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업 전문성 재개념화 연구 동향 및 과제

        진영은(Youngeun Chin),함영기(Younggi Ham) 한국열린교육학회 2009 열린교육연구 Vol.17 No.2

        전통적으로 교사의 수업 전문성을 신장하기 위하여 행해진 방법은 '효과적인 수업'에 초점을 두고 교사의 자질을 향상시키는 것이었다. 이러한 관점에서 교사에게 필요한 능력은 해박한 교과지식과 수업기술이다. 그러나 최근 교과지식과 수업기술의 연마를 핵심으로 하는 수업 전문성 신장 방식을 비판하며 이에 대한 대안적 관점을 주장하는 의견들이 활발하게 제시되고 있다. 대안적 관점의 연구들은 학습자에게 축적되는 지식의 성격과 교사의 역할을 재정립해 보려는 시도에 초점을 두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시도에도 불구하고 수업 전문성의 재개념화를 위한 여러 주장들은 이론적, 선언적 수준에 그치면서 실제 교수·학습 장면에서 충분한 적용을 거쳐 실전적인 모습으로 가시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그동안 개별적으로 진행되어온 수업 전문성의 재개념화 관련 연구들을 체계적으로 수집, 분석하여 통합적 이해의 바탕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대안적 관점끼리의 비교, 분석을 통하여 현 단계에서 수업 전문성의 재개념화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수업 전문성의 재개념화 관련 연구물을 몇 개의 범주로 유형화하여 비교, 분석하고 향후 실천적 재개념화를 위한 과제를 탐색하였다. Traditionally, the method of improving the teacher's teaching professionalism is enhancing the teacher's quality focused on the effective instruction. In this respect, the ability needed to the teacher is the extensive knowledge on the subject and instructional skills. However, recently, criticizing the improving type of the Teaching professionalism focusing on textual knowledge and research of instructional skills, opinions asserting the alternative respects are suggested positively. The studies of alternative respect are focused on the efforts examining characteristics of knowledge accumulated on the learner and the attempts reshaping the teacher's role. But this attempt is deferred to the declarative argument because it isn't verified enough in the practicing process. This study is for collecting and analysing systematically each assertion on the reconceptualization of Teaching professionalism processing respectively, making synthetic understanding possible. Moreover, through the comparison and analysis between the alternative respects, this study aims at grasping the level of the study of reconceptualization of Teaching professionalism at present phase. For that, this study makes the researches related to the reconceptualization of Teaching professionalism into a few categories, comparing and analyzing them, searching the assignments for practicing reconceptualization afterwards.

      • KCI등재

        아이들의 숲 체험과 그에 대한 인상적인 기억에 관한 질적 탐구

        진영은(Youngeun Chin),조규성(Kyusung Cho) 한국환경교육학회 2009 環境 敎育 Vol.2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qualitatively inquiry the narratives on the most impressive memories of children experienced in the forest. Considering Pestalozzi's argument that nature is a true teacher, the authors of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and understand what kinds of experiences children did in the forest and what they learned from the experiences via the narratives of the children. In the process of analysis, the children's narratives were classified into 'narrative on the forest,' 'narrative on the most impressive moments,' 'narrative on changes,' and 'narrative on narratives.' Via the narrative analysis, it was identified that when, with whom, where, why the children went to the forest and that how their thoughts and behaviors on 'the forest,' 'other people,' and 'oneself from the emotions and experiences in the specific moments in the forest were changed. Furthermore, the thoughts and attitudes of the children on the forest narratives including what they wanted to friends on their experiences in the forest and their impressions on talking about the forest in this research were identified.

      • KCI등재

        교사 열정의 교육적 의미에 관한 연구

        진영은(Chin Youngeun),이선영(Lee Seonyoung),김진희(Kim Jinhee) 한국열린교육학회 2012 열린교육연구 Vol.20 No.2

        This study is about the teachers’ passion on the relationship dimensions. While previous research centered on teachers’ passion as an instrumental tool, I intended to reveal their passion on the basis of relationship dimension and searched for the educational influence of teachers’ passion by in-depth interview with two teachers and observation in their classes. Although teachers’ pa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you and me’ was beyond the teaching techniques to connect teachers and students in the classroom, it was not only a thankful affection but also a burden. In the relationships among co-teachers, passion became both a restriction as well as a shared energy. From the view of education, teachers’ passion has the following meanings. First, it gained authentic meaning when a potential passion was transformed into practical passionate behaviors of teachers through struggling human beings(entwurf). Second, passionate teachers tried to embrace others’ perspectives and to reflect on their own activities in spite of their desire for deterritorization. Third, passions were increased by various layers of relationships. In this respect, teachers’ passions in education should be tolerant passions, rather than immersed passions. Also, teachers’ passions had a variety of characteristics, rather than a choice between two extremes such as ‘to be, not to be.’ or ‘much, little.’ 이 연구는 관계 측면에서의 교사 열정 체험에 관한 탐구이다. 기존의 연구들이 열정의 도구적 역할에 중점을 둔 반면, 이 연구는 열정적인 두 교사와 학생들을 심층면담하고 참여관찰 함으로써 열정의 속성을‘관계’의 차원에서 조명하고 열정의 교육적 의미를 발견하고자 하였다. 교사의 열정은‘내가 불을 밝혀서 함께 쓰는 에너지’이기에 관계가 기반이 된다. 교사와 학생의 관계에서 열정은‘테크닉 너머의 가르침’이고‘나와 너로 이어주는 힘’이었으며 또한‘고맙지만 부담스러운 마음’이기도 했다. 동료교사들과의 관계에서 열정은‘함께 나누는 에너지’였지만 때로는‘삶을 구속하는 모습’이기도 했다. 교육의 관점에서 열정 체험은 첫째,‘기투’라는 존재론적 특성에 의해 잠재적 열정이 실천적 열정으로 이행된 것이며 타자에게 전이될 때 의미를 더했다. 둘째, 탈영토화의 욕망 속에서도 자신의 지평을 성찰하고 타인의 지평을 포용하려 했다. 셋째, 여러 층 관계 구조도‘나와 너’의 존재적 관계에서의 열정을 상승시켰다. 열정 체험이 갖는 이러한 의미는 교사의 열정이 몰입하기 보다는 배려하는 열정이어야 하며 열정은‘있다, 없다’,‘많다, 적다’로 단정 지을 수 없는 다양한 모습의 존재 특성임을 함의한다.

      • KCI등재

        상상력에 관한 연구 동향 및 유형 재탐색

        이하영(Lee, HaYoung),진영은(Chin, YoungE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7

        본 연구는 2009개정 초등교육과정에서 창의적인 인간을 기르기 위해 상상력이 개발되어야 한다는 총괄 목표에 따라 교육 전반에 적정하게 적용할 수 있는 상상력의 개념과 유형을 수립하는 것이 시급하다는 문제의식 아래 시작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먼저 국내에서 연구되는 상상력의 종류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 국어과에서는 문학적·시적 상상력, 도덕과에서는 도덕적 상상력, 역사과에서는 역사적 상상력, 과학과에서는 과학적 상상력, 예술과 관련해서는 예술적 상상력으로 구분되어 있었다. 각 상상력의 특성을 살펴본 바에 의하면, 비슷한 성질의 상상력이 명칭만 달리하여 각각 내포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상력을 교육적 실천 전반에 적용 및 확장하기 위한 그 선행적 토대로서 상상력의 유 형을 반성적으로 검토하여 재분류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상상력의 유형을 크게 개인의 감정 및 심상에 의한 것과 실재에 기반 한 상상력으로 구분하였으며, 세부적으로는 감각적 상상력, 공감 및 감정적 상상력, 상상적 공상, 종합적 상 상력, 지적 및 전략적 상상력, 창조적 상상력, 비판적 상상력의 7가지로 제시하였다. Based on the general objective of the primary curriculum, revised in 2009, this study addresses the necessity of the imagination that can be applied across subject. For this purpose, the domestic researches had been reviewed in terms of imagination so that it turns out that each field is considering the imagination limited on its own boundary; the language associated is only focusing literary, poetic imagination. Furthermore, as 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each imagination, it also observed that similar properties are named differently in different fields. In this study, imagination is analyzed in two ways: emotional one which is associated with emotion and mentality, and cognitive one is relevant to the ability to configure the real based on the knowledge and experience; seven educationally efficacious imagination types and educational factors connected to each type are suggested.

      • KCI등재

        ‘진로’의 의미 탐구를 통한 진로교육 방향 모색

        목정연(Mok Jung Yeon),진영은(Chin YoungE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3

        본 논문의 목적은 ‘진로’의 의미를 탐구하고, 진로교육이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진로’의 사전적 정의인 ‘앞으로 나아갈 길’에 비추어 진로의 의미를 탐구하였다. ‘앞으로’를 통해 시간의 의미를 고찰하여 학생들이 과거, 현재, 미래 에 대해 균형 있는 시간관을 가져야 하고, ‘나아갈’을 통해 생성의 의미를 고찰하여 학생들의 나아가기가 나아짐을 지향하는 새로운 자기-되기의 과정이 되어야 하며, ‘길’을 통해 자유의 의미를 고찰하여 학생들이 관습에서 벗어나 자신의 길을 찾을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을 밝혔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진로교육의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미래적 가치 추구는 학생들의 현재 삶을 돌보는 활동으로부터 시작되어야 한다. 둘째, 인재가 되기 전에 인간으로서 성장해 나가는 교육이 되어야 한다. 셋째, 주도적으로 자신의 행복한 삶을 만들어 나가는 길이 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진로교육의 현장 적용에 대한 연구와 실천의 교육적 가치에 대한 비판적이고 질적인 접근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meaning of Career and to find directions for career education. To this end, we explored the meaning of the ‘Career in light of the dictionary definition of ‘Going forward, Advancement, Path . Through ‘Going forward review of the meaning of time, students should have a balanced view of the past, present, and future, consider the meaning of becoming(devenir, werden) through Advancement to become a new becoming yourself(devenir soi) process toward better students progress, and use ‘Path to explore the meaning of freedom to find their way out of the custom. Based on these discussions, the direction of career education was presented as follows. First, the pursuit of future values should begin with the activities of taking care of students current lives, and second, it should be an education that grows as a human being before becoming a talented person, and third, it should be a way to lead a happy life of his/her own. Finally, it was suggested that a critical and qualitative approach is needed to the educational value of research and practice on the field application of career education.

      • KCI등재

        중학교 국악수업에 관한 연구동향 고찰

        황부남 ( Bunam Hwang ),이하영 ( Hayoung Lee ),진영은 ( Youngeun Chin ) 한국예술교육학회 2016 예술교육연구 Vol.14 No.1

        국악은 우리 조상에게서 물려받은 고유한 전통문화임으로 문화유산을 아끼고 보전함과 동시에 우리음악을 다음 세대에 계승 발전시켜야 하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학교 국악수업은 우리 민족의 얼과정서가 녹아 있는 국악 수업활동을 통하여 학생들에게 바람직한 정서 함양에 많은 영향을 끼친다. 이에 본 연구는 중학교 국악수업에 관한 연구동향을 포괄적으로 조망하고 향후 연구 과제를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국악수업에 관한 국내 석·박사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 연구보고서 총 49편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국악수업에 관해 3가지 연구유형인 이론적 연구, 양적 연구, 질적 연구와 4가지 연구주제인 음악과 국악교육과정 연구, 국악수업 지도 연구, 국악수업을 위한 평가 연구, 기타 연구로 구분하여 연구동향을 조망하였다. 중학교 국악수업에 관한 국악교육 관련 연구동향의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국악수업의 다양한 지도방안 및 수업방법에 관한 연구가 있었지만 대부분 이론적 연구와 양적연구를 중심으로 수행되었다. 둘째, 연구자 입장에서 국악수업 지도 방안 중심으로 연구가 치중되었으며 적용 및 실행에 있어 미비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국악수업에 있어서 학생과의 실제적 상호작용 현장 중심 연구가 부족하였다. 그러므로 향후 중학교 국악수업에 관한 연구 과제로는 연구방법론의 다양화, 실천에 관한 현장 실행 체계 연구 등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중학교 국악수업에 관한 연구에서 국악수업 지도 방법이 이론적 연구, 양적 연구가 아닌 경험과 사례를 바탕으로 한 질적 연구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Teaching Korean Traditional Music is so important in terms of maintaining well preservation of inherited traditional culture from ancestor as well as upholding and handing over our traditional music to the next gener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trend of the practic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teaching in middle school music education, and to propose directions for further studies based on the analysis. For this end, forty-nine master``s and doctoral theses and academic articles were analyzed. In addition, the direction of researches related to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was looked into three kind of formulated study, theoretical,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spects, and four kind of studying theme, the curriculum of traditional music, instruction of lesson, appraisal for lesson and others. The findings in this study are summed up as follows. First, the past studies have been focused mainly on theoretical and quantitative research nonetheless there have been diverse teaching methodology and method in class. Secondly, most studies have been weighed on the study of instruction method of traditional music in respect of researcher``s own aspect rather than the study of application and implementation. Third, there have been less studies about on-site correlation between teacher and student in lessens. Based on this findings in the study, it could be realized that the diverse methodology in study and schematic in-site study on the practice was imperative as the subject of future-oriented study for practic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t middle schools. Whereas, it is making sound suggestion about the requisition of the qualitative study based on the empirical and practical application, not on either a theoretical or quantitative study by which the contents and analyses as well as teaching methods have been prevalent in practic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t middle schools.

      • KCI등재

        인성교육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 및 과제

        최예솔(Choi, YeaSol),이하영(Lee, HaYoung),진영은(Chin, YoungE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6

        본 연구의 목적은 1996년에서 2015년까지 20년 동안 국내에서 수행되어온 인성교육 관련 연구들의 전반적인 동향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국내 인성교육의 연구 방향과 실천적 과제를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내에서 발표된 인성교육 관련 학위논문과 학술지논문 총 88편을 선정하여, 연구주제 및 연구방법에 따라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성교육 관련 연구들은 대부분 문헌연구 방법으로 수행되었다. 둘째, 최근 인성교육은 역량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그리고 관계성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변화되고 있다. 셋째, 인성교육 실천에 있어서 교사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다. 인성교육에 관한 향후 연구 과제로는 시대적, 사회적 변화에 적합한 인성교육의 필요성, 교사를 위한 교육, 지원, 연구의 필요성, 인성교육 내용의 개인적 측면과 관계적 측면의 조화, 그리고 학교 현장에서의 인성교육 실천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review the trends of character education studies in Korea from 1996 to 2015. For the analysis, the research themes and research methods are examined using 88 research papers on character education in Korea,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nd tasks were suggested.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ost research papers about character education showed that the literature method. Second, recently character education is changing the concept including the competence, and the relationship to emphasize direction. Third, the role of the teacher has been emphasized in the character education practice. For the future research, the following topics are recommended: the need for character education that is suitable for times and social change, the need for education, support, research for teachers, Harmonization of personal side and relations aspects of the character educational content, and the need for research on the character education practice in schoo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