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온라인 스트리밍 수업의 특성이 학습 만족도와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연구

        주유존,양혜준,지앙슈에진,황하성,Zhu, LiuCun,Yang, HuiJun,Jiang, Xuejin,Hwang, HaSung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22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23 No.5

        코로나 시대 실시간 라이브 스트리밍 방송과 비대면 수업이 확산되고 있음에 따라 온라인 스트리밍 수업에 대한 학문적 관심이 필요한 시점이다. 특히 이용자 측면에서 왜 온라인 스트리밍 수업을 이용하는지를 밝히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온라인 스트리밍 수업의 특성으로 사회적 현존감, 흥미성, 이용 편리성, 상호작용성을 제안하고, 이들 특성이 학습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나아가 추천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중국 대학생 338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한 결과 상호작용성, 사회적 현존감, 흥미성은 학습 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이용 편리성의 영향력은 나타나지 않았다. 한편, 학습 만족도는 온라인 스트리밍 수업 추천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KCI등재

        대학생들의 유튜브 AI 추천 시스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연구

        주유존,왕초,황하성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22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23 No.3

        Unlike previous studies that focused on the diversity of YouTube content, this study trie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users' satisfaction with the YouTube recommendation system. Specifically, by adding content preference suitability and privacy concerns to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we empirically analyzed how these variables affect user’s satisfaction of the YouTube AI recommendation system. For this purpose, asurvey was conducted on college students in their 20s and 30s, and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respondents of this study, playfulness and usefulness, which are major variables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appeared as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the satisfaction of the YouTube AI recommendation system, whereas the effect of ease to use was not found. Second, content preference suitability was found to affect the satisfaction with AI recommendation system, but privacy concerns did not affect the satisfaction with YouTube AI recommendation system.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and the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suggested. 유튜브 콘텐츠의 다양성에 주목한 기존 연구와 달리 본 연구는 이용자들의 유튜브 추천 시스템에 대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요인을 밝히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기술수용모델에 이용자들의 인식 변인인 콘텐츠 선호 적합성, 프라이버시 염려를 추가하여 이러한 변인들이 유튜브 AI 추천 시스템의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20~30대의 대학생을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응답자들에게 있어서 기술수용모델의 주요 변인인 유희성, 유용성은 유튜브 AI 추천 시스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미한 요인으로 나타난 반면에 용이성의 영향력은 발견되지않았다. 둘째, 유튜브 콘텐츠의 선호적합성은 AI 추천 시스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프라이버시 염려는 유튜브AI 추천 시스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시사점과 후속 연구의 과제를 제언하였다.

      • KCI등재

        연예인 유튜브 채널 시청자들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몰입(Flow)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주유존,룸와이지,황하성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2 사회과학연구 Vol.61 No.3

        One of the hottest key words that penetrate the media environment recently is YouTube. YouTube is pacifying people's daily lives, from entertainment to search to news. This study verified the mediation of immersion experienced by viewe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onnection, quasi-social interaction, and social presence and viewing satisfaction between entertainers and viewers through the Star YouTube channel.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students from three universities in Seoul, Dongguk University, Hanyang University, and Chung-Ang University. A total of 205 copies of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SPSS 25.0 and AMOS 26.0.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first, that the immersion experience partia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onnection and viewing satisfac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immersion experience was partially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quasi-social interaction and viewing satisfaction. Finally, it was confirmed that the immersion experience is completely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presence and viewing satisfac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viewer satisfaction will be provided by applying the immersion theory to the social viewing behavior of celebrity Internet broadcasting. 최근 미디어 환경을 관통하며 뜨겁게 부상하는 키워드 중 하나는 유튜브라고 할 수 있다. 유튜브는 엔터테인먼트는 물론 검색, 뉴스에 이르기까지 사람들의 일상을 평정해가고 있다. 본 연구는 연예인 유튜브 채널을 통해 연예인과 시청자들 간의 사회적 연결감, 준사회적 상호작용 그리고 사회적 현존감과 시청 만족도의 관계에서 시청자들이 경험하는 몰입의 매개성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대학 중 동국대, 한양대, 중앙대 등 3곳의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205부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SPSS 25.0과 AMOS 26.0 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첫째, 몰입 경험은 사회적 연결감과 시청 만족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몰입 경험은 준사회적 상호작용과 시청 만족도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몰입 경험은 사회적 현존감과 시청만족도의 관계에서 완전 매개한다는 사실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유명인 인터넷 방송의 사회적 시청행위에 있어서 몰입 이론을 적용하여 시청자 만족에 대한 이론적, 실무적 함의를 제공할 것이다.

      • KCI등재

        재한 중국 유학생들의 동영상 플랫폼(틱톡, 유튜브)의 사용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주유존,유가기,지앙슈에진,황하성 계명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2 한국사회과학연구 Vol.41 No.3

        본 연구는 동영상 플랫폼의 대표주자인 유튜브와 틱톡의 이용 동기 및 특성 요인 (선호적합성, 서비스 품질, 콘텐츠 다양성, 사용 편의성, 준사회적 상호작용) 이 사용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각 요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총 301명의 중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 첫째, 정보획득, 오락추구, 자기표현, 시간 보내기, 학습 동기, 외로움 해소 등은 유튜브와 틱톡의 공통적인 이용 동기로 나타났다. 둘째, 이러한 이용 동기 요인 중 각 플랫폼의 사용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았을 때, 학습 동기는 유튜브의 사용 만족도에, 시간 보내기는 틱톡의 사용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유튜브와 틱톡의 사용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동영상 플랫폼의 시장성 확보를 위한 전략을 세우는 데 단초를 제공함으로써 실무적 함의를 갖는다.

      • KCI등재

        카카오톡과 위챗의 만족도와 지속적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비교 연구

        주유존,황하성 동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0 사회과학연구 Vol.27 No.S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n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KakaoTalk and WeChat users, focusing on KakaoTalk and WeChat, the representative mobile messengers in Korea and China, and the perceived ease of use,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njoyment, In addition, the difference in the relative influences of the factors that the perceived interactivity and social influence have on the satisfaction and continuous use intention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e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relative influence of factors affecting the satisfaction of KakaoTalk and WeChat. The factor that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satisfaction of KakaoTalk was perceived usefulness, but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satisfaction of WeChat. The factor influencing was perceived playability.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relative influence of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continued use intention of KakaoTalk and WeChat. In other words, perceived usefulness had the greatest effect on the intention to continue using KakaoTalk, but it was found to have relatively little effect on the intention to continue using WeChat. On the other hand, perceived usefulness, social influence, and perceived interactivity all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intention to continue using KakaoTalk and WeChat. Based on thi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subsequent studie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대표적인 모바일 메신저 카카오톡과 위챗을 중심으로 각 서비스의지각된 용이성,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유희성, 그리고 지각된 상호작용성과 사회적 영향이 만족도와 지속적 이용의도에 미치는 각 요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중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카카오톡과 위챗의 만족도에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카카오톡의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지각된 유용성인 반면, 위챗의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지각된 유희성이었다. 둘째, 카카오톡과 위챗의 지속적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요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지각된 유용성은 카카오톡의 지속적 이용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지만, 위챗의 지속적 이용의도에는 상대적으로 적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지각된 유용성, 사회적 영향, 지각된 상호작용성은 카카오톡과 위챗의 지속적 이용의도에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의의 및 한계점,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개인의 팩트체크 행위는 정치참여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 ? 뉴스관여 행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장적,주유존,왕양,김용환 동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2 사회과학연구 Vol.29 No.3

        This study explored how individual fact-checking behavior affects online and offline political participation. In particular, news engagement behaviors were divided into homogeneous news engagement behaviors and heterogeneous news engagement behaviors, and their mediating effects were explor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fact-checking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online political participation, but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offline political participa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 of news engagement behavior, both homogeneous and heterogeneous news engagement behaviors were found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fact-checking behavior and political participation. In other words, the more fact-check, the more actively engage in news that agrees with political views or is different from own on social media. Specificall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path analysis, the mediating effect of the homogeneous news involvement behavior was greater than the mediating effect of the heterogeneous news engagement behavior in the process in which the fact-checking behavior affected online political participation. In the process of fact-checking behavior affecting offline political participation, the mediating effect of heterogeneous news involvement behavior was greater than that of homogeneous news engagement behavior. Based on these results, the meaning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개인의 팩트체크 행위가 온라인·오프라인 정치참여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탐색했다. 특히, 뉴스관여 행동을 동질적 뉴스관여 행동과 이질적 뉴스관여 행동으로 구분하고이들의 매개효과를 탐구하였다. 분석 결과, 개인의 팩트체크 행위가 온라인 정치참여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만 오프라인 정치참여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뉴스관여 행동의 매개효과 분석 결과, 동질적·이질적 뉴스관여 행동 모두 개인의 팩트체크 행위와 정치참여와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팩트체크를 많이 할수록 소셜미디어상에서 정치적 견해가 일치하거나 자신의 의견과 다른 뉴스에 적극적으로 관여를 하고, 이러한뉴스관여 행동을 더 많이 할수록 정치참여를 더 많이 하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경로분석의 결과를 살펴보면, 개인의 팩트체크 행위가 온라인 정치참여에 영향을 끼친 과정에서 동질적 뉴스관여 행동의 매개효과가 이질적 뉴스관여 행동의 매개효과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또한 개인의 팩트체크 행위가 오프라인 정치참여에 영향을 미친 과정에서는 이질적 뉴스관여 행동의 매개효과가 동질적 뉴스관여 행동의 매개효과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미와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들의 코로나19 위험인식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SNS 이용행태, 대인 커뮤니케이션, 그리고 정보과부하를 중심으로

        지앙슈에진,리쉬안,주유존,황하성 계명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3 한국사회과학연구 Vol.42 No.1

        코로나19 발생 후 2년이 지난 올해 초,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가 등장하면서 다시 대유행의 위험에 처해져 있다. 위기 상황에서는 위험인식이 대응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요소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위험인식의 선행요인을 살펴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SNS 이용행태(소극적 정보수용, 적극적 참여 이용 이용)가 코로나19에 대한 개인적 위험인식과 사회적 위험인식의 차이를 유발하는지, 또한 대인 커뮤니케이션과 코로나19 정보과부하가 위험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결과 첫째, 적극적 참여 이용행태는 소극적 정보수용 행태보다 개인적 위험인식과 사회적 위험인식이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대인 커뮤니케이션은 개인적 위험인식과 사회적 위험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SNS에서 정보과부하를 경험하는 것은 위험인식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미와 한계점, 그리고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메신저와 SNS를 통한 경성·연성뉴스 이용이 매체별 뉴스 신뢰도에 미치는 영향: 출처지각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왕이(Wang, Yi),지앙슈에진(Jiang, Xuejin),주유존(Zhu, Liucun),김용환(Kim, Yonghwan) 동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1 사회과학연구 Vol.28 No.3

        본 연구는 오늘날의 미디어 환경 속에서 이용량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메신저 뉴스와 SNS 뉴스 신뢰도에 어떠한 요인들이 작용할 수 있는지를 탐색했다. 해당 매체를 통한 뉴스 이용량이 각각의 뉴스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기 보다는 어떤 장르의 뉴스를 소비하는지가 보다 중요하게 작용할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해 경성뉴스와 연성뉴스 이용이 매체별 뉴스 신뢰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또한, 메신저나 SNS를 통해 소비되는 뉴스는 그 출처가 불분명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뉴스의 출처를 얼마나 지각하고 있는지에 따라 뉴스 신뢰도에 영향을 끼칠 것으로 판단해 정보출처지각의 상호작용 효과를 탐색했다. 이를 위해 한국언론진흥재단의 ‘2018 언론 수용자 의식조사’ 자료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 메신저 서비스와 SNS를 통한 경성뉴스 이용은 매체별 뉴스 신뢰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반면, 연성뉴스 이용은 각 매체별 뉴스 신뢰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출처지각의 조절 효과를 보면, 메신저 서비스와 SNS를 통한 경성뉴스 이용이 매체별 뉴스 신뢰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출처지각이 부적 조절 효과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출처지각이 높은 뉴스 수용자들은 출처지각이 낮은 뉴스 수용자보다 메신저와 SNS 경성뉴스 이용은 뉴스 신뢰도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이 더 뚜렷하게 나타났다. 한편, 메신저를 통한 연성뉴스 이용과 메신저 뉴스 신뢰도의 관계를 출처지각이 긍정적 조절효과를 보였다. 즉, 메신저 연성뉴스 이용이 뉴스 신뢰도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이 출처지각이 높은 뉴스 이용자에게서 더 뚜렷하게 나타났다. 반면, SNS의 경우 출처지각의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를 통해, 메신저와 SNS 등 소셜미디어 뉴스 이용에서 뉴스의 장르와 정보출처지각이 뉴스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성을 발견하였고,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소셜미디어 뉴스 신뢰도 개선에 대한 논리적 근거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what factors can play on SNS news and messenger news credibility, which is steadily increasing in today"s complex media environment. Based on the fact that news usage through the media can play a more important role in what genre of news it consumes, rather than affecting each news credibility, we looked at the impact of the use of hard news and soft news on news credibility by media. In addition, news consumed through SNS or messengers often has unclear sources, so we explored the interaction effects of information source perception, judging that it will affect news reliability depending on how much we perceive the source of news. To this end, We analyzed data on "2018 Media Inmate Consciousness Survey".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use of hard news through SNS and messenger service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news credibility by media, while the use of soft news positively affects news credibility by each media. According to the interaction effect of source perception, it was confirmed that source perception has a negative control effect in the impact of hard news use through SNS and messenger services on news reliability by media. Specifically, news recipients with high source perception showed more negative effects on news credibility than news recipients with low source perception. Meanwhile, source perception showed positive control ov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se of soft news through messenger and the credibility of messenger news. In other words, news recipients with high source perception have a more pronounced positive impact on news credibility than news recipients with low source perception. On the other hand, SNS did not have any interaction effect of source perception. Through this study, we found the importance of news genres and information source perceptions affecting news reliability in the use of new media news such as SNS and messengers, and based on these results, we can also presented logical grounds for improving new media news reliability.

      • KCI등재

        온라인 뉴스 공유자의 특성 및 뉴스 공유에 미치는 요인 탐색

        황하성 ( Hasung Hwang ),지앙슈에진 ( Xuejin Jiang ),주유존 ( Liucun Zhu )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20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21 No.6

        본 연구는 온라인 뉴스 문화를 만들고 있는 뉴스 공유자의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메신저에서 뉴스 공유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전통 미디어와 뉴미디어를 통한 뉴스 이용행태를 밝히고, 뉴스 공유 행위에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18년 언론 수용자 의식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메신저에서 뉴스 공유자는 비공유자보다 연령층이 낮고, 학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뉴스 공유자는 비공유자보다 전통 미디어 뉴스를 적게 이용하는 반면, 뉴미디어 뉴스를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포털, SNS,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을 통한 뉴스 이용량과 메신저 뉴스 신뢰도는 뉴스 공유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반면, 연령과 포털 뉴스 신뢰도는 뉴스 공유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의 함의 및 한계점,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resent study aims to explore news sharers’ characteristic. Specifically, it aims to look at news sharer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ld media news usage and new media news usage. Besides, it also explores factors affecting news sharing behavior. The study used the second data of Korea Press Foundation. Findings from surveys suggest that first, news sharers are younger and have higher education than not news sharers. Second, news sharers use less news through old media while more news through new media. Third, political orientation, portal, SNS and online video platform new usage, messenger news reliability have positive effects on news sharing, while age and portal news reliability have negative effects on it.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 limitations, and topic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