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차색의 추상적 상징에 대한 색채연상 특성연구

        주정희 ( Junghee Joo ),최경실 ( Gyoungsil Choi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8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3 No.5

        (연구배경 및 목적) 색채상징은 구체적인 상징과 추상적인 상징으로 나뉜다. 구체적인 상징은 시각 경험을 근간으로 하므로 색채를 쉽게 연상하지만, 추상적 상징은 구체적인 시각 경험이 없거나 구체적 상징에서 파생된 개념으로 색채연상이 쉽지 않다. 그러나 사람들은 추상적인 상징에 대해 색채를 연상한다. 본 연구는 구체적 대상이 없는 추상적 상징에 대해 피험자들이 색채를 연상하는 데 어떤 특성이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방법) 선행연구검토를 통해 1차 색에 대한 추상적 상징을 추출하여 2차에 걸쳐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KS 한국 표준색 디지털 팔레트에서 추출한 1차 색 자극물에 대해 Google 온라인 설문지를 사용하여 추상적 상징에 대한 연상 정도를 평가하도록 하였다. 각각 1차 색에 대해 10개의 추상적 상징을 추출하여 평가항목으로 활용하였다. 총 140개의 설문결과를 수집하였고 유효표본도 140이다. 평가결과 분석은 SPSS/PC+ 12를 활용 하여 신뢰성 검증, 기술통계, 독립표본 T-검증을 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결과) 독립된 색채샘플에 대한 추상적 상징의 연상 정도, 구체적 시각 경험 색채와의 연상 관계, 추상적 상징의 연상과 기억색과의 관계를 통해 1차 색의 추상적 상징에 대한 색채연상의 특성을 도출하였다. 분석결과는 노랑과 파랑의 추상적 상징에 대한 색채연상은 구체적 상징의 경험을 근간으로 일어나나 빨강은 그렇지 않다. 또, 빨강과 파랑의 추상적 상징에 대한 색채연상은 기억색과 유사한 특징을 보이나 빨강은 아니다. 노랑은 전체적으로 연상 정도가 낮다. 성별에 따라 색채연상에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며 여자가 더 잘 연상한다는 결론을 얻었다. (결론) 인간의 색채연상은 구체적인 이미지를 보고 색채를 기억할 경우도 독립된 색채 표본을 보고 상징을 연상할 경우도 장기기억 속 저장된 시각 경험에 의한 프로토타입을 호출하고 언어를 연상, 색채를 연상하는 유사한 특징이 있다. 오랜 기간 한 문화권에서 공유되어온 개념이 오랜 시간 굳어져 색채상징으로 나타나는데 문화권에 상관없이 노랑에 대한 낮은 연상과 성별에 따른 차이 등은 같은 특징이라 연구자는 결론 내린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symbolism of color is divided into concrete and abstract aspects. Concrete symbolism can be associated with colors easily because it is based on visual experience, whereas abstract symbolism is difficult to associate with colors, as it does not entail specific visual experience nor is it a concept derived from concrete symbolism. However, people tend to associate colors with abstract symbolism. This study aimed to shed light on the characteristics of colors that are associated with abstract symbolism and do not have a specific object. (Method) We extracted the abstract symbolism of primary colors through advanced research review and two rounds of survey. We asked the participants to evaluate the level of association for the abstract symbols of items in primary colors extracted from the KS Korean standard color digital palette; this part of the study was completed through Google online survey. We extracted 10 abstract symbols for each of the primary colors and then used them as evaluation items. We collected a total of 140 survey responses, all of which were valid samples. To analyze the evaluation result, we used SPSS/PC+ 12 to validate reliability and used technical statistics and independent T-validation to verify the hypothesis. (Results) We derived the characteristics of color association regarding the abstract symbolism of primary colors through the association level of abstract symbols for independent color samples, association relationship with specific visual experience colors, and relationship between association of abstract symbols and memorial color. The color association of the abstract symbolism for yellow and blue could be attributed to the experience of specific symbols; this finding was not applicable to the color red. The color association of abstract symbolism for the colors red and blue had characteristics similar to that of a memorial color, but not in the case of the color red. Overall, the color yellow had a low level of association. Meanwhile, we noted a meaningful difference in color association depending on sex, with females tending to associate colors at a higher skill level. (Conclusions) Humans’ color association occur when remembering a color from seeing a specific image or associating symbols from seeing an independent color sample. When this phenomenon happens, one recalls a prototype based on a visual experience stored in one’s long-term memory. Similar characteristics have been observed in the association of language and colors. In conclusion, a concept that has been shared in a certain cultural area for a long time can be reflected in the area’s color symbolism. The low level of association for the color yellow and the difference between sexes, in particular, are observed in every cultural area.

      • KCI등재

        간판에서 적색류 및 흑색류의 면적비율에 따른 관찰자의 인식 연구

        이미선(Lee, Misun),주정희(Joo, JungHee),최경실(Choi, GyungSil) 한국색채학회 2021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35 No.4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validity of limits to areas of red or black shades specified in the Outdoor Advertisement Ordinance and suggest more desirable and effective measures to manage signboard colors. For the research, a survey was conducted for signs with shades of red and black, and colors to be used for stimuli were extracted. And then, a total of 21 stimuli were created by adjusting the area ratio of red and black to 20%, 50% and 80%. In addition, 71 subjects rated each stimulus using the scale of 11 adjectives.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the study examined that the ratio of neutral color was important for both signs with shades of red and black to the perception and preference of the observer. Secondly, the perception and preference of the observer were negative regardless of the ration of red when red was coordinated with a chromatic color on the signboard. Thirdly, in case black was coordinated with a chromatic color on the signboard, the observer’s perception and preference were negative when the area ratio of a chromatic color was larger than that of black. Whereas the observer’s perception and preference were positive when the area ratio of black is larger than that of chromatic color or when black was coordinated with neutral color such as white. Hence, it shows that an area ratio of red or black for a sign is not only factor in evaluating its images, and kinds and characteristics of a color coordinated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erception of a signboard.

      • 감성디자인을 통한 의료기구디자인연구

        김현선(Kim, Hyunsun),김달선(Kim, Dalsun),주정희(Joo, Junghee),박지애(Park, Jiae)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3 디자인지식저널 Vol.25 No.-

        국내외 의료시시시장을 살펴보면 계속적인 성장세를 보이는데 그 주된 내용은 빠른 진료, 정확한 진료와 치료 그리고 첨단화가 특징이다. 병원에서 환자의 감성은 예민하며 불신하며 병에 대한 두려움에 사로잡힌다. 의료진에 대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첨단의료기기에 대한 경계심, 감염에 대한 불신은 진료실에서 사용되는 모든 의료기기에 대해 환자가 느끼는 공통적인 감성이다. 드레싱트레이는 병의 종류와 경중에 상관없이 접하게 되는 의료소품이다. 드레싱트레이는 그간 생산의 문제, 가격의 문제, 소독의 문제 때문에 스테인리스로 단일화되어 왔다. 그러나 금속소리에 대한 불쾌감, 차가운 이미지, 분리된 주사바늘에 의한 의료진의 감염우려는 해결해야할 과제이다. 이에 대해 PPSU(Polyphenylsulfone)와 실리콘을 통해 소리를 줄였으며 드레싱 밧드와 함께 별도의 드레싱 캔을 디자인하며 위생문제를 해결하였다. 또한 모서리를 부드럽게 강조하며 친밀감을 높였다. 감성을 고려한 디자인과정을 위해 심미적 접근보다 문제점을 보완해 나가는 방식을 채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환자에게는 심리적 안정감을 의료진에게는 환자와의 친밀감을 기대한다. 또한 국내외 의료기기시장에 동양적, 한국적 정서를 기반으로 한 따뜻한 감성의 의료기기를 알리고자 한다. Medical appliances domestic and overseas have steadily shown growth, characterized by rapid treatment, accurate diagnose and treatment, and high technology. Patients in hospitals fell sensitive, untrustful, obsessed with fear about disease. The common sentiments patients feel about the high-end treatment devices at hospitals include wariness and distrust for infection, surveys on medical staff shows. Dressing tray is a medical device that patients are faced with irrespective of the intensity of illness. The problems such as production, costs, and disinfection made dressing trays uniformed stainless. However, the troubles with the uneasiness about metal sound, cold-hearted image, and worries about infection of medical staff by the separated syringes should be resolved. For those problems, PPSU(Polyphenylsulfone) was applied to reduce noise; a dressing can in addition to a dressing bed was applied to shoot the sanitary troubles; emphasizing the edges by smoothly raise familiarity. We adopted the approach of compensating for defects rather than aesthetic approach for designing procedure of emotional consideration. We expect psychological stabilities for patients and familiarities with patients for medical staff, as well as promoting warm-hearted sentimental medical device based on oriental and Korean sentiments throughout medical appliances market domestic and overseas.

      • 환자의 감성을 고려한 청진기 가온기 디자인연구

        김현선(Kim, Hyunsun),홍만표(Hong, Manpyo),주정희(Joo, Junghee),박지애(Park, Jiae)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2 디자인지식저널 Vol.24 No.-

        청진은 환자에게 의사에 대한 신뢰를 전달하는 첫 번째 행위이다. 청진시 환자는 자신의 병에 대한 불안감으로 예민한 상황에 놓이게 되며 질환을 확인하는 청진기에 대한 불쾌감 또한 순간적으로 높아진다. 특히 여성과 어린이는 청진기의 차가운 느낌에 대한 불편함을 강하게 나타내며 의사들은 이에 대한 개선의 필요를 느끼고 있다. 스테인레스 스틸소재에 검은색으로 대표되던 청진기디자인이 다양한 소재로 변화되고 색상 또한 밝은 계열의 제품이 소비되고 있는 것이 그 증거이다. 반면 청진기는 오랜 세월동안 의사의 권위와 신분의 상징이기도 했다. 그러나 최근 들어 의료행위는 서비스라는 의식이 확대되고 환자에 대한 개념도 과거 보살핌의 대상에서 소비자로 인식의 전환이 이뤄지고 있으며 병의 치료가 물리적인 치료와 더불어 심리적인 치유 또한 중요하게 취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진료의 상징이며 환자들이 처음으로 접하는 불안감의 대상인 청진기에 대해 별도의 가온기를 고안, 디자인 하였다. 스톤테라피 개념에서 착안된 형태연구와 온열기능, 살균기능을 더하였으며 의사의 상징이 되어온 기존 청진기 제품을 그대로 사용하여 사용성을 높였으며 LED램프를 활용하여 감염에 대한 불신을 극복하였다. 본 청진기 가온기디자인을 통해 의료환경의 개선은 물론 환자에게는 심리적 안정감을 의사에게는 환자와의 친밀감을 기대한다. 또한 국내는 물론 세계의료기기시장에 동양적, 한국적 정서를 기반으로 한 따뜻한 감성의 의료기기를 알리고자 한다. To a patient, it is the first action to deliver faith in his doctor. In stethoscopy, a patient is driven to a sensitive situation with an anxiety to his possible diseases and instantaneously shows his displeasure at the stethoscope examining his body. In particular, women and children have strong discomforts at the cold feeling of stethoscopes and doctors need some improvements in this matter. The fact that the design of stethoscopes, traditionally symbolized by a black color and stainless steel, now uses various materials and bright colors supports the doctors" argument above. On the contrary, a stethoscope has been the symbol of doctor"s authority and social status for a long time. Recently, however, a medical practice is more perceived as a service and the concept of a patient changes to that of a customer from the traditional concept of someone to be taken care of. In addition, the importance of psychological cure is increasing along with physical cure in terms of treatment. This study designed a special warmer to a stethoscope, the symbol of treatment and the source of patient"s discomfort. This study adds heating and sterilizing functions to a stethoscope based on a morphological study of the stone therapy, increases the usability by using existing stethoscopes, and overcomes patient"s distrust of infection with LED lamps. With this new design of a stethoscope warmer, this study expects improvements in the medical environment, psychological calmness for patients, and familiarity with the patients for the doct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