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공계 신입생의 자기효능감, 비판적 사고 성향, 의사소통능력과 창의적 인재 역량의 관계 분석

        주소영(Joo, Soyoung),정연재(Jeong, Yeonja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0

        본 연구는 이공계 신입생에게 적합한 교육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출발점으로서 이공계 신입생들의 자기효능감, 비판적 사고 성향, 의사소통능력과 창의적 인재 역량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2019년 10월 14일부터 2019년 10월 15일까지 인천광역시에 위치한 4년제 I 대학의 신입생 중 기초필수교과목을 수강하고 있는 이공계 신입생 가운데 설문에 자발적으로 참여한 29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공계 신입생의 자기효능감, 비판적 사고 성향, 의사소통능력과 창의적 인재 역량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자기효능감과 비판적 사고 성향, 자기효능감과 의사소통능력이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효능감, 비판적 사고 성향, 의사소통능력 모두 창의적 인재 역량과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공계 신입생의 자기효능감, 비판적 사고 성향, 의사소통능력과 창의적 인재 역량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본 결과 비판적 사고 성향과 의사소통능력은 창의적 인재 역량에 직접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효능감은 창의적 인재 역량에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자기효능감을 기반으로 비판적 사고 성향과 의사소통능력이 동반되어야 창의적 인재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the self-efficiency,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communication skills and creative leader competency of freshmen in natural science and engineering as a starting point to provide appropriate educational experience for them. To this end, 290 students, who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e survey, among freshmen in natural science and engineering taking mandatory basic courses of freshmen at the four-year I university located in Incheon were surveyed from October 14 to 15, 2019,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the relational analysis among self-efficiency,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communication skills and creative leader competency of freshmen showed positive relations between self-efficiency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between self-efficiency and communication skills. And self-efficiency,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communication skills showed all also positive relation with creative leader competency. Second, the results of the relational analysis among self-efficiency,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communication skills and creative leader competency of freshmen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showed that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communication skills have direct effects on creative leader competency while self-efficiency has indirect effects on creative leader competency. In conclusion, it showed that, based on self-efficiency,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communication skills must be accompanied to strengthen creative leader competency.

      • KCI등재

        웹기반 PBL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주소영(Joo, So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0

        본 연구는 메타분석 기법을 통해 웹기반 PBL 프로그램을 활용한 연구들의 효과 크기를 산출하여, 웹기반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에 있어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국내 석·박사 학위 논문 및 학술지 논문을 대상으로 검색하고 PICOS에 의거하여 20편의 연구에서 얻어진 28개의 효과크기를 산출하였으며, 이를 대상으로 R을 이용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웹기반 PBL 프로그램을 활용한 연구들의 평균 효과크기는 1.22로 큰 효과크기를 나타내 웹기반 PBL 프로그램의 효과가 입증되었다. 그러나 큰 이질성이 있음이 확인되어( I²= 91.8%) 평균 효과크기에 영향을 주는 변수를 검증하기 위해 투입기간과 연구대상, 종속변인 그리고 학습단계를 조절변수로 하여 메타 ANOVA를 추가적으로 실시하였다. 그 결과 투입기간과 종속변인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연구대상과 학습단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 이질성의 원인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웹기반 PBL 프로그램은 중학생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을 때, 학습단계를 9단계로 하였을 때 가장 큰 효과를 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추후 웹기반 PBL 프로그램 제작 및 구성에 있어 중요한 근거를 제공 할 것으로 사료되며, 더욱 향상된 수업 효과를 얻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analyze web-based problem-based learning program using a meta-analysis method and explored the flow of research conducted and the possibilities for future research. This research collected PISCO data on domestic master & doctoral theses and journals. It then calculated 28 effect sizes obtained from 20 studies and used meta-analysis with R. The result of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effect size from web-based problem-based learning program was 1.22 as the large effect size. This result proved the effect of web-based problem-based learning program. The heterogeneity of the average effect size was large (I²= 91.8%), and META - ANOVA was used as a control variable to test variables affecting the average effect size. As a resul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search subjects, and learning stage. Web-based problem-based learning is most effective when it is used for the object of study is on middle school students, and nine learning stage.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expected to provide an essential basis for future web-based problem-based learning program creation and composition, and it will help to achieve more effective class effect.

      • 산업용 사물인터넷을 위한 머신러닝 기반 APT 탐지 기법

        주소영(Soyoung Joo),김소연(So-Yeon Kim),김소희(So-Hui Kim),이일구(Il-Gu Lee) 한국정보통신학회 2021 한국정보통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25 No.2

        엔드포인트를 대상으로 하는 사이버 공격이 표적형, 지능형 공격으로 정교하게 진화하면서 산업용 사물인터넷(IIoT, Industrial Internet of Things)을 겨냥하는 지능형 지속 공격(APT, Advanced Persistent Threat)이 증가하고 있다. APT 공격을 효과적으로 방어하기 위하여 룰 기반으로 악성 행위를 탐지하는 기존의 보안 도구를 결합하고 보완하는 머신러닝 기반의 엔드포인트 탐지 및 대응(EDR, Endpoint Detection and Response) 솔루션이 주목을 받고 있다. 하지만 범용 EDR 솔루션은 오탐률이 높고, 높은 수준의 분석가가 방대한 양의 경보를 모니터링 및 분석해야 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IIoT 특성과 취약성을 반영한 머신러닝 기반의 EDR 솔루션 최적화 과정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IIoT 대상의 APT 공격의 흐름과 영향을 분석하고 머신러닝 기반 APT 탐지 EDR 솔루션을 비교 분석한다. Cyber-attacks targeting endpoints have developed sophisticatedly into targeted and intelligent attacks. Advanced Persistent Threat (APT) targeting the Industrial Internet of Things (IIoT) has increased accordingly. Machine learning-based Endpoint Detection and Response (EDR) solutions combine and complement rule-based conventional security tools to effectively defend against APT attacks are gaining attention. However, universal EDR solutions have a high false positive rate, and needs high-level analysts to monitor and analyze a tremendous amount of alerts. Therefore, the process of optimizing machine learning-based EDR solutions that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and vulnerabilities of IIoT environment is essential. In this study, we analyze the flow and impact of lIoT targeted APT cases and compare the method of machine learning-based APT detection EDR solutions.

      • KCI등재

        대학 인성교육을 위한 학습자 요구도 분석 : I 대학 신입생의 학습참여 유형을 중심으로

        주소영 ( Joo Soyoung ),정연재 ( Jeong Yeonjae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문화연구 Vol.27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인성교육의 내실화를 위한 방안의 하나로 대학 신입생의 입장에서 인성교육의 인식과 요구를 정교하게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적실한 인성교육의 내용과 방식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학생의 학습참여 군집 유형과 특성은 어떠한지, 학습참여 군집 유형별 선호하는 인성교육 교수방법 및 평가방법은 무엇인지, 학습참여 군집 유형별 요구하는 인성교육 내용은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설문은 2021년 4월 26일부터 4월 28일까지 인천광역시에 위치한 4년제 I 대학 1학년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참여를 기준으로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적극적 학습참여 24.8%, 조용한 학습참여 34.4%, 소극적 학습참여 40.8%로 총 3개의 군집으로 유형화되었다. 둘째, 학습참여 군집 유형별 선호하는 인성교육 교수방법과 평가방법을 살펴본 결과 모든 집단이 온라인 강의(정규교과목)와 Pass or Fail 평가방법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참여 군집 유형별 요구하는 인성교육 내용을 살펴본 결과 인성의 개인적 성향(도덕적 판단력, 성실성, 자아정체감), 관계적 성향(배려/존중, 공감성), 사회적 성향(시민성, 사회적 책임/역할, 문화적 포용력, 공동선)의 모든 요인에서 적극적 학습참여, 조용한 학습참여, 소극적 학습참여 집단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적극적 학습참여 집단이 가장 높은 요구도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을 하나의 집단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학습참여의 유형별로 차별화된 맞춤형 인성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perception and needs of character education in the position of university freshmen as a measure for the substantialization of such education, and determines the appropriate contents and methods. For this,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learning participation groups of university students, the teaching/evaluation methods of character education preferred by each type of group, and the contents of character education requested by each type of group were investigated. From April 26th to 28th, 2021,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the freshmen of University “I” (four-year-course)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luster analysis on the basis of learning participation revealed three groups, categorized such as active (24.8%), quiet (34.4%), and passive learning participation (40.8%). Second, examining the teaching/evaluation methods of character education preferred by each type of group revealed every group preferred the online lecture (regular course) and Pass or Fail evaluation method the most. Third, examining the contents of character education requested by each type of learning group revealed all the active, quiet, and passive learning participation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every factor of personal (ethical judgment, sincerity, self-identity), relational (consideration/respect, empathy), and social tendency (citizenship, social responsibility/role, cultural tolerance, common good) of character while the active learning participation group showed the highest needs. Such results imply the necessity of differentiated character education customized for each type of learning participation, rather than viewing university students as a single group.

      • KCI등재

        선취업 후진학 대학생의 인문학적 소양이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주소영 ( Joo Soyoung ),정연재 ( Jeong Yeonjae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선취업 후학습 대학생에 초점을 맞추어, 그들의 인문학적 소양과 의사소통능력 간의 관계를 살핌으로써 선취업 후진학 대학생을 위해 교양교육 차원에서 모색해야 할 방향을 확보하는 데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선취업 후진학 대학생의 인문학적 소양 군집 유형별 의사소통능력의 차이를 확인하고, 인문학적 소양과 의사소통능력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9년 5월 21일 인천광역시에 위치한 4년제 I 대학에 재학중인 선취업 후진학 대학생 148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군집분석을 통해 선취업 후진학 대학생의 인문학적 소양 수준이 높고 낮음에 따라 ‘고 인문학적 소양’ 집단과 ‘저 인문학적 소양’ 집단으로 분류하였으며, 두 집단은 의사소통능력 모두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선취업 후진학 대학생의 인문학적 소양과 의사소통능력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인문학적 소양은 의사소통능력의 하위요인 중 고정관념적 사고극복을 제외한 모든 요인과 정적이며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선취업 후진학 대학생의 인문학적 소양이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의사소통능력 전체의 28%를 문학소양, 예술소양, 철학소양이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문학적 소양은 의사소통능력의 하위요인 중 경청 및 개방적 의사소통을 가장 많이 설명해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문학적 소양의 철학소양은 의사소통능력과 그 하위요인 모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인문학적 소양의 수준별 집단 분석을 통해 각각의 집단 특성과 집단간 의사소통능력의 차이를 확인하고 선취업 후진학 대학생, 인문학적 소양, 의사소통능력의 관계를 위한 기초자료 및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rection of liberal education for the college students in Work First-then to College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humanistic style and communicate skills, focusing on the students in Work First-then to College system. Furthermore, it is to identify the difference in the communication skills by type of the humanistic style group of the students in Work First-then to College system and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istic style and communication skill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148 students in Work First-then to College system, who attending four-year I University located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on May 21, 2019,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classified as a group of the "high humanistic style " and the "low humanistic style" according to the level of humanistic style of the students in Work First-then to College system through the cluster analysis, and the both groups showed differences in communication skills. Second, as a result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istic style and communication skills of the students in Work First-then to College, it was found that the humanistic style showed the positive an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ll factors, except for stereotypic thinking overcoming of the sub-factors of communication skills. Third, as the results of looking at the effect of the humanistic style of the students in Work First-then to College on communication skills, it showed that the liberal arts of literature, arts, and philosophy explain 28% of the entire communication skills, and the humanistic style explain the listening and open communication skill the most of the sub-factors of communication skills. The philosophy in the humanistic style has also been shown as a factor affecting both communication skills and their sub-factors. This study is significant to identify the differences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and the communication skills through the cluster analysis by level of the humanistic style, and to provide basic data and implication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udents in Work First-then to College, the humanistic style, and communication skills.

      • ICS SW 보안 무결성 관리 프로그램 개발

        주소영 ( Soyoung Joo ),권해나 ( Haena Kwon ),김은지 ( Kim Eunji ),양소영 ( Yang So Young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0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7 No.2

        주요기반시설 산업제어시스템의 폐쇄 망 운영 환경에 따라 내부자 사이버 보안 위협으로 인한 피해가 다수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이에 대응하기 위한 내부 보안 대책이 요구된다. 이에 본 논문은 산업제어시스템의 안전한 운용을 위한 SW 보안 무결성 관리 프로그램을 제안한다. 자산의 구매, 설치, 운영, 유지보수를 통합 관리함으로써 전반적인 라이프 사이클의 흐름 내에서 정보보안 강화를 확립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통하여 산업제어시스템의 특성을 반영한 효과적인 내부 보안 관리 프로그램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그래픽 조직자를 활용한 연구에 대한 메타분석

        주소영(Joo, So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메타분석 기법을 통해 그래픽 조직자를 활용한 연구들의 효과크기를 산출하여, 그래픽 조직자를 활용한 프로그램 개발 및 연구 있어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국내 석·박사 학위 논문 및 학술지 논문을 대상 으로 PICOS에 의거하여 35편의 연구에서 얻어진 70개의 효과크기를 산출하였으며, 이를 대상으로 R을 이용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그래픽 조직자를 활용한 연구들의 평균 효과크기는 0.66으로 중간 효과크기를 나타내 그래픽 조직자를 활용한 연구들의 효과가 입증되었다. 그러나 큰 이질성이 있음이 확인되어(I²= 79.6%) 평균 효과크기에 영향을 주는 변수를 검증하기 위해 연구대상, 투입기간, 적용교과, 종속변인을 조절변수로 하여 메타 ANOVA를 추가적으로 실시하였다. 그 결과 연구대상과 적용교과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투입 기간과 종속변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 이질성의 원인을 발견하였 다. 따라서 그래픽 조직자를 활용한 프로그램은 4개월 이상 투입하였을 때, 종속변인을 쓰기능력으로 하였을 때 가장 큰 효과를 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추후 그래픽 조직자를 활용한 프로그램 제작 및 구성, 연구에 있어 중요한 근거를 제공할 것으로 사료되며, 더욱 향상된 수업 효과를 얻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 차세대 무선통신 네트워크 기술 동향 및 보안 이슈 분석

        주소영(Soyoung Joo),김소연(So-Yeon Kim),이일구(Il-Gu Lee) 한국정보보호학회 2021 情報保護學會誌 Vol.31 No.3

        최근 5G 무선통신 네트워크 기술이 상용화 단계에 진입하자마자 6G를 위한 차세대 무선통신 네트워크 기술에 대한 경쟁적인 연구개발이 가속화되고 있다. 6G에서는 5G 대비 50배의 속도, 10분의 1의 무선 지연 시간의 개선이 예상되며, 인공지능 기술과 융합해 네트워크 구성 요소들을 최적화하고 사람, 기계, 사물 간 새로운 차원의 초연결 경험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러나 획기적인 성능과 효율성 개선을 위해 시스템의 복잡성이 증가하고, 연결성이 상시 보장되어야 하며, 유연성과 지능 내재화를 위해 프로그래머블 디자인이 필수적인 요소가 되었기 때문에 보안 취약성이 커졌다. 본 논문에서는 차세대 무선통신 네트워크의 핵심 기술 요소와 표준화 동향을 분석하고, 보안 이슈와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한다.

      • KCI등재

        대학생 디지털 시민성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정연재(Yeonjae Jeong),주소영(Soyoung Jo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8

        목적 본 연구는 고등교육 차원에서의 디지털 시민성 관련 연구가 매우 부족하다는 인식 아래 탈경계, 초연결의 시대 대학생의 디지털 시민성 함양을 위한 측정도구를 개발함으로써 교양 수준의 디지털 시민성 교육의 기초를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이를 위해 디지털 시민성의 개념과 구성요소에 대한 문헌 연구, 하위 요인 설정 및 예비문항 개발, 전문가 내용타당도 검증, 측정도구의 구인타당도 검증(탐색적,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그 결과 디지털 시민성 측정도구는 인지 영역 21문항(디지털 정보 및 사회 이해 7문항, 비판적 사고 5문항, 소프트웨어디자인 4문항, 표현능력 5문항), 정의 영역 20문항(디지털 에티켓 13문항, 적극적 참여와 동기부여 7문항), 행동 영역 27문항(갈등 및 문제 해결능력 8문항, 윤리적 사용 7문항, 정보 공유 및 변혁 추구 8문항, 사회적 책임 4문항)으로 총 68문항이 개발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대학생을 위한 디지털 시민성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 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으며, 본 도구는 디지털 시민성 교육을 위한 방향 모색, 디지털 시민성 강화 프로그램 개발, 프로그램 효과 분석 등에 활용될 수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basis of digital citizenship education as general education by developing the measurement tool for cultivating digital citizenship of college students in the trans-boundary and hyper-connected era considering that it is very lacking in the researches related to digital citizenship in the level of higher education. Methods For this, this study conducted the literary review on the concept and elements of digital citizenship, set up the subfactors, developed the preliminary items, verified the content validity with experts, and verified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measurement(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ool. Results As a result, the digital citizenship measurement tool was composed of total 68 items such as 21 items of cognitive area(7 items of understanding of digital information & society, 5 items of critical thinking, 4 items of software design, 5 items of expressive ability), 20 items of justice area(13 items of digital etiquette, 7 items of active participation and motivation), and 27 items of behavioral area(8 items of conflict/problem-solving ability, 7 items of ethical use, 8 items of pursuit of information sharing & change, 4 items of social responsibility). Conclusion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e aspect of developing and validating the digital citizenship measurement tool for college students. This tool could be utilized for seeking for the direction of digital citizenship education, developing programs for strengthening digital citizenship, and analyzing the effects of programs.

      • KCI등재

        이공계 신입생의 자기효능감, 스트레스 대처, 회복탄력성과 교양교육 만족도의 관계

        정연재(Jeong, Yeonjae),주소영(Joo, So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4

        목적 본 연구는 이공계 신입생의 원할한 학업적응과 성공적인 대학생활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이공계 신입생의 자기효능감, 스트레스 대처, 회복탄력성과 교양교육 만족도 간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방법 이를 위해 2020년 10월 19일부터 10월 27일까지 인천광역시에 위치한 4년제 I대학의 이공계 신입생 중 교양 기초필수 교과목을 수강하고 있는 246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고 SPSS 26.0과 AMOS 16.0을 사용하여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이공계 신입생의 자기효능감, 스트레스 대처, 회복탄력성과 교양교육 만족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자기효능감과 회복탄력성은 교양교육 만족도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트레스 대처의 경우 하위요인에 따라 교양교육 만족도와의 상관관계가 다른 것으로 나타났는데, 적극적인 대처와 관련된 요인의 경우 교양교육 만족도와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나 소극적인 대처와 관련된 요인의 경우 교양교육 만족도와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공계 신입생의 자기효능감, 스트레스 대처, 회복탄력성과 교양교육 만족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본 결과 회복탄력성과 스트레스 대처는 교양교육 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효능감은 회복탄력성과 스트레스 대처를 매개로 하여 교양교육 만족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볼 때, 이공계 신입생은 자신의 능력에 대한 확고한 믿음을 갖추고, 적극적인 자세로 스트레스를 관리하고 극복하며, 문제 상황을 접하더라도 포기하지 않고 유연하게 대처하는 경우 교양교육에서의 만족도와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 of self-efficacy, stress coping, resilience, and satisfaction with general education of freshmen in natural science and engineering as the basic data for academic adjustment and successful university life of freshmen in natural science and engineering. Methods For this, from October 19th to October 27th 2020,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total 246 freshmen who were taking the basic required subjects of general education in natural science and engineering of four-year- course I university located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using the SPSS 26.0 and AMOS 16.0.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correlations of self-efficacy, stress coping, resilience, and satisfaction with general education of freshmen in natural science and engineering, both self-efficacy and resilience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 satisfaction with general education. The stress coping showed different correlations with the satisfaction with general education according to its subfactors. The factors related to active coping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 satisfaction with general education while the factors related to passive coping showed no correlations with the satisfaction with general education. Second, in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structural relations of self-efficacy, stress coping, resilience, and satisfaction with general education of freshmen in natural science and engineering, the resilience and stress coping had direct effects on the satisfaction with general education, and the self-efficacy had indirect effects on the satisfaction with general education through the mediation of resilience and stress coping. Conclusions Consider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freshmen in natural science and engineering will be able to increase satisfaction and effectiveness in general education if they have a firm belief in their abilities, manage and overcome stress with an active attitude, and respond flexibly without giving up even if they encounter problem situ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