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배양액과 산소농도가 돼지난포란의 체외성숙과 배발달에 미치는 영향

        천행수,한만회,김종화,박병권,이규승,서길웅 사단법인 한국동물생명공학회 2004 Reproductive & developmental biology Vol.28 No.2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effect of four different media (NCSU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23, PZM (Porcine Zygotes Medium)-3, PZM-4 and TCM (Tissue Culture Medium)-199) and two oxygen concentrations (39 , 5% O2, 5% CO2 and 90% N2, 5% CO2 in air) on in vitro production of porcine IVM/IVF embryos.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1) The rates of GVBD and nuclear maturation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for 44 hours of culture with four media in two oxygen concentrations.2) The rates of polyspermy, penetrated sperm(s) and male and female prouclei formation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among four media in two oxygen concentrations. 3) The cleavage rat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among four media in two oxygen concentrations. At day 7 under gas atmosphere of 5% O2, 5% CO2 and 90% N2, the blastocyst form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p<0.05) in PZM-3 (19.9±2.4) than other media. Also, NCSU-23 medium gave high rate of blastocyst formation at day 7 under gas atmosphere of 5% CO2 in air (p<0.05).4) Based on the result of differential staining of porcine blastocyst at dat 7, inner cell mass cell and total cell number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among four media in two oxygen concentrations. However, the observed total cell number was higher in PZM-3 medium (36.8±6.5) than other madia.I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in vitro production of porcine embryos in PZM-3 medium under a gas atmosphere of 5% O2, 5% CO2 and 90% N2 was effective on the blastocyst formation rate and total blastocyst cell number. 본 실험은 돼지체외수정란을 생산하는데 적합한 배양액과 산소조건을 구명하기 위하여 NCSU(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23, PZM(Porcine Zygotes Medium)-3, PZM-4 및 TCM(Tissue Culture Medium)-199 배양액과 5% 산소조건(39 , 5% O2, 5% CO2, 90% N2 및 포화습도) 및 20% 산소조건(39 , 5% CO2 및 포화습도)에서 돼지 미성숙난포란의 체외성숙과 체외배발달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1) 돼지 난포란을 5 및 20% 산소조건하에서 NCSU-23, PZM-3, PZM-4 및 TCM-199 배양액에 44시간동안 성숙을 유도한 결과 난핵포붕괴율과 핵성숙률에 있어서 산소조건 및 배양액간 유의적(p>0.05)차이는 없었다.2) 체외수정을 실시한 결과 정자침투율, 자·웅전핵형성률, 다정자 침입률 및 평균정자수에 있어서 산소조건 및 배양액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3) 체외수정을 실시한 후, 5 및 20% 산소조건의 NCSU-23, PZM-3, PZM-4 및 TCM-199 배양액에서 배양하여 배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난할률에 있어서는 유의적(p<0.05)인 차이가 없었으며, 배발달 7일째 배반포기 발달률에 있어서 5% 산소조건에서는 PZM-3 배양액이, 20% 산소조건에서는 NCSU-23 배양액이 유의적(p<0.05)으로 높은 결과를 나타냈다.4) 배발달 7일째 배반포기 배의 세포수를 조사한 결과, 내부세포괴세포수와 총세포수는 산소조건과 배양액간에 통계적인 유의성이 인정되지는 않았으나, 5% 산소조건에서 PZM-3 배양액(36.8±6.5개)이 다소 높은 총세포수를 나타냈다.위의 결과를 종합하면 돼지체외수정란의 생산에는 5% 산소조건에서 PZM-3 배양액에서 배발달을 유도하는 것이 배반포기 발달률과 세포수에 있어 효과적이라고 판단된다.

      • 배양액과 산소농도가 돼지난포란의 체외성숙과 배발달에 미치는 영향

        천행수,한만희,김종화,박병권,이규승,서길웅 한국동물생명공학회(구 한국동물번식학회) 2004 Reproductive & Developmental Biology(Supplement) Vol.28 No.2s

        본 실험은 돼지체외수정란을 생산하는데 적합한 배양액과 산소조건을 구명하기 위하여 NCSU(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23, PZM(Porcine Zygotes Medium)-3, PZM-4 및 TCM(Tissue Culture Medium)-199 배양액과 5% 산소조건(39, 5% O₂, 5% CO₂, 90% N₂ 및 포화습도) 및 20% 산소조건(39, 5% CO₂ 및 포화습도)에서 돼지 미성숙난포란의 체외성숙과 체외배발달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돼지 난포란을 5 및 20% 산소조건하에서 NCSU-23, PZM-3, PZM-4 및 TCM-199 배양액에 44시간 동안 성숙을 유도한 결과 난핵포붕괴율과 핵성숙률에 있어서 산소조건 및 배양액간 유의적(p>0.05)차이는 없었다. 2) 체외수정을 실시한 결과 정자 침투율, 자ㆍ웅전핵형성률, 다정자 침입률 및 평균정자수에 있어서 산소조건 및 배양액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3) 체외수정을 실시한 후, 5 및 20% 산소조건의 NCSU-23, PZM-3, PZM-4 및 TCM-199 배양액에서 배양하여 배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난할률에 있어서는 유의적(p<0.05)인 차이가 없었으며. 배발달 7일째 배반포기 발달률에 있어서 5% 산소조건에서는 PZM-3 배양액이, 20% 산소조건에서는 NCSU-23 배양액이 유의적(p<0.05)으로 높은 결과를 나타냈다. 4) 배발달 7일째 배반포기 배의 세포수를 조사한 결과, 내부세포괴세포수와 총세포수는 산소조건과 배양액간에 통계적인 유의성이 인정되지는 않았으나, 5% 산소조건에서 PZM-3 배양액(36.8±6.5개)이 다소 높은 총세포수를 나타냈다. 위의 결과를 종합하면 돼지체외수정란의 생산에는 5% 산소조건에서 PZM-3 배양액에서 배발달을 유도하는 것이 배반포기 발달률과 세포수에 있어 효과적이라고 판단된다.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effect of four different media (NCSU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23, PZM (Porcine Zygotes Medium)-3, PZM-4 and TCM (Tissue Culture Medium)-l99) and two oxygen concentrations (39 , 5% O₂, 5% CO₂ and 90% N₂, 5% CO₂ in air) on in vitro production of porcine IVM/IVF embryos.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The rates of GVBD and nuclear maturation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for 44 hours of culture with four media in two oxygen concentrations. The rates of polyspermy, penetrated sperm(s) and male and female prouclei formation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among four media in two oxygen concentrations. The cleavage rat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among four media in two oxygen concentrations. At day 7 under gas atmosphere of 5% O₂, 5% CO₂ and 90% N₂, the blastocyst form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p<0.05) in PZM-3 (19.9±2.4) than other media. Also, NCSU-23 medium gave high rate of blastocyst formation at day 7 under gas atmosphere of 5% CO₂ in air (p<0.05). Based on the result of differential staining of porcine blastocyst at dat 7, inner cell mass cell and total cell number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among four media in two oxygen concentrations. However, the observed total cell number was higher in PZM-3 medium (36.8±6.5) than other madia.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in vitro production of porcine embryos in PZM-3 medium under a gas atmosphere of 5% O₂, 5% CO₂ and 90% N₂ was effective on the blastocyst formation rate and total blastocyst cell number.

      • KCI등재후보

        PZM 배양액이 돼지체외수정란의 배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만회,천행수,김종화,박병권,서길웅,이규승 사단법인 한국동물생명공학회 2004 Reproductive & developmental biology Vol.28 No.2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effects of O2 concentrations and culture media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NCSU)-23, porcine zygote medium(PZM)-3 or PZM-4) on in vitro development of porcine IVM/ IVF embryos.Porcine oocyte-cumulus complexes were cultured in BSA-free NCSU-23 medium containing porcine follicular fluid (10%), cysteine (0.9 mM), β-mercaptoethanol (25 ug/ml), epidermal growth factor (10 ng/ml) and hormonal supplements (PMSG and hCG: 10 IU/ml) for 20∼22 h. They were then cultured in the same medium but without hormonal supplements for an additional 20∼22 h. After culture, cumulus-free oocyte were coincubated with liquid boar spermatozoa for 5∼6h. Putative zygotes were transferred to NCSU-23, PZM-3 and PZM-4 medium under the condition of 5% O2 or 20% O2 concentrations. At 48 h, no mean differences were found in cleavage rates. However, the rates of blastocyst formation at day 7 after in vitro fertilizat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PZM-3 medium under the condition of 5% O2 concentration than other treatments (19.9±2.4 vs. 11.1±2.0 to 16.0±2.5%, P 0.05). The total cell numbers of blastocyst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5% O2 than in 20% O2 (P 0.05). However, no differences was found among the culture media within each O2 concentrations.In conclusion, the use of PZM-3 medium in 5% O2 concentration was effective on in vitro development of porcine IVM/IVF embryos. 본 연구는 돼지 난포란을 이용하여 생산된 1-세포기의 체외수정란을 NCSU-23, PZM-3 및 PZM-4의 세 가지 배양액과 서로 다른 산소농도를 부여하여 돼지 체외수정란의 적합한 체외배양조건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돼지 난포란의 체외성숙은 BSA가 미첨가된 NCSU-23 배양액에 10% pFF, 0.9 mM cysteine, 25 ug/ml β-mercaptoethanol 및 10 ng/ml epidermal growth factor와 호르몬(10 IU/ml PMSG, hCG)을 첨가하여 20∼22시간과 추가로 호르몬을 제거한 배양액에 20∼22시간을 배양하여 성숙을 유기하였고, 5∼6시간 동안 돼지 액상정액과 공배양함으로써 체외수정을 유기하였다. 체외수정 5∼6시간후 각각 5% 및 20%의 산소조건하의 NCSU-23, PZM-3 및 PZM-4 배양액에서 배발달을 유기하였다.돼지체외수정란을 체외배양하였을 때, 배발달 48시간에 처리구간 난할율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배양 7일째 배반포형성률은 5% 산소조건의 PZM-3 배양액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19.9±2.4 vs. 11.1±2.0 to 16.0±2.5%, P 0.05). 그리고, 총세포수에 있어서 5%의 산소조건 하에서 배양하는 것이 20% 산소조건보다 유의적(P 0.05)으로 높았으나, 배양액간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따라서, 체외생산된 돼지초기수정란의 체외배발달은 5% 산소조건하의 PZM-3 배양액에서 배양하는 것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 PZM 배양액이 돼지체외수정란의 배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만희,천행수,김종화,박병권,서길웅,이규승 한국동물생명공학회(구 한국동물번식학회) 2004 Reproductive & Developmental Biology(Supplement) Vol.28 No.2s

        본 연구는 돼지 난포란을 이용하여 생산된 1-세포기의 체외수정란을 NCSU-23, PZM-3 및 PZM-4의 세 가지 배양액과 서로 다른 산소농도를 부여하여 돼지 체외수정란의 적합한 체외배양조건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돼지 난포란의 체외성숙은 BSA가 미첨가 된 NCSU-23 배앙액에 10% pFF, 0.9 mM crysteine, 25 ㎍/㎖ β-mercaptoethanol 및 10 ng/㎖ epidermal growth factor와 호르몬(10 IU/㎖ PMSG, hCG)을 첨가하여 20∼22시간과 추가로 호르몬을 제거한 배양액에 20∼22시간을 배양하여 성숙을 유기하였고, 5∼6시간 동안 돼지 액상정액과 공배양함으로써 체외수정을 유기하였다. 체외수정 5∼6시간후 각각 5% 및 20%의 산소조건하의 NCSU-23, PZM-3 및 PZM4 배양액에서 배발달을 유기하였다. 돼지체외수정란을 체외배양하였을 때, 배발달 48시간에 처리구간 난할율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배양 7일째 배반포형성률은 5% 산소조건의 PZM-3 배양액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19.9±2.4 vs. 11.1±2.0 to 16.0±2.5%, P<0.05). 그리고, 총세포수에 있어서 5%의 산소조건 하에서 배양하는 것이 20% 산소조건보다 유의적(P<0.05)으로 높았으나, 배양액간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따라서, 체외생산된 돼지초기수정란의 체외배발달은 5% 산소조건하의 PZM-3 배양액에서 배양하는 것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effects of O₂ concentrations and culture media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NCSU)-23, porcine zygote medium(PZM)-3 or PZM-4) on in vitro development of porcine IVM/IVF embryos. Porcine oocyte-cumulus complexes were cultured in BSA-free NCSU-23 medium containing porcine follicular fluid (10%), cysteine (0.9 mM), β-mercaptoethanol (25 ㎍/㎖), epidermal growth factor (10 ng/㎖) and hormonal supplements (PMSG and hCG: 10 IU/㎖) for 20∼22 h. They were then cultured in the same medium but without hormonal supplements for an additional 20∼22 h. After culture, cumulus-free oocyte were coincubated with liquid boar spermatozoa for 5∼6h. Putative zygotes were transferred to NCSU-23, PZM-3 and PZM-4 medium under the condition of 5% O₂ or 20% O₂ concentrations. At 48 h, no mean differences were found in cleavage rates. However, the rates of blastocyst formation at day 7 after in vitro fertilizat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PZM-3 medium under the condition of 5% O₂ concentration than other treatments (19.9±2.4 vs. 11.1±2.0 to 16.0±2.5%, P<0.05). The total cell numbers of blastocyst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5% O₂ than in 20% O2 (P<0.05). However, no differences was found among the culture media within each O₂ concentrations. In conclusion, the use of PZM-3 medium in 5% O₂ concentration was effective on in vitro development of porcine IVM/IVF embryos.

      • Catalase 첨가배양이 돼지체외수정란의 배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만희,이경본,천행수,박병권,이규승,서길웅 한국수정란이식학회 2002 한국수정란이식학회 학술대회 Vol.2002 No.1

        Catalase(CAT)는 주요한 활성산소(ROS)의 일종인 과산화수소()가 Hydroxyl 유리기 생성에 관여하지 못하도록 를 및 로 대사시켜 주는 효소계 항산화제의 한 종류이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CAT가 5% 및 20% 조건하에서 1-세포기 돼지체외수정란의 배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돼지난포란을 10% PFF, 0.1mg/ml cysteine, 10IU/m1 PMSG, 10IU/m1 hCG 및 10ng/m1 EGF가 첨가된 NCSU23 배양액에서 22시간 동안 배양을 실시하고, 성선자극호르몬이 배제된 배양액에서 추가로 22시간을 배양하여 체외성숙을 유도하였다. 체외성숙이 유기된 난자는 난구세포를 제거하고, 2.5mM caffeine과 0.1% BSA가 첨가된 mTBM 배양액에 정자를 1.25 cells/ml의 농도로 5-6시 동안 공동배양을 실시하여 체외수정을 유도하였다. 체외수정후 1-세포기의 수정란을 0.4mg/ml BSA가 첨가된 NCSU23 배양액에 CAT를 각각 0, 100, 500 및1,000uni1 첨가하여 30 embryos/ 50u1 소적으로하여 38.8, 5% 및 5%, 5% 90% 조건하의 배양기에서 각각 7일간 배양을 실시하였다. 조사된 결과는 SAS/STAT 6.03 Package를 이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체외배양 48시간에 난할률을 조사하였을 때, 대조구와 처리구간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으나, 배양 7일째 배반포형성률에 있어서는 각각 22.72.7, 22.13.9, 18.74.9, 및 15.12.5%로서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낮은 결과를 나타냈다. 그리고 산소농도에 따른 배반포형성률은 5% 조건(22.12.4%)이 20% 조건(17.22%)보다 유의적(P<0.05)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총세포수에 있어서는 각각 44.44.0, 43.336, 25.42.4 및 13.41.5로서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세포수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산소농도에 따른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따라서, 체외생산된 돼지초기수정란을 배양할 때, CAT의 첨가는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다.

      • 산소조건 및 Catalase가 돼지난포란의 체외성숙과 배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만희,이경본,천행수,박병권,이경광,이규승,서길웅 한국동물생명공학회(구 한국동물번식학회) 2003 Reproductive & developmental biology Vol.27 No.2

        본 연구는 돼지난포란의 체외배양액에 황화합물인 Catalase 첨가 및 저분압산소조건 하에서 첨가배양함으로서 돼지난포란의 체외성숙과 체외배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돼지난포란을 체외성숙배양액인 0.9mM cy-steine이 함유된 NCSU-23 배양액에 CAT를 각각 0, 100, 500 및 1000uni1s/m1 첨가하여 체외성숙 및 수정을 실시한 결과, 모든 평가요소에서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은 결과를 나타내어 체외수정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P>0.05). 2. 체외수정을 실시한 후, 배발달배양액인 NCSU-23에 7일 동안 배양한 결과, 배반포형성률과 총세포수에 있어서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은 결과를 나타내어 체외성숙시 CAT 첨가배양은 배발달에 좋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다(P>0.05). 3. 배발달배양액인 NCSU-23에 CAT를 각각 0, 100, 500 및 1000units/m1을 첨가하고 5 및 20% 산소농도하에서 7일간 배양을 실시한 결과, 산소농도에 따른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으며, CAT 첨가에 따른 배반포형성률과 총세포수에 있어서도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낮은 결과를 나타냈다(P>0.05). 결론적으로 돼지난포란을 이용하여 체외수정란을 생산할 때, NCSU-23 배양액에 catalase의 첨가 및 산소조건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effect of catalase (CAT) on in vitro maturation (IVM) of porcine follicular oocytes and oxygen concentration with CAT on in vitro development (IVD) of porcine IVM/IVF embryos.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 1 . The rates of nuclear maturation, penetrated oocytes, pronucleus formation rates, polyspermic oocytes and mean numbers of the penetrated sperm were significantly lower in oocytes matured with 100, 500 and 1,000 units/ml CAT than those of central groups (P>0.05). 2. The rates of blastocyst formation and total cell numbers of blastocyst at day 7 after in vitro fertilization were significantly lower in CAT treatment groups than those of the central groups (P>0.05). 3.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blastocyst development and total cell numbers of blastocyst on in vitro culture of NCSU-23 media with 0, 100, 500 and 1000 units/ml CAT under the 5% and 20% O₂ concentration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addition of CAT was not helpful for porcine oocyte maturation and further development, also the rates of blastocyst formation and total cell numbers of blastocyst at day 7 of porcine IVM/IVF embryo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NCSU-23 culture medium under the 5% and 20% O₂ concentrations.

      • β-Mercaptoethanol의 첨가배양이 돼지난포란의 체외성숙과 배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만희,이경본,천행수,박병권,서길웅,이규승 한국동물생명공학회(구 한국동물번식학회) 2003 Reproductive & developmental biology Vol.27 No.2

        본 연구는 돼지 난포란의 체외배양액에 황화합물인 β-mercaptoethanol(β-ME)을 첨가배양함으로서 돼지난포란의 체외성숙과 체외배발달에 미치는 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돼지난포란을 체외성숙배양액인 NCSU-23 배양액에 β-ME를 각각 0, 25, 50 및 100μM 첨가배양하여 성숙을 유기한 다음, 체외수정을 실시한 결과, 모든 처리구에서 핵성숙률, 정자침투율, 웅성전핵형성률, 다정자침입률 및 평균침입정 수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P>0.05). 2. 체외성숙 및 수정을 실시한 후, 배발달 배양액인 NCSU-23에 7일간 배양한 결과, 배반포 형성률은 25μM의 β-ME 처리구가 유의적(P<0.05)으로 높은 결과를 나타냈고, 총세포수에 있어서는 대조구와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3. 배발달배양액인 NCSU-23에 β-ME를 각각 0, 12.5, 25 및 5μM 첨가하고 5 및 20%산소조건 하에서 7일간 배양한 결과, 처리구별 산소농도에 따른 배발달률 및 총세포수에 있어서는 유의 적 인 차이가 없었으나, 25μM β-ME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나타냈다(P<0.05). 그러나 총세포수에서는 처리구 및 대조구간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돼지난포란의 체외성숙 및 배발달시 황화합물인 β-ME의 첨가는 25μM이 가장 적합하며, 산소농도에 따라서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effect of β-Mercaptoethanol (β-ME) on in vitro maturation (IVM) of porcine follicular oocytes and oxygen concentration with β-ME on in vitro development (IVD) of porcine IVM/IVF embryos.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rates of nuclear maturation, penetrated oocytes, polyspermic oocytes, pronucleus formation and mean numbers of the penetrated sperm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using NCSU-23 maturation media for 0, 25, 50 and 100 μM β-ME (P>0.05). 2. The rates of blastocyst formation at day 7 after in vitro fertilization were higher in oocytes matured with 25 μM β-ME (25.4±0.9%) than in those matured with 0 (14.5±1.6%), 50 (17.3±1.7%) and 100 μM (12.4±1.3%) (P<0.05). However, no differences ware found in total cell numbers of blastocyst among the treatments. 3. The rates of blastocyst formation at day 7 after in vitro fertilization were higher in the NCSU-23 Culture medium With 25 μM β-ME (23.6±2.8%) than in those Cultured With 0 (15.4±4.4%), 12.5 (17.5±2.3%) and 50 μM β-ME (18.6±2.1%) Under the 5% and 20% O₂ Concentrations (P<0.05). However, no differences was found in total cell numbers of blastocyst among the treatment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addition of 25 μM β-ME in the IVM/IVD media were effective on the porcine embryo production. However, the rates of blastocyst formation and total cell numbers of blastocyst at day 7 of porcine IVM/IVF embryo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NCSU-23 culture medium under 5% and 20% 02 concentrations.

      • 프로게스타겐이 한국 재래산양의 발정동기화 및 과배란유기에 미치는 영향

        송태헌,한만희,천행수,박병권,서길웅,이규승 한국동물생명공학회(구 한국동물번식학회) 2003 Reproductive & developmental biology Vol.27 No.3

        본 연구는 한국재래산양에서 프로게스타겐(Synchromate-B, Veramix 및 CIDR)과 성선자극호르몬(PMSG, FSH 및 hOG)의 병용처리가 발정동기화 및 과배란유기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는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프로게스타겐과 PMSG을 이용한 재래산양의 발정동기화 유기율은 Synchromate-B는 52.9%, Veramix는 72.9% 그리고 CIDR는 75.2% 로써 Veramix 및 CIDR처리구가 Synchromate-B 처리구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또한, 프로게스타겐을 이용한 발정동기화유기시 배란점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평균배란점수는 Synchromate-B는 2.11±1.89개, Veramix는 1.34±0.87개 및 CIDR는 1.42±0.96개로써 Synchromate-B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나타냈다(P<0.05). 2. 프로게스타겐인 Synchromate-B, Veramix 및 CIDR로 성주기를 조절하고 FSH, PMSG와 hCG로 과배란처리를 유기하였을 때 프로게스타겐에 따른 과배란유기율은 각각 98.6%, 99.45% 및 98.8%로서 상호간에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고, 평균배란점수는 각각 12.58±16.52개, 12.91±7.27개 및 11.28±6.33개로 CIDR 처리구에 비하여 Synchromate-B 처리구와 Veramix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3. CIDR로 성주기를 조절하고 성선자극호르몬으로써 FSH, PMSG와 hCG를 처리한 시험구와 PMSG를 투여하지 않은 시험구의 배란점은 각각 11.16±6.00개 및 10.79±6.46개로서 유의적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progestagen (Synchromate-B, Veramix, CIDR) and hormone (PMSG, FSH, hCG) treatments on superovulation and estrous synchronization in Korean native goats. Goats were initially superovulated by using progestagens (Synchromate-B, Veramix, CIDR) and hormones (FSH, PMSG, hCG). The progestagens were removed after 15 days of insertion and 0.88 mg of FSH was injected intramuscularly twice a day from day 12 to day 15. In addition, 150 IU of PMSG and 200 IU hCG were injected intramuscularly in the morning of day 12 and in the afternoon of day 15, respectively. Estrous synchronization was induced by the progestagen releasing devices for 13 days and intramuscular injection of 400 IU PMSG in the morning of day 11.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responses of superovulation treated with three types (Synchromate-B, Veramix, CIDR) of progestagen were 98.6, 99.4 and 98.8%, respectively. The average ovulation rates with Synchromate-B, Veramix and CIDR were 12.58 ± 6.52, 12.91 ± 7.27 and 11.28 ± 6.33, respectively. The average ovulation rates of Synchromate-B and Veramix treatm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IDR treatment (P<0.05). 2. The responses of estrus synchronization treated with Synchromate-B, Veramix and CIDR were 52.9, 72.9 and 75.7%, respectively. Veramix and CIDR treatments on estrous synchronizat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Synchromate-B treatment (P<0.05). Among the estrous synchronized goats, the estrous ovulation rates with Synchromate-B, Veramix and CIDR were 2.11 ± 1.89, 1.35 ± 0.87 and 1.43 ± 0.96, respectively. The estrous ovulation rates of the Synchromate-B treatment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treatments (P<0.05). 3. The average superovulation rates were 11.76 ± 6.00 and 11.07 ± 6.46 for the PMSG treatment and control groups, showing that there was no PMSG effects for the superovulation treated with CIDR.

      • 가축사육제한구역 권고(안)에 따른 지자체 현황 조사 및 개선 방안 연구

        한갑원,박종의,김학준,천행수,한갑운 (사)한국축산환경학회 2022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Vol.24 No.1

        Due to the recent restrictions on breeding distance, it has been difficult to create new livestock industries or refurbish livestock farms. However, livestock farmers who try to reduce the odor need to relax the restrictions on breeding distance. Therefore, in this study, we carried out a survey on the restriction of breeding distance according to the Local Government Ordinance and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odor reduction facilities used in the livestock farmers. As a result of the survey, the recommendation on the enactment and revision of the Local Government Breeding Ordinance (Plan) contained the contents of when installing and managing facilities that can reduce odors, it is possible to relax the limits of the length of new or increased or refurbished buildings’ but, 151 local governments did not establish the mitigating provisions according to the recommendation’s comments. However,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 survey on odor reduction facilities, each facility has a odor reduction effect, including 53.9 percent for bio-curtain, 34.9 percent for mist spraying facilities, 79.9 percent for pit recharge systems and 40 percent for scrubber (deodorization towe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establish the criteria for restrictions of breeding distance of each animal by reflecting the mitigation conditions of the installation of the odor reduction facilities through the identification of the effect of the odor reduction faci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