운데서도 고층임을 규명하고자 한 까닭은 초기불전에 나타나는 브라흐마니즘(Brahmanism)과 그들의 신브라흐마에 대한 다양한 입장 가운데 극단적인 부정의 양상들이 붓다의 본래의 입장은 아니었음을 밝히기 위한 것이다. 또한 이 논고를 통해 초기불교가 초기우빠니샤드의 영향을 받았다는 기존 학설의 문제점도 지적하고자 한다. Tevijjasutta (TS), postulated to belong to the older strata among the suttas of the Nikaya, reflects the stance of the Buddha on the contemporary religion of ancient India. This paper examines the critics of the Buddha on the Brahmanism and the subsequent reestablishment of the perspective of religion shown in the TS. We come across the term brahmasahavyata ``being in companionship with Brahma`` instead of the well - known brahmavihara ``abode of Brahma`` in the sutta. Brahmavihara is said to be the ``moral conduct`` consisted of four mental states - metta, karuna, mudita and upekha. Using the term brahmasahavyata indicates that the one who practices the above four becomes a companion of Brahma, TS says that the Bhikkhus who practice them along with the observance of the norms of Bhikkhu can achieve the same state as Brahma, the supreme God in Brahmanism. The subject of brahmasahavyata, therefore, is the Bhikkhus who practice brahmacariya, not the Brahmanas who possess wife and property. Meanwhile, we could find some meaningful effort trying to treat the counterpart respectfully and harmoniously. Instead of degrading counterpart`s supreme God Brahma, the Buddha rebuked the followers of Brahmanism, i.e. Brahmanas, for their blind belief. Unlike the cases where Brahma as the Creator God has been strongly rejected, the name Brahma has been positively adopted by the Buddha in the sutta. It is reflected in the use of the concepts like brahmacariya, brahmasahavyata etc. which bear the sense of the supreme. Consequently, we come across various compounded terminologies throughout Pali cannon such as brahmacakka, brahmabhuta, brahmacakkhu etc.

      • KCI등재
      • KCI등재

        보문 : 중년층 여성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의복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최경아 ( Kyung A Choi ),고미경 ( Mi Kyoung Ko ),정성지 ( Sung Jee Chung ) 韓國衣類學會 2011 한국의류학회지 Vol.35 No.4

        This study investigates the buying behavior of apparel by middle aged women according to lifestyles.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300 women who lived in the Seoul area and between 40 to 65 years of age. A sample of 248 women responded. To analyze the data,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Analysis of Variance (ANOVA) and a Duncan test were used. As a result, the respondents were clustered into 4 different groups according to lifestyles. The groups included practical oriented group, economic oriented and practical group, active oriented and appearance group, and economic group. Their buying behavior was as follows. First, the active oriented and appearance group shopped at department stores and specialty stores; however, the economic oriented and practical group shopped at discount stores more often than other groups. The practical group shopped more frequently using TV home shopping networks, discount stores, and outlet stores, the economic group shopped at off-price stores, discount stores, and online more than the other groups. Second, the active oriented and appearance group bought classic suits and semiclassic suits, imported brand and/or designer brand apparel more often than other groups. Third, the active oriented and appearance group perceived another person`s appearance, advertisement, and shop display as a more important information source than other groups. Forth, the active oriented and appearance group considered design & style, harmony with self-image, brand name, color, and coordination with other clothing as more important selection factors for clothing than other groups. The economic groups considered coordination with other clothing; however, the economic oriented and practical group cited ease of care as more important factors.

      • KCI등재

        발표 논문 : 자아(self)와 개인(person)에 대한 정의 고찰 -초기불교를 중심으로-

        최경아 ( Kyung Ah Choi ) 인도철학회 2010 印度哲學 Vol.0 No.28

        본고는 인도철학사상 핵심 쟁점이었으며, 시대를 막론하고 철학적 논의에서 첫걸음일 수밖에 없는 `나` 곧 `자아`의 개념을 밝히는 데 우선적인 목적이 있다. 이 문제에 관해 붓다가 침묵 내지는 부정으로 일관했기 때문에, 고대 용어의 풍부한 철학적 종교적 함의를 현대적 개념으로 풀어내는 일은 난해한 작업일 수밖에 없다. 붓다의 역설적인 태도로 인해 본래 의도가 어떻든건 간에 무아설(anatmavada)은 불교의 대표사상으로 자리매김되어 버렸다. 소위 『무아상경』에는 `자아`에 대한 가설로서 다섯 skandha가 소개되었으며, 다시 이 skandha는 `자아`가 아닌 것으로 부정된다. 이 『무아상경』의 콘텍스트에서 다섯 skandha의 의미와 역할 그리고 그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현대철학이 정리한 `자아`의 정의와 대비함으로써 자아에 대한 붓다의 근본적인 시각 차이를 부각시키도록 한다. 여기서 rupa의 구성요소인 upadayarupa가 집중 조명된다. 이개념으로 인해 불교의 자아 정의는 기존의 서양 철학적 관점과는 근본적으로 다른 독특한 특징이 추가된다. 곧 자아는 인식주체인 동시에 그 인식대상까지 포괄한다. 이는 불교의 자아관은 곧 세계관이고, 인식론이 곧 존재론이라는 통설의 근거를 제공한다. It has been believed that the Buddha strongly rejects the concept of self. Subsequently, anatmavada has been regarded as the most distinctive feature of Buddhism. Whether it is the existence of self or the idea of self that he denies, his attitude towards `self` seems to be basically negative. This paper is intended for figuring out what it really is that the Buddha tried to reject whenever he preached anatmavada. Besides, it should be discerned what `I`, `self`, `person` and atman exactly mean when they are used in common usage as well as in the context of early Buddhism. The definition of the term `I` cannot be analyzed objectively unless it becomes an objectified `self`. In other words, `I` come to be objectified and can be utilized when it is called `self`. Again, this `self` could be established as a term `person` when it specifies the individuality. This content has been implied by the term skandha in the Nikaya. The definition of self has been studied throughout the history of philosophy. The contemporary philosophy defines it in this manner: 1) not the same thing as a whole human being, 2) a subject of experience, iii) an inner presence or locus of consciousness, and so on. In the context of early Buddhism, the term skandha represents the meaning of self as well as person. Through the textual study of the Nikaya, the definition of skandha can be summarized as the following: 1) It is based on materiality (body). 2) It comprehends the sense faculty and its object. 3) It is a subject of consciousness and also comprehends its object. 4) It goes as far as its mental activity persists. 5) It acts with intention and shows some character or personality depending on the condition. 6) It is a self-conscious be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