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PBSA 분해효소 유전자의 분석

        주현진 ( Hyun Jin Joo ),김말남 ( Mal Nam Kim ) 한국환경생물학회 2010 환경생물 : 환경생물학회지 Vol.28 No.2

        Burkholderia cepacia PBSA-7, Bacillus licheniformis PBSA-8 and Burkholderia sp. PBSA-9 previously collected from Korea soil (Joo and Kim, 2009) were analyzed for the presence of genes encoding proteins operative in the degradation of poly(butylene succinate-co-butylene adipate; PBSA). Polymerase chain reaction analyses revealed a 1.5 kb fragment of the lipase gene (lip A) in B. cepacia PBSA-7 and Burkholderia sp. PBSA-9, while B. licheniformis PBSA-8 harbored the same gene fragment at 600 bp. The three strains possessed Gly-X1-Ser-X2-Gly and Ala-X1-Ser-X2-Gly lipase sequence regions. Burkholderia sp. PBSA-7 lip A displayed 36~40% homology with the family 1-1 lipases and 82~92% homology with the family 1-5. Burkholderia sp. PBSA-8 lip A was 64~65% homologous with the subfamily 1-4 lipases, but displayed no homology with the subfamily 1-5 lipases. Burkholderia sp. PBSA-9 lip A displayed 35~37% homology with the family I1 lipases and 83~94% homology with the family I2 lipases, similar to Burkholderia sp. PBSA-7.

      • KCI등재

        토양에서 분리한 Poly(butylene succinate-co-butylene adipate) 분해균의 분해활성 증진

        주현진 ( Hyun Jin Joo ),김말남 ( Mal Nam Kim ) 한국환경생물학회 2009 환경생물 : 환경생물학회지 Vol.27 No.2

        우리나라 서울시와 경기도 일대의 토양으로부터 poly(butylene succinate-co-butylene adipate: PBSA)를 분해하는 중온성세균 3주를 분리하였다. 0.01%의 PBSA film이 유일 탄소원으로 첨가된 변형 Sturm test에서 40일간 PBSA의 생분해도는 각 분리균주가 30%, 55% 및 43%를 나타내었으며, 이 중 Bacillus licheniformis PBSA-5의 경우는 PBSA뿐만 아니라 PVA에도 분해 활성을 나타내어 산업적으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분리균주에 대한 16S rDNA 염기서열분석 결과로부터 각각 Burkholderia cepacia PBSA-4, Bacillus licheniformis PBSA-5 및 Burkholderia sp. PBSA-6로 동정되었다. 분리균주들의 PBSA 분해 활성은 27℃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47℃ 이상의 고온에서는 분해 활성이 감소하였다. 초기 균 접종량이 10(10) cfu mL-1일 때 10(9) cfu mL-1보다 PBSA의 분해 활성이 약 1.2~1.3배 증가하였다. 0.1 및 0.5%의 gelatin, yeast extract 및 ammonium sulfate를 첨가한 경우에 PBSA의 분해 활성이 증가하였는데, 특히 0.1% gelatin의 첨가는 PBSA의 분해 활성을 33% 증진시켰다. 또한 각 분리균주를 단독 배양할 때보다 두 균주를 혼합 배양한 경우는 PBSA의 분해 활성이 약 1.2배~2.1배까지 증진되어 PBSA의 생분해도는 54~68%에 도달하였다. From leaf mold and reclamation site soil of the Capital area of Korea, 3 poly(butylenes succinate-co-butylene adipate: PBSA)-degrading strains were isolated through the clear zone test. The PBSA-degrading activities of the strains were assessed by means of a modified Sturm test using 0.01% of PBSA film as a sole carbon source. After the modified Sturm tests for 40 days at the respective isolation temperatures, the 3 strains degraded 30%, 55% and 43% of PBSA, respectively. The isolated strains were identified to be Burkholderia cepacia PBSA-4, Bacillus licheniformis PBSA-5 and Burkholderia sp. PBSA-6 through the 16S rDNA gene sequence analysis. Among them, PBSA-5 degraded both PBSA and Poly(vinyl alcohol). The degradation activity of the PBSA degrading strains appeared to be high at moderate temperatures such as 27℃ and 37℃, and initial inoculum size of 10(10) cfu mL-1 degraded PBSA 1.2~1.3 more times than that 10(9) cfu mL-1. Addition of 0.1 or 0.5% (w/w) of gelatin, yeast extract and ammonium sulfate raised the PBSA degrading activity, and especially addition of 0.1% (w/w) of gelatin enhanced the PBSA degrading activity by more than 33%. The mixed strains degraded PBSA faster than the single strain.

      • KCI등재

        실험동물 뇨시료의 대사체학적 분석을 위한 핵자기공명스펙트럼 패턴인식

        주현진(Hyun Jin Joo),조정환(JungHwan Cho) 대한약학회 2005 약학회지 Vol.49 No.1

        Metabonomic analysis has been recognized as a powerful approach for characterizing metabolic changes in biofluids due to toxicity disease process or environmental influences.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relating metabolic changes with ¹H-NMR spectra, urine samples from Sprague-Dawley rats treated with various dietary restrictions or toxic substances (nicotine) were analysed using ¹H-NMR spectroscopy and pattern recognition techniques. Dietary restrictions-given to male rats were normal diet and high fat diet and fasting. The nicotine urine samples were collected from SD rats administered with nicotine (25 mg/kg) at the various time intervals. ¹H-NMR spectra of all urine samples were acquired at 400 MHz on a VARIAN spectrometer. To establish the presence of any intrinsic class-related patterns or clusters in each NMR data, methods of PCA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nd soft independent modeling of class analogy (SIMCA) analysis were used, and the results from these analyses were compared to each other, In all cases of dietary conditions and nicotine treatment, SIMCA analysis gave better results for the discrimination of NMR spectra of urine samples than PCA.

      • KCI등재

        헤어 스타일링을 위한 스마트 미러 시스템 개발

        김성덕(Seong-Deok Kim),송민석(Min-Seok Song),주현진(Hyun-Jin Joo),박현아(Hyun-A Park),한영오(Young-Oh Han) 한국전자통신학회 2020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15 No.1

        In this paper, we implemented a smart mirror that helps users to measure the results before the procedure by reflecting various hairstyles on the head. When the camera is used to capture a face in real time and recognize the face, the stored hair image is uploaded to provide a virtual image. In addition, the high production cost, which is a problem of the existing smart mirrors, was reduced by using Raspberry Pi, Open CV, and half mirror film, and various functions were implemented through touch control. It is also designed to provide information such as weather, calendar and time.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헤어스타일을 머리에 비춰봄으로써 사용자가 시술 전 결과물을 미리 가늠하는 것을 돕는 스마트 미러를 구현하였다. 카메라를 사용해 실시간으로 얼굴을 촬영하고 얼굴임을 인식하면 저장된 헤어 이미지를 올려 가상 이미지를 제공한다. 또한 기존 스마트 미러가 갖는 문제점인 높은 제작비용을 라즈베리 파이, Open CV, 하프미러 필름을 사용해 절감했고 터치 제어로 다양한 기능수행 능력을 구현했다. 또한 날씨, 달력 및 시간 등의 정보도 제공하도록 설계하였다.

      • 고밀도 미생물을 담지한 수처리용 무소성 세라믹 담체 개발

        이재춘 ( Jae-choon Lee ),이재영 ( Jae-young Lee ),최경축 ( Kyung-chug Choi ),민화인 ( Hwa-in Min ),주현진 ( Hyun-jin Ju ),송주환 ( Joo-hwan Song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7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7 No.-

        지금까지 개발된 대부분의 세라믹 담체의 재료는 크게 알루미나와 실리카의 두 부류로 나누어지는데 소다유리를 원료로 하는 실리카 담체는 800℃ 정도의 온도에서 소결시켜 제조하나, 알루미나 원료의 담체는 1,300℃ 이상의 고온에서 소결 제조하여 원재료 및 제조비용이 높아 상업적 이용에 있어 경제성이 비교적 낮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개발은 소성을 하지 않고 무소성으로 압축강도가 향상된 세라믹담체를 제조하고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미생물을 담체 제조시에 같이 혼합 제조하여 미생물담체를 제조하는 것이 1차 목표이며 다음으로 담체를 이용하여 수질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장치를 개발하는 것이다. 세라믹 담체의 원료가 되는 천연재료에 대한 녹조저감성능에 대한 시간대별로 흡착성능실험을 실시하고 이를 통해 녹조저감에 가장 우수한 재료을 선택하여 무소성 미생물 세라믹 담체를 개발 및 제조하였으며 비표면적과 흡수율, 압축강도, 미생물 균밀도에 대한 성능을 검사하였다. 또한, 개발된 세라믹담체의 수처리 효율을 분석하기 위해 Lab scale과 Pilot plant의 규모로 T-N, T-P, Chl-a, BOD 제거효율을 수질오염공정시험기준에 의거하여 분석하였다. 향후 무소성 세라믹 담체의 제조원료로 하수처리장에서 나오는 슬러지 및 다른 폐기물 등을 활용할 경우 폐기물의 재자원화와 생산단가 절감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