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한국교육행정학의 내용 체계

        천세영 ( Se Yeoung Chun ),이삼경 ( Sam Kyoung Lee ),방인자 ( In Ja Bang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13 교육연구논총 Vol.34 No.1

        한국교육행정학의 내용 체계는 한국 사회에서 교육행정학이라는 학문주체가 교육행정이라는 현상을 어떻게 개념화할 것인가를 묻고자 하는 것이며, 그러한 개념화 양식에 따라 교육행정학의 여러 탐구방식, 예컨대 개론교과서의 내용 체계와 대학에서의 교육 행정학 전공 교육과정의 체계, 학회 회원들의 연구주제들의 내용범주를 구성하는 인식 체계로 보았다. 기존 자료를 분석한 결과 한국교육행정학의 내용 체계가 가진 특성으로는 첫째, 네가지의 탐구양식에서 공통적으로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분야는 교육정책, 인사행정, 장학론, 교육재정론, 교육자치론이다. 둘째, 교과서에서는 많이 다루어지나 학위논문과 임용 시험에는 적게 다루어지는 분야는 교육조직론, 동기부여, 지도성이론이다. 셋째, 교과서와 임용고사에서는 많이 다루어지나 학위논문에서는 적게 다루어지는 분야로서 학교경영과 학급경영분야이다. 넷째, 학술논문에서는 매우 많이 다루어지나 교과서와 임용고사에서 상대적으로 적게 다루어지는 분야는 부문별 혹은 특수영역의 교육행정이다. 다섯째, 교과서, 학위논문, 임용시험 및 학술논문 모두 매우 적게 다루거나 거의 다루지 않는 분야는 교육내용의 행정과 학생행정, 그리고 시설행정과 사무관리행정이다. 이러한 분석에 기반할 때, 한국교육행정학의 내용 체계와 관련하여 가장 관심을 가져야 할 사실은 모든 탐구양식에서 공통적으로 소홀히 취급되고 있는 분야인데, 가장 대표적인 분야가 교육과정 행정 곧 교육내용의 행정임이 밝혀졌다. 2012년 이종재 등 (2012)의 한국교육행정론에서는 김종철(1965) 이후 처음으로 교육내용행정을 포함하였으며 교원임용고사에서의 교육학논술 도입에 따라 향후 교육행정학의 내용 체계에 대한 본격적인 탐구활동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Knowledge-base of the Korean educational administration is a problematic to ask how the phenomenon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would be conceptualized as the subject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in Korea. In answering for this question, this paper tried to set up a framework for the knowledge base by comprehending and analysing four major areas of studies in educational administration in Korea; programs and contents covered by textbooks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being used in the universities, testing items for teacher recruiting examination, the subject topics and categories chosen by ph.D dissertation and academic journals. Results of the analysis as follows. First, the major areas are education policy, personnel administration, supervision theory, education finance, education autonomy. Second, education organization, motivation, leadership theory are frequently dealt with the subject of the textbook, but they are not used in the dissertation thesis and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 Third, school management and classroom management sector are frequently dealt with dissertation thesis, but they are not used so often in the textbook and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 Fourth, the sector-specific or special areas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such as special education are frequently dealt with dissertations, but used relatively rare in the textbook and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 Fifth, all of the four types of research in educational administration in Korea hardly touch on curriculum management and student guidance, and facilities and office management. Based on this analysis, curriculum management must be reconsidered as the very fundamental knowledge base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in Korea.

      • KCI등재

        신도시개발지내 학교신설비 재정부담의 주체에 관한 논의

        천세영(Chun, Se-Yeoung),김병윤(Kim, Byeong-Yun)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09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18 No.3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the issues of the main body of financial burden on construction expenses of new school in new urban development, and to suggest that the school facility should be converted into the public facility on account of the public responsibility in education. We analyzed the demands of school establishment and the cost of development conditions, development profits, and urban renewal, and reviewed that the validity of converting the school facility into public facilitiy includes legitimacy·rationality, proportionality·feasibility and fairn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showed that the business developmentor should provide school facility for local school districts on free. 학교신설의 책임은 국가에 있으며 국가는 공교육을 위해 모든 비용을 부담해야 한다는 것이 기존의 생각이었다. 그러나 국가 위주의 공교육의 책임이 중앙정부에서 지방정부로 이양이 확산되고, 특히나 지방정부 주도의 대대적인 도시재개발 사업이 진행되면서 학교용지 재원 부담 주체 논쟁과 그로 인한 학교시설의 적기 공급이 늦어지면서 교육수요자의 권리가 침해되고 있다. 최근 이와 관련하여 「국토의 이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의한 공공시설로 전환해야 한다는 논의가 탄력을 받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공공시설이 무상귀속과 설치부담 주체를 살펴보고, 학교시설을 합법성과 합리성, 비례성과 실현가능성, 형평성이라는 관점에서 그 타당성을 검토해 보았다.

      • KCI등재

        교과서와 학습자료 구입액의 시장규모 추정

        천세영(Chun, Se-Yeoung),김수구(Kim, Soo-Goo)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10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1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the market size of the purchasing costs for the textbooks and reference books of major subjects used by the students of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in the private education market. To perform the study, the average prices and the average volumes that the students of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purchased in 2009 were investigated and the purchasing costs for the textbooks and reference books were calculated according to geographical areas and the level of economy. The result was that the total cost was 1.788 trillion won adding 349.0 billion won for the textbooks and 829.8 billion won for reference books. When the total cost was divided by the number of students, the total cost per student was 175,575 won adding 50,095 won for the textbooks and 125,480 won for reference books. Therefore, the purchasing costs of reference books was 2.5 times more than that of the textbooks. The calculated costs for the textbooks and reference books in this study was close to more accurate estimation because of applying the number of students according to school level. 이 연구는 초․중등학생들이 학교에서 사용하고 있는 주요 교과목의 교과서와 관련 학습자료 구입액의 시장규모를 추정하고자 하였다. 연구 수행을 위하여 2009년 기준 초․중등학생의 교과서와 학습자료의 평균 단가, 평균 구입 권수를 조사하여 교과별, 권역별, 경제수준별로 교과서와 학습자료구입액을 추정하였다.연구결과 권역별 학습자료 구입의 정도는 초등학교는 권역별로 차이가없었지만 중학교는 수도권, 고등학교는 호남권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학생의 경제수준별 학습자료 구입의 경향은 경제수준이 상인 학생이 학습자료를 더 구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우리나라의 초․중등 학생이1년간 교과서와 학습자료의 구입 규모는 교과서 3,490억원, 학습자료 8,298억원으로 총 1조 1,788억원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On the two resources of academic freedom in the European medieval university:

        Chun, Se Yeoung(천세영)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0

        이 논문에서는 유럽중세대학에서 학문의 자유가 탄생하게 된 역사에 대해 탐구하고 있다. 이를 위해 두 가지의 역사적 사건, 곧 대학-도시간 갈등과 교황권 대분열에 대해 집중적으로 검토하였다. 타운-가운 충돌은 교회와 왕들과 다른 사회 기구로부터 자치권을 확보하려는 대학의 투쟁이었다. 교황권 대분열은 악마의 중재자가 되어야 했던 대학에게 부여된 모순이었지만 동시에 대학이 마침내 학문적 자유의 뿌리를 키워낼 수 있었던 초월적 자양분이었다. 교황권 대분열 이전에 철학은 신학의 하녀일 뿐이었으나, 이후로 대학은 왕뿐만 아니라 교회로부터도 간섭받을 수 없는 연구의 자율권을 장악하게 되었다. 그것은 세 계와 신으로부터 독립된 중립적이고 자유로운 학문의 영토인 학문사회, 곧 아카데미아가 탄생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론적으로 학문의 자유는 중세 유럽에서 탄생한 대학의 존재론적 근원으로 확립 발전되었으며, 이후 유럽의 대학들이 서구 과학문명의 총아로서 발전할 수 있는 근원이 된 것으로 파악된다. 이같은 서구 중세 대학에서의 학문의 자유 발전사는 아시아 대학들의 미래를 위한 중요한 시사를 하고 있다. This article is an inquiry about the history of academic freedom of the medieval European university. The two big resources in the history of the European medieval university were reviewed: the town-gown conflicts and the great papal schism. The town-gown conflicts was the battle field of university’s struggle to secure its autonomy from the town and other social organizations from churches and kings. The great papal schism was the contradictory but transcendental domain where the university as the devil’s arbitrator could finally nurtured the roots of academic freedom. It was not until the schism that even the philosophy was the maid of theology. Now the university seized its autonomy of study which cannot be sensored by the church as well as the king. It could have secured the real neutral and free academia as an independent sovereignty from the world and God.

      • KCI등재

        스마트교육 요소로서의 디터러시 측정 연구

        천세영 ( Chun Se-yeoung ),이성은 ( Lee Seong-eun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16 교육연구논총 Vol.37 No.3

        이 연구는 스마트교육의 기저가 되는 디지털리터러시 능력을 측정하고, 국어와 수학성적과의 관계를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종전의 3R에서 읽기(reading)와 쓰기(writing)는 문자해득력 곧 리터러시(literacy)로, 셈하기(reckoning)를 숫자해득력 곧 누머러시(numeracy)로 재개념화하고, 디지털해득력인 디터러시(diteracy)를 추가하여 ‘새로운 3R``을 설정하였다. 그리고 초중학생들을 대상으로 디터러시를 측정 분석하여 스마트리터러시에 대한 기초적 이해에 접근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디터러시 능력은 초등학교의 경우 학년이 높아짐에 따른 이해력 또는 문해력이 증가하는 반면, 중학교는 이해력 또는 문해력이 높아짐과 함께 디터러시 능력에 대한 숙달 정도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디터러시와 국어성적, 수학성적과의 상관관계 분석한 결과 수학성적이 디터러시와 더 유의한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디터러시가 단순하게 알고 있는 지식을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 상황에서의 정확한 정보의 파악과 수행능력을 측정하는 것으로, 보다 조작적이고 기술적인 정보처리과정, 문제해결력과 관계되는 수학성적과 더 밀접한 관계에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digital literacy of the basic ability of smart education an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with digital literacy, language and mathematics scores. In this study, reading and writing in conventional 3R was reconceptualized as ``literacy`` and reckoning as ``numeracy``. ``Diteracy`` or digital literacy has been added to the conceptual structure of the "new 3R". To measure and analyze the diteracy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the approach required a basic understanding to configure a smart literacy syste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diteracy was found to be higher as grades (year in school) went up for elementary students as their general understanding and skills increased regardless of smart device over time. Gains for secondary students were not as high in each successive grade and took longer. Second, diteracy was found to have mor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mathematics than language. Because diteracy doesn’t measure the simply knowledge but the ability to identify the exact information and to perform in certain situations, diteracy was shown to have the closer relationship with mathematics related to operational and technical information processing, problem solving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해외유학에 따른 국가교육재원 유출 규모 분석 연구 - 지방대학위기 탈출 전략의 관점에서

        천세영(Se-yeoung Chun)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06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15 No.1

          본 연구는 정보화ㆍ세계화로 인하여 개인의 교육적 선택권이 확대되어 감에 따라 해외로의 학생이동이 증가되고 있는 현상을 초국적교육의 확대라고 정의하고 이러한 초국적교육의 증가는 국가의 교육재원을 유출시킬 것이라는 가정하에 교육비를 추정하여 재정유출 규모를 추정하였다. 또한 최근 들어 우리나라로의 중국 및 동남아시아로부터의 학생유입이 증가하고 있는데 유입학생의 규모와 재원을 지방별로 추정하여 학생의 수도권 집중 및 지방공동화 현상으로 학생유출이 심각한 지방대학의 위기를 탈출하는 전략을 마련하는 관점에서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BR>  우리나라의 고등교육단계에서 유출학생수는 2005년 기준 어학연수를 포함하여 192,254명이며 총 재원유출규모는 2,099백만 달러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반면 총유입학생수는 15,577명이며 94백만달러의 재원이 우리나라의 고등교육 유입생으로부터 유입된 것으로 추정되었다.   Because of the globalization, the ratio of students who study abroad is growing higher in these years. Between 1998 and 2001, the number of foreign students rose faster than the total number of tertiary-level students in OECD countries (16% for the former and 12% for the latter). It means that the choices in education are getting wider and the education market is getting bigger. Traditionally the students at the tertiary-level are often called as study abroad, but these days the study aborad at the primary and second level is becoming a wide-spreading phenomenon, although those levels of education has been regarded as a sort of enterprise under the national responsibility. In this study, increase of the international student mobility is suggested as the trans-national education. Trans-national means beyond the nation. Here it is selected by the reasoning that trans-national education is much more understandable to reflect the reality because of the globalization and internalization of education.<BR>  The expansion of the transnational education is brought about a kind of the financial trade. Some countries gain both brain and money, others los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ing : 1) The number of the students who study abroad are estimated 192,254 and the amount of the financial resource drain is estimated 2,099 million dollars. 2)The students who study in Korea are 15,577 and the national financial resource gain is 94 million dollar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driven as following : 1) to estimate the size of students by the country of destination and origin in Korea, and 2) to estimate the size of their educational expenditures.

      • KCI등재

        한국의 스마트교육추진전략과 교육학적 의미

        천세영 ( Se Yeoung Chun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13 교육연구논총 Vol.34 No.2

        스마트교육은 2011년 6월 29일 이후 한국의 모든 학교에서 화두가 되어왔음에도 불구하고, 일부 사람들은 스마트교육이 무엇인지에 대한 구체성이 전혀 파악되지 않는다고 말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스마트교육의 개념적 배경과 환경을 소개하고, 그 교육적 의미가 무엇인지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서 스마트교육을 통해 얻은 교육학의 의미는 세 가지로 볼 수 있다. 첫째는, 스마트교육은 새로운 교육학을 요구하는데, 새로운 교육학은 중요한 교육목표로서 문자와 숫자를 넘어 소리와 이미지도 다뤄져야 할 것이다. 둘째는, 교실에서 인력으로서 교사와 학생들은 동일한 비중을 가지며, 셋째는, 자원이 풍부한 학습 환경이 교사와 학생이 함께 자유롭고 안전하게 다운로드받고 업로드할 수 있는 콘텐츠 클라우드 형태로 실현될 것이다. Smart education has been a topic of conversation in all Korean schools since June 29, 2011 when the Korean government announced its smart education initiative. Some say, however, that no specific qualities of smart education have been identified yet. As such, this study aimed to introduce the conceptual background to smart education and its environment, and to explore its pedagogical implications. As a result, this study found three pedagogical implications of smart education: First, smart education calls for a new pedagogy. That is, the new pedagogy should not just deal with letters and numbers but also address sounds and images together with all other types of multimedia. Second, teachers and students as workforce have the same importance in classrooms. Third, a resource-enriched learning environment will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content cloud where teachers and students can freely and safely upload and download open educational resources and content together.

      • KCI등재

        영국의 유ㆍ초ㆍ중등교육 재정지원제도 분석 연구

        천세영(Chun, Seyeoung),고장완(Ko, Jang Wan),박동선(Park, Dongsun),전수경(Chun, Sookyong)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12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2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영국의 유ㆍ초ㆍ중등교육에 대한 재정지원 항목과 규모를 분석하여 향후 투자가 필요한 분야를 검토하며, 나아가 확보된 재원을 영국의 중앙정부 및 지방정부 등이 학교에 어떤 방식으로 배분하는지 조사ㆍ분석하여 현행 교부금 배분 방식에 대한 검토 및 개선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영국의 유ㆍ초ㆍ중등 교육관련 행정조직 및 지도ㆍ감독 체계, 정부, 지방자치단체 등의 재정 지원제도, 교육비 부담주체별 범위 및 종류 분석, 그리고 최근 교육개혁, 제도개선, 학생 수감소 등에 따른 유ㆍ초ㆍ중등교육에 대한 교육재정 지원방식 개선 논의를 살펴보았다. 연구방법으로는 일차적으로 문헌연구를 통하여 영국의 정책 문서, 관련 법령 등을 토대로 하여 교육재정에 있어 구체적인 재원확보 및 배분 방식을 분석하였다. 또한 2차례의 현장 방문을 통하여 영국의 지역교육청과 초등 및 중등학교를 직접 방문하고 교육재정 전문가 및 행정가와 면담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문헌 분석결과를 보완하고 우리나라 제도 개선시 고려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영국의 학교 재정제도는 중앙정부에서 지방정부(LA)에 재원을 포뮬러로 배분하고, LA에서는 중앙정부의 배분기준을 토대로 단위 학교에 내려 갈 배분규모를 학교장 등이 참여하는 학교 포럼을 거쳐 획정하며, 학교에서는 학교운영위원회에서 재정분과위원회를 두어 학교 내의 분야별 우선순위 투자를 결정하고, 집행은 학교장이 한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재원 배분 및 활용결과로 중앙정부는 OFSTED(Office for Standards in Education)에서 학교경영을 평가하여 학교운영위원회 및 LA의 교육위원회까지 영향을 미쳐 최종적으로 폐교 및 파산시키는 등 교육의 질 제고에, LA는 단위학교에 재원 배분 시 학교포럼을 거쳐 배분 하여 재원 배분의 투명성을, 그리고 학교는 단위학교에서는 학교운영위원회에 재정위원회를 두고 사업별 재원배분과 회계 감사를 함으로써 재원 활용의 자율성과 투명성과 책무성을 가지고 있다. 결론적으로 영국의 학교 재정제도 배분은 국가에서는 책무성 달성을 위해 평가체제를 강화하고 단위학교는 배분된 재원을 자율적으로 투명하게 집행하되 학교운영위원회에서 이를 견제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was to analyze school funding system in England in order to provide policy recommendations for educational finance system in Korea. With reviewing government reports and legal documents, and interviewing officers and expertises in Local Authorities in England, this article analyzed educational administrative system, educational finance system of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nd recent policy changes responding to educational reforms and reduction of students populations in England. In England, Dedicated School Grant(DSG) from the central government allocated to Local Authorities(LA). Then, Local Authorities allocate funding to schools on the basis of ‘fair-funding’ formulae which includes number of students by key stage, deprivation measures, special educational need(SEN), site and school-specific factors. At the school level, the Finance and Environmental Resources committee under the School Governing Board determined school spendings and a school head teacher actually manages school budget. In conclusion, school finance system in England is developed for maximizing accountability at national level while maintaining institutional autonomy of individual schoo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