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의 직업가치 유형별 직업적응역량에 미치는 영향 -진로성숙의 매개효과-

        채희원 한국산학기술학회 202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4 No.8

        본 논문은 4년제 대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직업가치와 직업적응역량의 관계에서 진로성숙의 영향력을 분석 한 연구이다. 분석에서 활용 되어진 자료는 282명의 4년제 대학생으로, SPSS 23.0과 AMOS 2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고, 자료 및 측정모형의 적합성, 구조모형의 검증, 변인의 관계 순서로 진행하여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로 첫째, 직업가치 중 ‘관계성추구’, ‘전문성추구’, ‘다양성추구’가 직업적응역량에 직접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나타내었고, 둘째, ‘수월성추구’, ‘창의성추구’, ‘흥미추구’는 진로성숙에 있어 유의미한 관계로 분석 되었다. 셋째, 진로성숙은 직업적응역량에 유의미 한 정(+)의 효과를 나타났으며, 직업가치 중 ‘수월성추구’와 ‘창의성추구’, ‘흥미추구’가 진로성숙을 완전 매개로 직업적응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의 결과는 역량기반 진로교육의 내실화를 위하여 이론적인 발전 및 확산에 함의를 제공하며, 개인별 차별화 되어진 진로지도가 운영되어야 함의 의미를 제공한다. 진로지도에 있어 채용패턴 및 대상자 별 프로그램 개발의 방향성을 제시하였으며, 진로지도정책 마련에 기여 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의의를 가진다.

      • KCI등재

        직업정보인지도가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대학의 진로 및 취업지원 조직 이용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채희원 한국콘텐츠학회 202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3 No.8

        본 연구는 대학 내 진로·취업지원조직을 통한 진로교육이 학생들에게 취업역량강화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지에 대한 효과성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 소재 S대학교에서 2022년도 5월 4일부터 13일까지 진행한 ‘2022 취·창업인식조사’에 참여한 602명의 학생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ver.)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분석방법은 직업정보인지도와 취업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진로 및 취업지원 조직의 이용 여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3단계에 걸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 하였다. 회귀계수의 유의성 검증결과, 상호작용항(직업정보인지도* 진로 및 취업지원조직 이용경험)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조절효과가 나타나 진로 및 취업지원조직 이용 경험이 있는 대학생이 이용한 경험이 없는 대학생보다 직업정보인지도가 증가할수록 취업준비행동이 가파르게 증가하는 결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는 대학생 스스로가 진로설계를 함에 있어 진로 및 취업지원조직의 진로교육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진로지도정책에 기여 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를 가진다.

      • KCI등재

        청년 니트족의 진로교육 경험이 진로성숙에 미치는 영향: 구직동기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채희원 한국취업진로학회 2023 취업진로연구 Vol.13 No.3

        국내 청년 실업률이 상승하며 구직활동을 중단 한 청년 니트(NEET; Not in Education, Employment or Training)족의 비율이 OECD국가 3위로 조사되며 사회적 우려가 확대되고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청년 니트족의 과거 진로지도 및 상담 등의 진로교육 경험이 진로성숙으로의 변화 관계를 살펴보고 개인 구직동기가 매개되어 그 기능을 발생하는지에 대한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한국고용정보원에서 만 15세부터 29세 청년 거주 가구를 대상으로 조사한 한국고용패널조사의 청년패널(Youth Panel 2021) 데이터를 활용하여 청년층 12,173명 중 청년 니트족에 해당하는 청년 1,564명을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연구의 방법으로 먼저, 연구 참여자의 인구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연구 변인의 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주요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진로지도 경험이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에서 구직동기에 따른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hayes(2018)의 PROCESS macro Model 4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검증결과로 첫째, 청년 니트족 연구대상 일반적 특성, 진로교육경험에 따른 진로성숙도 차이에서는 최종학력(t=37.324, p<.001), 진로교육 경험(t=-4.808, p<.001)이 차이를 나타내었고, 구직동기는 연령대(t=-3.265, p<.01), 최종학력(t=46.006, p<.001), 진로교육 경험(t=-2.842, p<.01)이 차이를 나타내었다. 구직동기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3단계에 걸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결과에서는 진로교육 경험이 진로성숙 수준에 긍정적인 정(+)의 효과를 나타내며 구직동기를 매개로 그 효과가 증가 됨을 확인할 수 있었고, 유의한 간접효과를 나타내는지를 위한 PROCESS macro(hayes, 2018)를 활용하여 Bootstrapping을 실시결과에서도 간접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청년 니트족을 대상으로 과거 진로지도 및 상담 등의 진로교육 경험이 진로성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개인의 자아존중감 및 구직효능감의 구직동기가 부분 매개하여 그 효과를 상승시킴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노동시장에서 소외되고 있는 청년 니트족 해결점에 대한 진로지도정책에 기여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신속한 노동시장으로의 이행을 위하여 함양하여야 할 주요한 변인이 무엇인지를 제공했다는데 연구의 의의를 가진다. As the youth unemployment rate in Korea rises, the proportion of youth NEET that has stopped seeking jobs is ranked third in OECD countries, raising social concerns. In this study, we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education experiences such as career guidance and counseling among young neet to career maturity. It is intend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whether individual job search motivation mediates and generates the function. The study was set for 1,564 youth who are youth neet out of 12,173 young people using the Youth Panel 2021 data of the Korea Employment Panel Survey surveyed by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As a method of the study, first, a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participants, and a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level of the research variables. Seco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correlation between major variables. Third, Hayes (2018)'s PROCESS macro Model 4 was conduct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earch motivation in the impact of career guidance experience on career development. As a result of the verification of this study, first, the final academic background (t=37.324, p<) in the difference in career maturity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youth neet research subjects and career education experience.001), career education experience (t=-4.808, p<.001) showed the difference. The motivation for finding a job is the age group (t=-3.265, p<).01), final education (t=46.006, p<.001), career education experience (t=-2.842, p<.01) This difference is shown.In order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earch motivation, a three-step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showed a positive (+) effect on the level of career maturity .It was confirmed that the effect increased through job search motivation, and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indirect effect was significant in the results of bootstrapping using the PROCESS macro (hayes, 2018) to see if it showed a significant indirect effect. In this study, past career education experiences such as career guidance and counseling have a positive effect on career maturity, and individual self-esteem and job search motivation partially mediate the effect. Through this, the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basic data to contribute to career guidance policies for young neet who are alienated from the labor market, providing what major variables should be cultivated for rapid transition to the labor market.

      • KCI등재

        Onboard Real-time Object Surface Recognition for a Small Indoor Mobile Platform Based on Surface Component Ratio Histogram

        채희원,유혜준,송재복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19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rol, Automation, and Vol.17 No.3

        Since a RGB-D sensor provides rich information about the scene, various object recognition schemesand low-level image descriptors can be used to improve the SLAM performance. However, a cleaning robot, whichis usually flat and thus the camera is close to the floor, usually only has a partial view of the objects in front of thecamera; therefore, conventional object recognition schemes based on the complete view of objects are not suitable. To address this problem, we introduce a novel object surface recognition algorithm based on the proposed surfacecomponent ratio histogram (SCRH). SCRH is a surface descriptor which describes the geometrical shape of thepartial view of the object. Without any pre-trained model of the objects, SCRH provides a way to deal with theunexpected objects which the robot encounters during the navigation. SCRH was evaluated using several objectslying on the floor of which the identities are not known in advance.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objects aresuccessfully discriminated based on their surfaces and SCRH is robust for object surface recognition.

      • KCI등재
      • KCI등재

        대학생 진로개발을 위한 진로교과목 효과성 검증 연구: S대학 핵심역량 중심으로

        채희원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8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career subjects and test their effectiveness for career development of college students. Method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conducted in 13 weeks of 60 minutes per session from September to December 2022 for second graders at S University in Seoul. The career adaptation after the program pre-school career adaptation. For the study analysis, an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a corresponding sample t-test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23.0 program. Result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experimental group's responsibility (t=-5.135, p<0.001), goal consciousness (t=-7.225, p<0.001), creativity (t=-6.735, p<0.001), openness (t=-11.146, p<0.001), initiative (t=-5.16, p<0.251, p<0.001) were statistically increased. In the case of the control group,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Conclusions The experimental group of career subjects was verified to be effective in increasing the sub-factors of career adaptatio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what are the main factors of career design by verifying the effectiveness of career subjects in designing careers by college students themselves.

      • KCI등재

        대학생의 직업가치 유형별 직업적응역량에 미치는 영향 -진로성숙의 매개효과-

        채희원(Hee-Won Chae) 한국산학기술학회 202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4 No.8

        본 논문은 4년제 대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직업가치와 직업적응역량의 관계에서 진로성숙의 영향력을 분석 한 연구이다. 분석에서 활용 되어진 자료는 282명의 4년제 대학생으로, SPSS 23.0과 AMOS 2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고, 자료 및 측정모형의 적합성, 구조모형의 검증, 변인의 관계 순서로 진행하여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로 첫째, 직업가치 중 ‘관계성추구’, ‘전문성추구’, ‘다양성추구’가 직업적응역량에 직접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나타내었고, 둘째, ‘수월성추구’, ‘창의성추구’, ‘흥미추구’는 진로성숙에 있어 유의미한 관계로 분석 되었다. 셋째, 진로성숙은 직업적응역량에 유의미 한 정(+)의 효과를 나타났으며, 직업가치 중 ‘수월성추구’와 ‘창의성추구’, ‘흥미추구’가 진로성숙을 완전 매개로 직업적응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의 결과는 역량기반 진로교육의 내실화를 위하여 이론적인 발전 및 확산에 함의를 제공하며, 개인별 차별화 되어진 진로지도가 운영되어야 함의 의미를 제공한다. 진로지도에 있어 채용패턴 및 대상자 별 프로그램 개발의 방향성을 제시하였으며, 진로지도정책 마련에 기여 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의의를 가진다.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 of career matur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value and career adaptation competency for four-year college students. The survey data of 282 four-year college students in the metropolitan area were analyzed. Measurement model analysis and structural model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23.0 and AMOS 28.0. Subsequently, mediating effect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verific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mong job values, professionality pursuit, relationship pursuit, and diversity pursuit had a direct significant effect on job preparation competency. Second, creativity pursuit, easy pursuit, and interest pursuit ha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career maturity. Third, career maturity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job preparation competency. Finally, it was verified that creativity pursuit and easy pursuit among job values had an effect on job preparation competency through career maturity. These research results provide a basis for the theoretical development and spread of competency-based career education and also for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differentiated career guidance. This guidance involves presenting the direction of program development for each target for each recruitment pattern. Thus, it would be beneficial to provide basic data that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an appropriate career guidance policy.

      • KCI등재

        최고경영진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이 하이테크 기업의 기술적 혁신에 미치는 영향

        채희원(Heewon Chae),송재용(Jaeyong Song) 한국전략경영학회 2009 전략경영연구 Vol.12 No.2

        본 연구는 지식기반 하이테크 기업의 기술적 혁신을 용이하게 해주는 최고경영진(top management team)의 특성을 밝히는 데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본 연구는 상층부이론(upper-echelons theory)을 이용하여 최고 경영진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이 기업의 기술적 혁신의 성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을 제시하였다. 2000년도 미국의 라디오 텔레비전 방송 통신 장비산업에 속한 108개의 기업을 대상으로 음이항 회귀분석을 실시한 실증분석 결과 최고경영진의 평균연령은 기술적 혁신과 부적인 관계를 갖는 반면, 최고경영진의 조직근무연한, 과학 및 공학 전문가 비율, 법률분야 종사경험자의 비율은 기술적 혁신 창출과 정적인 관계를 가짐이 드러났다. 본 연구는 그 동안 상층부이론에서 구체적으로 다루어지지 않은 기술집약적 하이테크 기업의 기술적 혁신에 대한 실증분석을 실시함으로써 지식 집약적 특징을 가진 하이테크 산업에서의 최고경영진의 특성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다른 산업에서와는 다른 양상을 띨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더 나아가 최고경영진 특성에 영향을 받는 조직학습 메커니즘에 대한 향후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op management team characteristics which facilitate technological innovations of high-technology, knowledge-intensive firms. Using the upper-echelons theory, we hypothesize that demographic variables of top management team (TMT) members will affect the firm’s technological innovation outcomes measured in terms of patents. Results from the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indicate that average age of top team members is negatively related to the technological innovations whereas average organizational tenure, the proportion of science and engineering specialists, and the proportion of top team members with legal expertise positively affect the creation of technological innovation. By examining patents as the output of technological innovation activities, which has rarely been the focus of research streams of the upper-echelons theory, this study shows that top executives in high-technology firms exert different influence on firm performance from those in other industries. This study links the empirical gap between the upper-echelons theory and the knowledge management literature, providing a new avenue for future research on the organizational learning mechanism affected by TMT characterist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