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방위산업 관련 언론보도에 대한 전문가의 인식유형 연구

        주익현 ( Ik Hyun Joo ),김정수 ( Jung Su Kim ) 한국주관성연구학회 2021 주관성연구 Vol.- No.54

        본 연구의 목적은 국방 분야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방위산업과 군납비리 관련 언론보도에 대한 인식유형을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심층인터뷰와 텍스트 분석 통해 도출한 60개의 Q 표본과 국방 분야 전문가 12명으로 구성된 P 표본을 토대로 Q 분류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변량을 최대화하는 방식의 주성분 분석으로 방위산업과 군납비리 관련 언론보도에 대한 전문가의 인식을 유형화하였다. 분석 결과 세 가지 유형을 발견하였다. 유형 1은 방위산업 홍보강조형이다. 이들은 신무기를 개발할 때 적극적 홍보를 해서 언론과 대중의 방위산업에 대한 이해를 높여야 무기개발 단계에서 발생하는 단순 결함이 군납비리로 오해받지 않을 수 있다고 생각하는 유형이다. 유형 2는 전략물자 품질강조형이다. 이들은 군수품의 품질이 개선되고 관리가 잘 이뤄지면 방위산업에 대한 군납비리 등의 부정적인 인식이 해소될 수 있다고 생각하는 유형이다. 유형 3은 사업관리 효율강조형이다. 이들은 방위산업이 더욱 투명하고 효율적으로 운영되어야 국민의 세금이 낭비되지 않는다고 생각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was to identify of defense experts’ perception on press reports about defense acquisition program and defense industry corruption. A total of 12 P-samples(defense experts) and 60 Q-samples(result of depth interview and text analysis) was collected for this purpose an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Q-methodology. Defense experts’ perception on press reports about defense acquisition program and defense industry corruption was classfied by principle component analysis of varimax option. There were 3 types. Type 1 has emphasis on defense acquisition program public relation. They believed that increasing understand about defense acquisition program from active PR was necessary in order to clear up the press and civil confusion between simple defeat and defense industry corruption. Type 2 has emphasis on strategic material quality. They believe that strategic material quality and managing assurance to resolve confusion between simple defeat and defense industry corruption. Type 3 has emphasis on project agency management transparency. They believe project agency management transparency eradicate exploiting taxes from the people.

      • KCI등재

        전쟁위기감에 대한 연령・시대・세대 효과 분해

        주익현(Ik Hyun Joo),심상렬(Sang Ryul Shim) 한국공공사회학회 2021 공공사회연구 Vol.11 No.1

        본 연구는 연령・시대・세대가 개인의 전쟁위기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국가승인통계자료인 사회조사 ‘보건・교육・안전・가족・환경’ 모듈 2010~2020년(격년) 6개년도 자료를 통합해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첫째, 탈추세화된 연령변수는 전쟁위기감과 U자형 관계를 형성하고 있었다. 둘째, 탈추세화된 세대 및 시대 변수는 전쟁위기감과 뒤집어진 U자형 관계를 갖고 있었다. 셋째, 연령과 세대의 전체적인 추세는 전쟁위기감과 부적 관계를 형성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그동안 혼재되어 있던 연령・시대・세대 효과를 구분해서 각각 전쟁위기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 이에 대한 설명을 구분해서 시도했다는 점에서 이론적 함의를 찾을 수 있다. 또 향후 각 세대 집단 또는 연령 집단별 안보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실천적 함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hat decomposing age-period-cohort net effect on personal war threaten subjective perception. Korean Social Survey data(2010-2020) was analyzed by APC-D method. According to the results, There were three findings: First of all, detrended age has U-shape relationship with war threaten. Second, period and detrended cohort has inverted U-shape relationship with war threaten. Lastly, linear trend of age and cohort has negative effects on war threaten. The theoretical implication of this paper is decomposing age-period-cohort net effect on personal war threaten subjective perception. The substantive implication is the results will be available to develop security education contents by age or cohort cohort group.

      • KCI우수등재

        남자가 여자를 ‘도와줄’ 때: 부부 간 가사노동 분업에서 시간대 동기화의 중요성

        주익현(Ikhyun Joo),최성수(Seongsoo Choi) 한국사회학회 2019 韓國社會學 Vol.53 No.2

        기존 연구들은 일반적인 통념과 달리 남편의 가사노동 시간이 증가할 때 아내의 가사노동 시간량이 감소하지 않거나 심지어 증가하는 양상을 보고하고 있다. 본 연구는 왜 이런 관계가 나타나는지를 설명하기 위해 남편과 아내가 각각 수행하는 가사노동 ‘시간대’의 중요성에 초점을 맞춘다. 생활시간조사 2014년 자료를 활용한 분석 결과 첫째, 남편의 가사노동 시간이 증가할수록 아내의 가사노동 시간량이 대체로 증가하며, 둘째, 남편이 혼자 가사노동을 수행하는 경향이 강할수록 아내의 가사노동 시간이 감소하였다. 셋째, 남편의 추가적인 가사노동은 남편이 혼자보다는 아내와 함께 가사노동을 수행하는 비율이 높을수록 아내의 가사노동 시간 부담을 가중시킨다. 이러한 결과는 맞벌이/외벌이 여부, 주중/주말 여부, 가사노동 유형 등과 상관없이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해, 남편이 가사노동을 아내와 함께 하려고 할수록 남편의 가사노동은 아내에게 도움이 아니라 추가적인 부담으로 작용한다는 것이다. 이 결과는 한국 사회 기혼 여성들의 과중한 가사 부담을 줄이기 위해 남편의 가사 참여를 독려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며, 경직된 정시근무 대신 전반적인 근로시간 단축과 유연근무를 가능하게 하는 제도와 관행이 확산되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Existing research has documented that husband"s additional housework does not reduce wife"s housework and even may increase it. In this study, we highlight the importance of "when" housework is done by husband and wife, respectively, to explain why such an unintuitive pattern emerges. We examine this issue using data from the Korea Time Use Survey 2014. Results from our analyses reveal three main findings. First, as reported by prior studies, the longer hours husband spends doing housework, the more likely that wife’s housework time is extend. Second, the stronger husband’s tendency is to do the housework alone, rather than doing it with the wife, the more likely wife’s housework time decreases. Third, the input of husband’s housework time adds extra housework hours to wife more remarkably when husband tends to do housework only with his spouse rather than by himself. These patterns hold consistently across different types of our samples, such as dual-earner and single-earner couples, on weekdays and weekend, and for core and non-core housework. Our result implies that merely encouraging husbands to do more of the housework to reduce wives" burden cannot be an effective solution. Rather it suggests that policies for promoting organizational practices of shortening excessively long work hours and allowing for more flexible work schedule are needed.

      • KCI등재

        유급노동·가사·돌봄·여가 시간사용이 여가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맞벌이 부부의 배우자 효과를 중심으로

        주익현(Joo, Ik Hyun),주이화(Joo, E-Wha) 한국인구학회 2021 한국인구학 Vol.4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승인통계자료인 2019년 통계청 생활시간조사 원자료를 분석해서 20세 이상 60세 미만 맞벌이 부부의 여가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사회학적 요인이 무엇인지 확인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본인과 배우자의 유급노동, 가사, 돌봄, 여가 시간이 응답자의 여가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아내와 남편, 맞벌이 여부, 주말 여부를 고려해서 표본을 8개의 집단으로 나눠서 OLS 회귀분석을 한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아내와 남편 모든 집단에서 본인의 시간부족감, 삶의 만족도, 가사분업만족도, 배우자의 여가만족도가 응답자의 여가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둘째, 모든 아내 집단에서 돌봄노동시간량이 증가할수록 여가만족도가 낮아졌다. 셋째, 일부 집단에서는 운동시간이 증가할수록 여가만족도가 높아졌다. 본 연구의 이론적 함의는 지금까지 주목을 받아오던 소득이나 노동 또는 여가시간의 총량보다는 심리적인 만족도나 여가활동의 세부 종류에 따라 여가만족도가 달라질 수 있다는 사실을 생활시간조사 자료를 통해 확인했다는 점이다. 여가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 소득이나 여가시간의 총량을 늘리기보다는 가사분업만족도 등의 심리상태를 고양시키거나 체육시설 및 지역사회 환경을 조성하는 접근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시한 것이 본 연구의 실천적 함의라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finding what factors affect 20-60 aged couples" leisure satisfaction by analyzing Korean Time Use Data 2019. The hypothesis was paidwork, housework, carework, leisure activities have effects on leisure satisfaction. Respondents were divided into 8 groups for classfying gender, dual earner and survey day. According to the results, we found three facts. First of all, personal time pressure, life satisfaction, housework division satisfaction, spouse leisure satisfac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mong all groups. Second, carework has negative effects on leisure satisfaction among all wife groups. Third, physical activities have partially positive effects on leisure satisfaction among some groups. Theoretical implication was the important thing is not house income or amounts of total labour time but what leisure activity we do and how we use our time. Substantive implication is that we should increase housework division satisfaction or set up sports facility in order to increase leisure satisfaction.

      • KCI등재

        고령층의 ICT 사용과 주관적 건강상태 : 2019년 생활시간조사를 중심으로

        주익현(Ik Hyun Joo),오주현(Joohyun Oh) 한국노년학회 2021 한국노년학 Vol.41 No.5

        ICT 사용은 건강수준을 개선한다고 알려져 있지만, ICT를 어떤 행위를 하면서 사용해야 건강수준이 개선되는지에 대한 논의는찾아보기 힘들다. 본 연구의 목적은 ICT를 어떤 행위를 하면서 사용할 때 건강수준이 개선되는지 실증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국가승인통계자료인 통계청 생활시간조사(2019) 시간대 자료를 사용해서 60세 이상 노인들을 싱글/부부, 남/여, 평일/주말에 따라 8개집단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들을 알 수 있었다. 첫째, 주관적 건강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행위별ICT 사용은 집단별로 차이가 있었다. 싱글 남성 평일 집단에서는 가사노동, 싱글 여성 주말 집단에서는 미디어사용이 긍정적인 효과가있었다. 둘째, 부부 남성 평일 집단의 경우 공부행위가 부정적인 효과가 있었고, 부부 남성 주말 집단의 미디어사용과 부부 여성 주말집단의 운동행위가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셋째, 모든 집단에서 교제시간이 주관적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행위별ICT 사용이 주관적 건강에 미치는 효과는 성별, 결혼여부, 평일/주말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ICT를 사용한 건강정책은 이에 맞춰다양화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Using ICTs is known to increase the level of subjective health, but few research has investigated the behavioral context behind the use of ICT devices and their relationship to subjective health. This paper aims to empirically analyze ICT-using activity and its positive effects on the subjective health of older adults. For this purpose, we employed the 2019 Korean Time Use Survey time-slot dataset and divided respondents over the age of 60 into eight groups (not married/married, male/female, week/weekend). There were three findings: Firs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ICT-using activities that affect subjective health by groups. For example, household activity using ICT positively affects the subjective health in the unmarried-male-weekend group, while media use activity using ICT positively affects the subjective health in the unmarried-female-weekend group. Second, studying activity was discovered to have negative effects in the married-male-weekday group. In contrast, media use activity in the married-male-weekend group and physical activity in the marriedfemale-weekend group had positive effects. Third, social activity increased subjective health in all groups. This study suggests that ICT-using health policies should be diversified because its effects differ by gender, married state, and day of the week.

      • KCI등재

        계층별 맞벌이 여성의 시간부족감에 영향을 미치는 성역할태도의 조절효과

        주익현 ( Ik Hyun Joo ) 연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5 社會科學論集 Vol.46 No.1

        Most researchers agree that leisure time has negative effects on feeling busy, but working time does not. However, there is still difference of subjective time pressure after controling leisure time and working time. This article``s purpose is exploring what factor has effects on time pressure. Especially, I focus on dual earner couples because work-life balance is very hot issue in South Korea. It is generally known that the higher income couple earns, the busier they are. I found Gender Role Attitude is very significant modified variable. This suggests that those who accept that dual-earning is necessary for modern families to adapt to the new social changes can be relatively free from time pressure after achieving higher income level, while others who does not accept it can be busier because they does not like doing their a variety of works and they have not to do after becoming rich.

      • KCI등재

        안전한 정신질환자 치유환경에 대한 정신건강전문가의 인식 유형

        주익현 ( Ik Hyun Joo ),임은정 ( Yen Jung Lim ),이명수 ( Myung Soo Lee ) 한국주관성연구학회 2020 주관성연구 Vol.- No.52

        본 연구는 안전한 정신질환 치유환경에 대해 정신건강전문가들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Q 분석을 통해 규명하였다. P 표본 49명 Q 표본 60개를 가지고 Q 분류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총 3개의 유형이 도출되었다. 제1유형은 ‘지역환경 중시형’이다. 이들은 정신질환자들이 정기적으로 병원방문치료만 하면 평소에는 일상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환자친화적인 지역환경을 중시하는 유형이다. 이들은 정신질환자들을 강제입원치료를 시키지 않아도 폭력범죄와 같은 사고 없이 관리할 수 있다고 인식하였다. 제2유형은 ‘엄벌주의 지지형’이다. 이들은 정신건강전문가 또는 지역주민 등을 대상으로 폭행 등 범죄를 일으킨 정신질환자들을 강력하게 형사처벌하는 환경을 중시하였다. 이들은 정신질환자를 정신건강전문가 및 지역주민들과 물리적으로 분리시킬 필요가 있다고 인식하였다. 제3유형은 ‘환자인권 보호형’이다. 이들은 환자의 자기결정권을 보호하는데 관심을 두었다. 이들은 정신질환자들이 일으킬 수 있는 위험이 과장되어 있다고 생각하면서 강제입원에 반대하는 특성을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prototyping Mental Health Professionals’ perception about safe healing environments by analyzing subjectivity. The 49 P samples classified 60 Q samples. According to the results, three types were found. Type 1 was ‘emphasizing community environments’. They focus on social healing environments to mentally ill without involuntary admission. They emphasized that mental patients could be live a normal and peaceful life as ordinary people receiving treatment as an outpatient without much troubles. Type 2 was ‘supporting a severe punishment policy’. They paid attention to criminal punishment. They strongly agree with punitivism and address that mental patients should be physically isolate from others. Type 3 was “protecting rights of patients”. They emphasized patients’ self-determination. They believe it was exaggerated that mental patients could commit assault. Then they oppose involuntary admission.

      • KCI등재

        부부의 가사노동 동기화 수준이 아내의 가사분업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주익현 ( Ikhyun Joo ) 연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8 社會科學論集 Vol.49 No.2

        본 연구는 아내의 가사분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사회학적 요인들을 탐색하는데 연구 목적을 두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남편과 아내가 어떤 종류의 가사활동을 해야 아내의 가사분업만족도가 증가하는지, 그리고 이 활동들을 배우자와 함께 하는 것이 아내의 가사분업만족도를 높일지, 홀로 하는 것이 아내의 가사분업만족도를 높일지 실증적으로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통계청 생활시간조사 2014년 시간대 자료로 주중 외벌이, 주중 맞벌이, 주말 외벌이, 주말 맞벌이 부부를 집단별로 구분한 다음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첫째, 모든 집단에서 아내의 핵심가사노동시간량이 증가할수록 아내의 가사분업만족도가 감소한다. 둘째, 주말 외벌이 집단을 제외하면 남편의 핵심가사노동시간량이 증가할수록 아내의 가사분업만족도는 감소했다. 셋째, 주말 외벌이 부부의 경우 아내가 핵심가사를 홀로 수행할수록 가사분업만족도가 낮아졌다. 넷째, 주중 맞벌이와 주말 외벌이 집단의 경우 남편이 핵심가사를 홀로 수행하는 비율이 높을수록 아내의 가사분업만족도가 증가하였다. 이상의 분석결과가 가지는 이론적 함의는 아내의 가사분업만족도가 부부의 가사노동 동기화 정도에 따라 증감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는 점이다. 방법론적 함의는 시간대 변수를 활용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확인되는 새로운 변수를 생성했다는데 있다. 실천적 함의는 아내의 가사분업만족도가 높아지기 위해서는 남편들이 아내가 핵심가사노동을 하지 않을 때 핵심가사노동을 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는 점에서 찾을 수 있다. My dependent variable is wives’ satisfaction about division of housework labour. My research question is what factors affects wives’ satisfaction about division of housework labour. To be more specific, I focus on kinds of housework and how much time couples do housework together. Then I analyze Korean Time Use Survey data in 2014.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husbands’ doing core-housework has positive effects and wives’ doing core-housework has negative effects on wives’ satisfaction about division of housework labour. Also, wives’ core-housework time ratio to do it alone decrease wives’ satisfaction. Finally, husbands’ core-housework time to do it alone increase wives’ satisfaction about division of housework labour. This research’s theoretical implication is focusing couples’ degree of time-synchro doing housework. Generating this variable and emphasizing its’ significance is this paper’s substantive implication. In order to increase wives’ satisfaction, husbands have to do housework when their wives stay away from their house because doing housework with their wives cannot reduce wives’ housework burden.

      • KCI등재

        맞벌이 여성의 소득기여도가 가사 시간량에 미치는 효과: 2004년, 2009년, 2014년 시계열적 변화를 중심으로

        주익현 ( Ik Hyun Joo ) 연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5 社會科學論集 Vol.46 No.2

        What is important in South Korea is work-life balance issue. To solve this problem, we should focus on dual earner couples’ housework time. Especially I analysis wives’ housework time in this paper. Two points distinguish this research from earlier researches. First, this study analyze characteristics of husband and parents who live together. Second, I analyze period effects. To sum up, I found that husbands’ housework time and gender equality attitude have negative effects on wives’ housework time. Also, couples’ income has same effect. Finally, wives’ income contribution degree helps to decrease wives’ housework time and this tendency has become stronger.

      • KCI등재

        예술 지원 경로에 따른 예술인 삶의 질 효과분석

        김소연(Soyeon Kim),주익현(Ik Hyun Joo),이시림(Si Lim Lee) 한국문화경제학회 2022 문화경제연구 Vol.25 No.3

        본 연구는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이 조사한 2015년 예술인실태조사자료를 활용하여, 예술인들의 삶의 질을 사회적 차원과 개인적 차원에서 중층적으로파악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예술정책만족도에 대해서는 공공기관으로부터 지원금을 수혜받는집단일수록, 지원금액은 많을수록,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술활동만족도에 있어서는 공공기관 수혜집단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발견되지 않았다. 이와 비교해, 중앙부처나 지방자치단체를 통해 정부지원금을 수혜받거나, 기업후원금을 지원받은 집단일수록, 예술활동만족도는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현재 예술계 지원 인프라가 상대적으로 좋은 편으로 평가받는 수도권일수록, 예술인들의 예술정책만족도는 오히려 낮은 편으로 나타났다. 핵심적으로 예술인들의 예술활동만족도를 증가시키는데 있어 통계적(statistical)인효과는 정부지원금이 크지만, 응답자들의 예술활동만족도에 실질적(practical)으로 미치는가시적인 효과는 기업지원금이 더 큰 편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예술인들이 사회적 차원에 대해 인식하는 예술정책만족도와, 예술경력 등 개인적 차원에서의 인식 결과로서 예술활동만족도가 실증적으로 다르게 나타나고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향후 예술인을 대상으로 한 효과적인 정책을 위해서는예술인 집단에 보다 특화된 이해와 연구가 필요하다. Analyzing the data of the 2015 Survey Report on Artists & Activities conducted by the Korean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and Korea Culture & Tourism Institute, this research delves into the quality of artistic lives at a social and personal level. The analysis first unveils that the satisfaction level of arts policy appears to be high amongst artists who receive grants from public institutions such as Arts Council Korea, Korean Artist Welfare Foundation, and Korea Creative Content Agency. Moreover, the satisfaction level also rises in proportion to the grants they receive. Moreover, artists in performing, visual and popular arts tend to be more content with arts policy than those working in literature. Second, based on the statistical data of the artists who receive grants from public institutions, no meaningful correlation is discovered between the grants and artistic satisfaction in arts activities. In comparison, a high level of satisfaction with art activities is manifested by the artists who are given governmental funding from the central or local government bodies or corporate grants such as arts funding from Korea Mecenat Association. Meanwhile, artists from the metropolitan area, which is deemed to have a well-established infrastructure for artistic support, show negative attitudes towards arts policy. Such results indicate the potential disparity between artists’ perception of their satisfaction with arts policy and their real satisfaction through individual art activities. Thus, this study proposes that an in-depth analysis of artists be designed more sophisticatedly with multi-layered approach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