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당뇨병성 족부궤양이 당뇨병환자의 재원기간 및 입원비용에 미치는 영향

        김재문 ( Jae Moon Kim ),진홍용 ( Heung Yong Jin ),강선미 ( Sun Mi Kang ),김소영 ( So Young Kim ),박지현 ( Ji Hyun Park ),박태선 ( Tae Sun Park ),백홍선 ( Hong Sun Baek ) 전북대학교 의과학연구소 2007 全北醫大論文集 Vol.31 No.2

        연구배경: 우리나라에서 아직까지 당뇨성 족부궤양이 재원기간 및 재원 비용에 대해 미치는 영향에 대해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비록 당뇨성 족부궤양에 의한 재원기간 및 비용들을 정확히 측정하기는 힘들지만 이러한 시도가 향후 경제학적인 측면 및 사회적 짐이 될 수 있는 측면에서 볼 때 효과적인 의료비 절감을 할 수 있는 방안에 영향을 줄 수 있겠다. 방법: 본 자료는 2005년 1월부터 12월까지 전북대 병원 내분비 내과 및 당뇨성 족부궤양 및 당뇨를 주소로 입원한 환자에 기초하여 조사 및 비교하였다. 이중 49명의 당뇨병성 족부궤양 환자 와 나이 및 성별이 비슷한 족부 궤양이 없는 당뇨병 환자 49명을 재원비용, 협진건수, 수술여부, Lab(TG, HDL, LDL, Cr, HbA1c, Insulin, C-peptide)등을 비교하였다. 결과: 당뇨성 족부궤양이 없는 환자보다 당뇨성 족부궤양이 있는 환자는 있어서 평균 재원기간 및 입원비용이 더 높았다. (46.5 ± 36.2 vs 23.0 ± 21.4 일, P<0.05), (9,114,079 ± 7,341,282 vs 5,770,949 ± 5,387,066 원 P<0.05). 또한 당뇨병성 족부궤양 환자중 수술환자는 23명이었으며 이중 8염이 Major operation을 받았으며 15명이 Minor operation을 받았다. 결론: 위와 같은 결과를 보았을 때 당뇨병성 족부궤양의 예방은 향후 당뇨환자에게 있어서 경제적 짐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게 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당뇨병환자를 관리할 때, 당뇨병성 족부궤양에 대한 예방 및 교육, 치료에 좀 더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하겠고 이는 요즘 증가하고 있는 사회적 측면에서의 의료비 절감효과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Background: Few data has been reported about the impact of diabetic foot ulcer on the length of hospitalization and costs in hospital care in Korea. Although it is difficult to estimate precisely, this trial is necessary for efficient medical policy in the respect of social budget and health economy. Methods: From Jan. 2005 to Dec. 2005, diabetic patients who have been admitted in Chon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were reviewed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foot ulcer. After that, admission days, costs, and treatment modality were compared with diabetic patients without foot ulcer. Results: The mean value of admission days and the direct costs of diabetic patients with foot ulcer were higher than those of diabetic patients without foot ulcer (46.5 ± 36.2 vs 23.0 ± 21.4 days, P<0.05), (9,114,079 ± 7,341,282 vs 5,770,949 ± 5,387,066 won P<0.05). Among diabetic patients with foot ulcer, 23 patients had been operated including of amputation and local debridement in operating room. Conclusion: From this data, we suggest that the prevention of diabetic ulcer has a significant economic benefit in the Korea healthcare budget. Therefore, specific foot care of diabetic patients may be more beneficial in the management of diabetic patients and multidisciplinary team approach with specialized foot clinics, if possible, should be performed in the future.

      • 가토 페에 이식한 VX2종양의 고주파 소작술: 아급성기의 나선식 전산화 단층 촬영 소견

        전수빈 ( Su Bin Jeon ),진공용 ( Gong Yong Jin ),진홍용 ( Heung Yong Jin ) 전북대학교 의과학연구소 2005 全北醫大論文集 Vol.29 No.1

        We evaluate CT findings to know the therapeutic efficacy after percutaneous CT-guided transthoracic radiofrequency ablation (RFA) of the lung VX2 tumor implanted in rabbits at subacute stage. Ten rabbits with successful implanted lung VX2 tumor were used. Two rabbits used as control group had no RFA and eight rabbits underwent RFA [complete RFA (n=4) and partial RFA (n=4)]. RFA was performed using an internally cooled, 17-gaugeelectrode with a 1-cm active tip under CT guidance. Post procedural CT was performed within 3 weeks later after RFA. We analyzed the ablated size and enhancement pattern at subacute stage. The mean diameters of the ablation zone on follow-up CT scans after RFA in complete and partial groups were larger than those of the tumors before treatment; 33% and 35.3%, respectively. The mean CT number of VX2 tumor before RF ablation on the contrast-enhanced scans was 68.5 ±16.2 HU. The mean CT number of ablation zone on the contrast-enhanced scans in complete and partial groups were 72±5.7 HU and 74±41.0 HU, respectively. There is no difference of the enhancement pattern and change of the size on the ablation zone after RFA in the complete and partial ablation on the subacute stage. Then, we recommend that it need to the alternative modality for evaluation of the ablation zone after RFA on the subacute stage.

      • 症例(증례) : 고립성 편측 외전신경 마비로 나타난 원발성 알도스테론증

        박지현 ( Ji Hyun Park ),노정미 ( Jung Mee Rho ),이가영 ( Ka Yeoung Yi ),오선영 ( Sun Young Oh ),송민주 ( Min Ju Song ),진홍용 ( Heung Yong Jin ),김소영 ( So Young Kim ),강선미 ( Seon Mee Kang ),박태선 ( Tae Sun Park ),백홍선 ( Hon 전북대학교 의과학연구소 2007 全北醫大論文集 Vol.31 No.2

        외전신경마비는 급성 복시의 흔한 원인중 하나로써 뇌종양이나 혈관병증, 또는 당뇨병과 같은 전신질환의 한 증상으로도 나타난다. 당뇨병과 같은 전신 질환에서 외전신경마비는 미세혈관장애와 관련된 현상으로 알려져 있으며 60세 이전의 환자에서는 발생이 드물다. 원발성 알도스테론증은 전체 고혈압의 약 10%를 차지하는 이차성 고혈압의 원인 중 가장 흔한 내분비 질환이다. 과혈압과 저칼륨혈증을 특징으로 하며 대부분 수술로 치료가 가능한 질환이다. 임상 증상은 무증상인 경우가 가장 많고 일부에서 높은 혈압이나 저칼륨혈증과 관련된 증상들이 나타날 수 있다. 저자들은 극히 드물게 보고된 외전신경 마비를 동반한 부신의 알도스테론 분비 선종에 의한 원발성 알도스테론증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Sixth cranial nerve innervates the lateral rectus muscle and its palsy is a common cause of acute diplopia. Isolated sixth nerve palsy may be associated with different pathologic conditions such as brain tumors and vasculopathy, or a symptom of generalized disease such as diabetes. Hypertension had been also frequently reported as being vascular or ischemic etiology of acquired sixth nerve palsy. However, the recent population based-study showed that systemic hypertension dose not seem to be a significant association. Secondary hypertension, there is a known cause, is in about 10% of all hypertension cases. Primary aldosteronism could be the most common identifiable and specifically treatable form of secondary hypertension. The clinical features of primary aldosteronism are not specific. Some patients are completely asymptomatic or have minimal symptoms. There is rare literature about the primary aldosteronism related with sixth nerve palsy. We here report a case of a 41 year old male with secondary hypertension by aldosterone-producing adrenal adenoma presenting with isolated unilateral sixth nerve pals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