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온라인 초등영어 수업의 방향: 온라인 영어 수업에 관한 초등학습자들의 인식도 조사

        최가영 ( Choi¸ Gayoung ),윤택남 ( Yoon¸ Tecnam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0 한국초등교육 Vol.31 No.4

        코로나로 인하여 학교에서는 본격적인 온라인 수업에 돌입하게 되었고, 이에 교육계에서는 많은 혼란을 겪게 되었다. 특히 상호작용 활동이 배제된 상황에서 영어 교과의 경우 그 특성상 교사와 학생들은 많은 어려움에 직면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영어 수업에 대한 초등학습자들의 인식을 파악함으로써 온라인 영어 수업의 실태와 개선점을 알아보고, 바람직한 온라인 영어 수업의 방안을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강원도의 N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초등학생 4~6학년 268명이 참여하였으며, 연구 도구로는 온라인 설문지가 사용되었다. 설문지는 온라인 수업 및 수업구성과 활동의 선호도, 온라인 영어 수업에 대한 만족도 및 난이도로 구성되었다. 결과는 자모비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양적으로 분석되었으며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습자들의 온라인 영어 수업에 대한 인식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초등학습자들은 온라인 영어수업보다 대면 영어 수업을 훨씬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습자들이 온라인 영어 수업에서 선호하는 수업 구성은 영어 교사가 자체 제작한 수업 영상이었으며, 활동은 게임 활동으로 수업이 진행되는 것이었다. 셋째, 온라인 영어 수업 자체에서는 수업 구성 측면에서 대체로 만족하였으나, 난이도 측면에서는 ‘대체로 쉬웠다.’고 답하면서 적절하지 않다고 답하였다. 넷째. 성별 및 학년에 따른 온라인 영어 수업 만족도 및 난이도 차이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보이지 않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온라인 영어 수업을 직접 수강하는 학습자의 관점을 반영하므로 미래의 감염병 상황에 대비하여 온라인 수업을 설계하는 데에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영어 교과에서는 비대면이라는 한계를 극복하여 수업 효과를 극대화하며 양질의 온라인 수업을 확보하기 위한 교육 당국 및 관계자들의 많은 노력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As COVID-19 made remote learning a new norm, every party involved has been going through trial and error in its implementation. To improve the situation calls for more scholarly researc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primary students’ perceptions on online English education and thereby to identify better approaches to this new mode of English learning. As for the methodology, researchers surveyed 266 students between grades four and six in 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Gangwon Province. The survey was conducted online and consisted of questions concerning satisfaction levels and difficulty levels in online English education, and preference between online and face-to-face learning. For the data analysis, the Jamovi statistical program was used to administer the frequency and descriptive analysis, Independent Samples t-test as well as One-Way ANOVA. The finding are as follows: First, the survey takers far preferred face-to-face English learning to the online counterpart. Second, between the video instructions given by their own English teachers and those from outside sources, primary students preferred the former; and their favorite class activity was playing games. Third, they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online English learning as such but found it not difficult enough, not with difficulty levels. Forth, the personal variables of gender and grade did not mak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atisfaction and difficulty levels in online English education. It is expected that these findings, as representing the views of learners themselves, will serve as an important resource for coping with the infectious disease-caused challenges of the present and the future. The study could also clearly remind English teachers that they need to make every effort to give high-quality instructions even in the difficult reality of remote learning.

      • 플랜트에서 가치공학 개념을 적용한 대관경 배관두께 선정에 관한 연구

        최가영,유호선,문승재,Choi, Gayoung,Yoo, Hoseon,Moon, Seung-Jae 한국플랜트학회 2011 플랜트 저널 Vol.7 No.3

        This research has suggested a method to select pipe wall thickness by application of the value engineering to reduce the cost and quantity that are major part of construction materials. This research shows that the application of value engineering reduces the cost of piping materials by optimizing pipe wall thickness while maintaining process flow date of design pressure and design temperature. Based on this knowledge, the application of the value engineering will lead to the cost reduction and quantity reduction by effective selection of pipe wall thickness. The application of the value engineering will help the EPC companies to win a contract in the overseas plant market.

      • KCI등재

        ‘다문화학생’ 대상 대학입학 특별전형에서 나타나는 선별적 통합

        최가영(Gayoung Choi),장원호(Wonho Jang) 지역사회학회 2024 지역사회학 Vol.25 No.1

        본 연구는 교육을 통한 사회이동 시스템에서의 통합과 배제의 실태를 검토하고자 고등교육 선발제도에서 다문화학생은 각각의 이주 배경에 따라 어떠한 제도적 상황에 놓여있는가, 어떠한 배경을 지닌 다문화학생이 통합의 대상이 되고 있는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다문화학생을 대상으로 실시되고 있는 대입전형인 ‘외국인 학생 전형’과 다문화가정 자녀를 대상으로 한 기회균등전형의 지원자격 요건을 국내 주요 29개 대학의 입학전형 모집요강을 토대로 분석하였다. 초・중등교육과정의 단계에서는 학생의 이민 배경에 의한 뚜렷한 구별없이 ‘다문화가정 자녀’에 대하여 ‘다문화 교육’정책을 통한 학교교육으로의 통합이 적극적으로 진행되었던 것에 반하여, 대학 진학 단계의 입시 기회와 특별전형은 이민 배경, 국적, 이민 정책(입국관리제도)상의 법적 지위에 따라서 통합의 대상이 구분된다. 이와 같이 다문화 교육의 대상이 일관적이지 않고 교육단계별로 분절적인 통합제도의 실상은 이주노동자 자녀와 중도입국 국제결혼가정 자녀의 고등교육기회의 보장으로 이어지지 못하는 현상을 낳고 있다. This paper focuses on examining the realities of integration and exclusion within the university education system, with a particular emphasis on the opportunity equalization measures targeting multicultural students. By reviewing the eligibility criteria for special admissions targeting multicultural students for the university entrance, the analysis explores the institutional situations in the higher education selection system for multicultural students based on their respective immigration backgrounds and identifies which multicultural students are included in the integration process. To accomplish this, the paper analyzes the admission guidelines of 29 major domestic universities, focusing on the special admissions for foreign students and admissions targeting multicultural students from multicultural households within the opportunity equalization measures. In the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 stages, there has been active integration of “multicultural children” into school education through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ies, regardless of distinct differentiation based on students' immigration backgrounds. However, in the university entrance stage, the opportunities for admission and special admissions are differentiated based on immigration backgrounds, nationalities, and legal statuses related to immigration policies (immigration control system). Consequently, the target of inclusion i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is not consistent, and the fragmented nature of integration measures at different education stages leads to a phenomenon where the guarantee of higher education opportunities for children from foreign households and adolescents with mid-term immigration is not realized.

      • KCI등재

        소셜미디어 활용 영어 과제 수행에 나타난 상호작용 양상, 어휘 학습 영향 및 과제 참여도 분석

        김인옥(In-Ok Kim),최가영(Gayoung Choi)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2022 초등영어교육 Vol.2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6학년 학생들이 소셜미디어(블로그, SNS, UCC, Wiki, 카카오톡 등 서로 정보를 교환하고 상호작용하는 웹기반의 플랫폼)의 하나인 카카오톡 채팅방을 활용하여영어 과제를 수행하고 교사나 동료와 상호작용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특징을 상호작용, 어휘학습, 과제참여도의 세 가지 측면에서 분석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의 필요성은 2020년 시작된 COVID-19 감염병의 확산으로 인한 학교 수업 방식의 변화, 특히 비대면 온라인 수업의 실행 경험에서 기인하였다. 비대면 수업 경험에서 발견된 장점 중 하나는 새로운 수업방식의 지평을 확대하는 가능성이었는데, 특히 온·오프라인 수업을 병행하는 블렌디드 러닝에 대한 시사점을 주었다. 반면 비대면 수업에서 나타난 주목할 만한 문제점 중 하나는 학생들의 참여도를 높게 유지하기가 어렵다는 것이었다. 가정에서 학생들이 개별적으로 컴퓨터나 태블릿을 통해 학습하고 주변에 이를 확인하는 보호자나 안내자가 없을 경우, 학습 참여도나 주어진 과제를 수행하는 과제 참여율이 현저히 낮아질 수 있고 이는 일부 학생의 소외현상과 학력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 학습 참여는 학업 성취를 위한 가장 기초적인 요건임을 고려한다면 비대면 수업에서 학생 참여율을 높이는 방식을 고안하여 활용함으로써 학생들이 최대한 학습에 참여하도록 유도할 필요가 있다. 소셜미디어는 이러한 필요성을 충족할수 있는 학습 도구의 하나이다. 특히 본 연구에서 활용한 카카오톡 채팅방은 학생들이 자신의 스마트폰에서 언제 어디서나 쉽고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는 소셜미디어이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interaction between students and English teachers, the students' vocabulary competence, and assignment completion rates found during the eight weeks of a social media-based English program. The participants were 85 sixth-grade students, and the main social media platform used was the KakaoTalk open chat service. The participants implemented 24 assignments individually, both in oral and written forms, and submitted them to an open chat in KakaoTalk. The chatroom was then used for the teachers to give feedback on the assignments and for the students to interact with the teachers and each other. The students also took a vocabulary test at the end of each lesson (4 lessons in total). Results of the data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a substantial portion of interaction among the students and teachers was geared towards checking the accuracy of English used in the assignments. Second, intermediate and lower level students’ vocabulary competencies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the completion of the experiment. Third, assignment completion rates increased meaningfully when the students were required to submit their assignments to the open chat compared to an online learning platform. The findings imply that social media platforms can be valuable tools to enhance interaction among students and teachers and to improve students’ vocabulary competence and assignment completion rates.

      • 농업용저수지 수질관리 개선방안

        김동민 ( Kim Dongmin ),조효진 ( Jo Hyojin ),최가영 ( Choi Gayoung ),조민지 ( Jo Minji ),정세웅 ( Chung Sewoong ) 충북대학교 건설기술연구소 2016 建設技術論文集 Vol.35 No.2

        효율적인 농업용수 수질관리 정책수립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보다 심도 있는 기초자료 분석을 통해 수질관리 방안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인 호소의 수질관리 대책수립과정은 수질현황 파악과 목표수질 설정 등에 주로 사용되어져왔으나, 수질자료는 여러 가지 오염현상의 원인과 과정을 설명해 줄 수 있는 지표가 될 수 있으며 효율적인 호소관리 방법에 사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농업용수 수질측정망의 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농업용저수지 598개소를 대상으로 저수지 유형분류를 시도하였다. 부영양화를 판단할 수 있는 OECD 기준을 사용한 Chl-a와 다른 수질인자들 사이의 상관성 분석을 통해 대표 수질 인자를 선택하고 유효수심에 따른 Chl-a, COD를 통해 저수지를 부영양화의 유무 및 오염 원인으로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연구결과는 부영양화를 나타내는 저수지의 90%가 유효수심 5 m이하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부분 내부 원인으로 인한 오염이 심각한 저수지로 판단되어 퇴적층 제어 및 준설, 용존산소 공급을 위한 폭기등이 수질개선을 위한 효율적인 대책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저수지의 부영양화를 평가하기 위해 USEPA, OECD, 국내 호소수질 기준을 적용한 Chl-a를 만족하기 위한 T-P는 기존의 호소수질기준 IV등급 0.1 mg/m3보다 강화된 기준을 필요로 하였다. In order to support efficient water quality management policy, it is necessary to provide water quality management plan through more in-depth analysis of basic data. Generally, the process of establishing water quality management has been used for identification of water quality trends and setting of target water quality. In this study, we tried to classify reservoir type using water quality data of 598 agricultural reservoirs in Korea . A representative water quality factor was selected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Chl-a and other water quality factors using OECD criteria that can determine the trophic state of the reservoirs. The Chl-a and COD concentrations according to the effective water depths were used to determine the status of eutrophication and organic pollution, and to classify into four types. The results showed that 90% of the reservoirs indicating eutrophication were below the effective water depth of 5 m and most of them were considered to be serious reservoirs due to internal load. Therefore sediment control and dredging, aereation and water circulation for avoiding thermal stratification were considered as effective measures to improve water quality.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internal and external T-P loading should be reduced in the eutrophic reservoirs to satisfy the Chl-a levels of eutrophic status suggested by USEPA, OECD, and Korean Environmental Standard for Water Quality(IV).

      • KCI등재

        교통수단별 미세먼지 발자국 산정에 관한 연구

        김준범(Junbeum Kim),전승준(Seungjun Jeon),송재령(Jaeryoung Song),최가영(Gayoung Choi) 대한환경공학회 2020 대한환경공학회지 Vol.42 No.1

        목적 : 본 연구에서는 미세먼지 발자국에 대한 개념을 제시하고, 교통수단별(도로 및 철도, 해상운송) 미세먼지 발자국을 산정하고자 하였으며, 미세먼지 발자국 산정에서 미세먼지 형성에 영향을 주는 2차 미세먼지 형성 가스상물질들의 기여도를 평가하였다. 연구방법 : 국내 교통산업분야에서 미세먼지 발자국을 산정하기 위해 전과정평가(life cycle assessment)과정에서 수행되어지는 전과정영향평가(life cycle impact assessment) 방법론 중에서 ReCiPe 방법론을 사용하여 산정하였다. 이 방법에서 미세먼지형성 가능성(particulate matter formation) 영향범주에서 활용되어지는 관련된 물질들의 특성화 계수를 활용하여 미세먼지 및 NOx, SOx, PM10, NH₃ 오염물질들의 배출량에 특성화 계수를 곱하여 미세먼지 발자국을 산정하였으며 미세먼지 발자국에 대한 단위는 kg PM2.5 eqv.로 나타낼 수 있다. 결과 및 토의 : 대부분의 육상교통(트럭운송)이 다른 철도나 해상교통보다 더 높은 미세먼지 발자국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육상교통(트럭운송)에서는 3.5톤 트럭의 경우가 1.37E-03 kg PM2.5 eqv./tkm로 가장 높은 미세먼지 발자국을 가졌으며, 다음으로는 3.51~5톤 트럭(9.65E-04 kg PM2.5 eqv./tkm), 1.25톤 트럭(8.38E-04 kg PM2.5 eqv./tkm), 1톤 트럭(7.83E-04 kg PM2.5 eqv./tkm)순으로 높은 미세먼지 발자국 결과를 가졌다. 철도수송에서는 디젤기관차 수송이 가장 높은 미세먼지 발자국 결과를 가졌으며, 다음으로는 전기+디젤기관차 수송과 전기기관차 수송 순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해상운송에 있어서는 탱커 LNG_100 dwt 수송이 가장 높은 미세먼지 발자국을 나타냈다. 그 다음으로는 로로선 내항 1,200~20,000 dwt, 탱커 외항 500~20,000 dwt 등의 순으로 높은 미세먼지 발자국 결과를 가졌다. 미세먼지 형성에 기여하는 2차 미세먼지 형성 가스상물질들은 육상수송에 59%, 철도수송에 80%, 그리고 해상수송에는 61%으로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교통수단별 미세먼지 발자국 결과값과 미세먼지 및 2차 미세먼지 형성 가스상물질 기여도 결과들은 향후 미세먼지 저감 및 관련 정책 수립 시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최종적으로 미세먼지 발자국 인증제도의 정착을 통해 국내 미세먼지 발생저감에 기여해야할 것이다. Objective : In this study, we proposed the concept of the particulate matter footprint (PM Footprint) and assessed the PM Footprint in transportation modes (road, rail, and water transportation). In addition, we assessed the contribution of secondary particulate matter formation gas emissions, which contribute to particulate matter formation. Method : To calculate the PM Footprint in the transportation sector, the ReCiPe life cycle impact assessment method in life cycle assessment (LCA) was used. For the PM Footprint of each transportation mode, the life cycle inventory data were multiplied by the characterization factors of PM10, PM2.5 and secondary particulate matter formation emissions such as NOx, SOx, NH₃. The PM Footprint values were shown in kg PM2.5 eqv. value. Results and Discussion : The road transportation (trucks) had a much higher PM Footprint value than rail and water transportation in tkm unit based. In the road transportation mode, small size truck such as 3.5 tons (1.37E-03kg PM2.5 eqv./tkm), 3.51~5 tons (9.65E-04 kg PM2.5 eqv./tkm), 1.25 tons (8.38E-04 kg PM2.5 eqv./tkm), and 1 ton (7.83E-04 kg PM2.5 eqv./tkm) had higher PM Footprint value than big size trucks. In the rail transportation mode, the diesel rail transportation had the highest PM Footprint value, followed by electric + diesel rail transportation and electric rail transportation. In the water transportation mode, the tanker LNG_100 dwt had the highest PM Footprint value, followed by ro-ro ship coastal, and tanker coastal 500~20,000 dwt. The secondary particulate matter formation emissions (NOx, SOx, NH₃) contributed to PM Footprint value with 59% in road transportation, 80% in rail transportation, and 61% in water transportation. Conclusions : The PM Footprint values, which shown in this study and the results of the directed polluted PM and secondary gas emissions should be considered for national PM reduction policy and planning. Finally, a certification system using the PM Footprint in this study should be developed and settled down for national PM redu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