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코로나19 위험인식과 예방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구: 미디어이용과 대인커뮤니케이션의 역할

        지앙슈에진(Jiang, Xuejin),황하성(Hwang, Hasung)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1 사회과학연구 Vol.60 No.3

        본 연구는 코로나19 위기 상황에서 미디어 이용(TV, 인터넷 포털, 정부 홈페이지)이 위험인식과 예방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고, 대인 커뮤니케이션이 미디어 이용과 위험인식 사이를 조절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언론진흥재단에서 공개한 〈코로나19 관련 정보 이용 및 인식 현황〉 데이터를 활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인터넷 포털과 정부 홈페이지를 통한 코로나19에 관련한 정보 이용은 예방행동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TV를 통한 코로나19 정보 이용은 예방행동 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위험인식은 뉴스 미디어 이용(TV, 인터넷 포털)과 예방행동 의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TV나 인터넷 포털을 통해 정보를 이용할수록 코로나19에 대한 위험인식이 높아지고, 나아가 예방행동 의도가 높아지는 것이다. 셋째, 대인 커뮤니케이션은 질병 관련 정부 홈페이지 자료 이용과 위험인식 사이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코로나19에 대한 대화를 많이 하는 사람일수록 정부 홈페이지 자료 이용이 위험인식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함의 및 한계점,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resent study aims to explore the effects of COVID-19-related media use(internet portal, TV, government homepage data) on risk perception and preventive behavioral intention. Besides, it also examines whether COVID-19-related interpersonal communication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a use and risk perception. The study used the second data from Korea Press Foundation. Findings from surveys suggest that first, the exposure to COVID-19-related information through Internet portals and government homepage data had positive effects on preventive behavioral intention. While the use of information through TV does not affect the preventive behavioral intention. Second, risk perception had the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ews media use(internet portal, TV) and preventive behavioral intention. In other words, when people are exposed to the COVID-19-related news media more, the higher risk perception they will have, afterwards their preventive behavioral intention will be higher. Third, the COVID-19-related interpersonal communication had the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tion use through government homepage and risk perception. Specifically, the positive effect of using government information on risk perception was much stronger for people with higher levels of interpersonal communication than those with lower levels of interpersonal communic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topic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

        온라인 스트리밍 수업의 특성이 학습 만족도와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연구

        주유존,양혜준,지앙슈에진,황하성,Zhu, LiuCun,Yang, HuiJun,Jiang, Xuejin,Hwang, HaSung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22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23 No.5

        코로나 시대 실시간 라이브 스트리밍 방송과 비대면 수업이 확산되고 있음에 따라 온라인 스트리밍 수업에 대한 학문적 관심이 필요한 시점이다. 특히 이용자 측면에서 왜 온라인 스트리밍 수업을 이용하는지를 밝히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온라인 스트리밍 수업의 특성으로 사회적 현존감, 흥미성, 이용 편리성, 상호작용성을 제안하고, 이들 특성이 학습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나아가 추천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중국 대학생 338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한 결과 상호작용성, 사회적 현존감, 흥미성은 학습 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이용 편리성의 영향력은 나타나지 않았다. 한편, 학습 만족도는 온라인 스트리밍 수업 추천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KCI등재

        온라인 뉴스 공유자의 특성 및 뉴스 공유에 미치는 요인 탐색

        황하성 ( Hasung Hwang ),지앙슈에진 ( Xuejin Jiang ),주유존 ( Liucun Zhu )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20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21 No.6

        본 연구는 온라인 뉴스 문화를 만들고 있는 뉴스 공유자의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메신저에서 뉴스 공유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전통 미디어와 뉴미디어를 통한 뉴스 이용행태를 밝히고, 뉴스 공유 행위에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18년 언론 수용자 의식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메신저에서 뉴스 공유자는 비공유자보다 연령층이 낮고, 학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뉴스 공유자는 비공유자보다 전통 미디어 뉴스를 적게 이용하는 반면, 뉴미디어 뉴스를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포털, SNS,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을 통한 뉴스 이용량과 메신저 뉴스 신뢰도는 뉴스 공유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반면, 연령과 포털 뉴스 신뢰도는 뉴스 공유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의 함의 및 한계점,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resent study aims to explore news sharers’ characteristic. Specifically, it aims to look at news sharer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ld media news usage and new media news usage. Besides, it also explores factors affecting news sharing behavior. The study used the second data of Korea Press Foundation. Findings from surveys suggest that first, news sharers are younger and have higher education than not news sharers. Second, news sharers use less news through old media while more news through new media. Third, political orientation, portal, SNS and online video platform new usage, messenger news reliability have positive effects on news sharing, while age and portal news reliability have negative effects on it.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 limitations, and topic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

        메신저와 SNS를 통한 경성·연성뉴스 이용이 매체별 뉴스 신뢰도에 미치는 영향: 출처지각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왕이(Wang, Yi),지앙슈에진(Jiang, Xuejin),주유존(Zhu, Liucun),김용환(Kim, Yonghwan) 동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1 사회과학연구 Vol.28 No.3

        본 연구는 오늘날의 미디어 환경 속에서 이용량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메신저 뉴스와 SNS 뉴스 신뢰도에 어떠한 요인들이 작용할 수 있는지를 탐색했다. 해당 매체를 통한 뉴스 이용량이 각각의 뉴스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기 보다는 어떤 장르의 뉴스를 소비하는지가 보다 중요하게 작용할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해 경성뉴스와 연성뉴스 이용이 매체별 뉴스 신뢰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또한, 메신저나 SNS를 통해 소비되는 뉴스는 그 출처가 불분명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뉴스의 출처를 얼마나 지각하고 있는지에 따라 뉴스 신뢰도에 영향을 끼칠 것으로 판단해 정보출처지각의 상호작용 효과를 탐색했다. 이를 위해 한국언론진흥재단의 ‘2018 언론 수용자 의식조사’ 자료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 메신저 서비스와 SNS를 통한 경성뉴스 이용은 매체별 뉴스 신뢰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반면, 연성뉴스 이용은 각 매체별 뉴스 신뢰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출처지각의 조절 효과를 보면, 메신저 서비스와 SNS를 통한 경성뉴스 이용이 매체별 뉴스 신뢰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출처지각이 부적 조절 효과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출처지각이 높은 뉴스 수용자들은 출처지각이 낮은 뉴스 수용자보다 메신저와 SNS 경성뉴스 이용은 뉴스 신뢰도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이 더 뚜렷하게 나타났다. 한편, 메신저를 통한 연성뉴스 이용과 메신저 뉴스 신뢰도의 관계를 출처지각이 긍정적 조절효과를 보였다. 즉, 메신저 연성뉴스 이용이 뉴스 신뢰도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이 출처지각이 높은 뉴스 이용자에게서 더 뚜렷하게 나타났다. 반면, SNS의 경우 출처지각의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를 통해, 메신저와 SNS 등 소셜미디어 뉴스 이용에서 뉴스의 장르와 정보출처지각이 뉴스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성을 발견하였고,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소셜미디어 뉴스 신뢰도 개선에 대한 논리적 근거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what factors can play on SNS news and messenger news credibility, which is steadily increasing in today"s complex media environment. Based on the fact that news usage through the media can play a more important role in what genre of news it consumes, rather than affecting each news credibility, we looked at the impact of the use of hard news and soft news on news credibility by media. In addition, news consumed through SNS or messengers often has unclear sources, so we explored the interaction effects of information source perception, judging that it will affect news reliability depending on how much we perceive the source of news. To this end, We analyzed data on "2018 Media Inmate Consciousness Survey".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use of hard news through SNS and messenger service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news credibility by media, while the use of soft news positively affects news credibility by each media. According to the interaction effect of source perception, it was confirmed that source perception has a negative control effect in the impact of hard news use through SNS and messenger services on news reliability by media. Specifically, news recipients with high source perception showed more negative effects on news credibility than news recipients with low source perception. Meanwhile, source perception showed positive control ov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se of soft news through messenger and the credibility of messenger news. In other words, news recipients with high source perception have a more pronounced positive impact on news credibility than news recipients with low source perception. On the other hand, SNS did not have any interaction effect of source perception. Through this study, we found the importance of news genres and information source perceptions affecting news reliability in the use of new media news such as SNS and messengers, and based on these results, we can also presented logical grounds for improving new media news relia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