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황사 발생시 아파트 실내에서 미세먼지 크기별 농도 특성

        주상우,지준호,Joo, Sang-Woo,Ji, Jun-Ho 한국입자에어로졸학회 2019 Particle and Aerosol Research Vol.15 No.1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가장 일반적인 유형의 주택으로서 3인 가구가 거주하는 공급면적 $117.69m^2$의 일반형 아파트를 측정 주택으로 선정하여 실증 측정을 진행하였다. 황사 발생이 포함된 3일 측정기간 동안 미세먼지 변화 특성을 관찰하여 분석하였다. 관측된 미세먼지($PM_{10}$)를 상대적으로 큰 먼지($PM_{10-2.5}$)와 초미세먼지($PM_{2.5}$)로 나누어 대기와 실내의 먼지의 농도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로 재실자의 활동이 없는 외출이나 취침 기간에는 주택의 침기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미세먼지 중 상대적으로 큰 $PM_{10-2.5}$ 크기 입자는 외기의 풍속이 5 m/s까지 증가하여 침기량이 증가해도 대기 농도 대비 실내 농도비가 7% 이하인 반면, $PM_{2.5}$의 경우 외기 속도가 5 m/s까지 증가하면 50% 이상으로 증가하였다. 황사가 심한 대기 상태에도 본 연구의 측정 주택의 경우 실내 $PM_{10-2.5}$는 시평균$15{\mu}g/m^3$로 대기 농도의 5% 수준으로 일상 조건과 비슷했다. 재실자의 활동이 있는 경우에는 미세먼지 중 초미세먼지를 제외한 상대적으로 큰 먼지는 자연환기와 실내 사람의 움직임과 같은 행동 영향이 지배적이었다. 실내 $PM_{10-2.5}$ 농도는 대기 농도가 낮은 경우에는 대기 농도의 약 50%를 차지하는 경우도 있었다. 재실자의 활동 중, 초미세먼지의 발생이 클 것으로 예상되는 굽기나 튀기기가 포함된 조리나 실내 흡연이 없었기 때문에, 재실자가 없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초미세먼지는 실내 농도가 실외 농도의 추이에 따라 함께 변동하는 양상을 보였다. 외부공기가 침기에 의해 창틈, 문틈으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초미세먼지는 약 30~40% 정도가 제거되고 실내로 많은 비율이 유입되기 때문에 실외 초미세먼지의 실내에 대한 영향이 컸다. 본 연구의 분석 데이터는 측정이 이루어진 대표 주택에 해당하는 것으로, 새로 지어진 기밀 성능이 높은 신축 아파트나 침기가 상대적으로 클 것으로 예상되는 오래된 단독주택에서는 다른 특성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되므로, 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It is recommended for the public to stay at home and to close the doors and windows when a high-particulate-matter environment such as a yellow sand event occurs outside. However, there are lack of empirical studies describing how much outdoor PM infiltrates into a closed house and how much indoor PM an inhabitant is exposed to during the period. In this study, the $PM_{10}$ and $PM_{2.5}$ were measured at the kitchen in an apartment house by an optical particle counter for 3 days including a yellow sand event. The outdoor PMs and the outdoor wind speeds were referred from surrounding weather stations. We analyzed the penetration of $PM_{10-2.5}$ and $PM_{2.5}$ at the test house against the outdoor wind speed supposed corresponding to the change of air exchange rate. In addition, the effect of an indoor activity on change in the indoor PM was investigated. In result, the indoor $PM_{10-2.5}$ was very low even a yellow sand event occurred outside; rather, a contribution of indoor activities to increase in $PM_{10-2.5}$ was higher. In contrast, the indoor $PM_{2.5}$ fluctuated following the outdoor $PM_{2.5}$ trend at high wind speeds or remained almost constant at low wind speed.

      • KCI등재후보

        조리과정에서 생성된 미세먼지의 크기분포 특성

        주상우,지준호,Joo, Sang-Woo,Ji, Jun-Ho 한국입자에어로졸학회 2020 Particle and Aerosol Research Vol.16 No.1

        The characteristics of particulate matter made from daily cooking at a Korean residential apartment house with three dwellers had been investigated for about 3 months. All data were recorded by an optical particle counter every minute at the kitchen. Types of cooking such as boiling, frying, and grilling that performed in the house were listed. Boiling only was used in 32% cases among total 234 meals. Frying and grilling were 14% and 11%, respectively. From an initial indoor particulate matter smaller than 10 ㎛ in diameter, the increases due to cooking are reported by size. In case of boiling, PM at 1-10 ㎛ size and under 1 ㎛ size little increased. Normally, particles from oil or combustion in a process of frying or grilling increased indoor PM. In a case of grilling, particle mass concentration in a region of 1-10 ㎛ in diameter increased as much as 295 ㎍/㎥. Mass concentration of particles smaller than 1 ㎛ increased as much as 33 ㎍/㎥.

      • KCI등재

        자동차용 증발기 판 내의 증발 열전달 및 유동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곽경민,주상우,정우열,김택근,김광일,Kwak, Kyung-Min,Joo, Sang-Woo,Jung, Woo-Youl,Kim, Taek-Keun,Kim, Kwang-Il 한국자동차공학회 2007 한국 자동차공학회논문집 Vol.15 No.2

        An experimental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in-plate evaporation heat transfer and flow characteristics of a evaporator used in automobile. Two test-cores with different heat transfer area, bead-shape and bead-array were tested, A type and B type. For the heat transfer, Nusselt number for B type test-core reaches a value nearly equal to the one for A type test-core, in the whole range of equivalent Reynolds number. But, for the same mass flow rate of refrigerant, hA for B type test-core becomes higher with the increase of the mass quality of refrigerant than for A type test-core. In a flow visualization experiment, the wake zone of refrigerant circulating at u-turn position of plate is observed.

      • KCI등재후보

        초미세먼지 주의보 시 지식산업센터 사무실의 실내 초미세먼지 농도 특성과 공기청정기와 환기장치의 영향

        지준호,주상우,Ji, Jun-Ho,Joo, Sang-Woo 한국입자에어로졸학회 2020 Particle and Aerosol Research Vol.16 No.3

        본 연구에서는 초미세먼지 주의보가 발효된 2019년 3월 4일~7일까지 약 80시간 동안 국내 지식산업센터 사무실 내 실내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였다. 측정이 이루어지는 동안 공기청정기와 환기장치의 구동에 의한 영향을 확인하였고, 초미세먼지 주의보 날의 실내와 실외의 입자 크기분포를 분석하였다. 사무실의 테라스 쪽 이중 창문과 복도쪽 입구 출입문을 모두 닫은 밀폐 조건에서 실외 대비 실내의 초미세먼지 농도비는 약 40% 정도를 유지했다. 초미세먼지 주의보의 시기에 중성능급 필터가 장착된 환기장치의 풍량을 1단이나 2단으로 운전한 경우에도 외기 대비 실내 초미세먼지 농도는 환기하지 않고 밀폐만 했을 때의 조건과 비슷했다. 환기장치를 구동하지 않고, 문을 닫아둔 조건에서 공기청정기를 가동하면 실내 초미세먼지 농도를 초미세먼지 주의보 시에도 대기 초미세먼지 농도대비 약 20% 수준으로 감소시킬 수 있었지만, 환기장치의 풍량을 증가시켜 가동하면, 상대적으로 환기를 통해 미세먼지를 공급하는 공기량이 증가하여, 공기청정기의 효과가 감소하였고, 실내외 농도비를 약 36%로 유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사무실 내 실내 부유 먼지의 크기분포의 분석 결과 1 ㎛ 보다 큰 입자의 농도는 매우 낮았다. 대기의 입자 크기분포는 1 ㎛ 이하의 입자의 봉우리와 1~10 ㎛ 입자의 봉우리의 두 부분으로 나타나는데 비해, 실내 입자의 크기분포에서는 1~10 ㎛ 입자의 봉우리가 사라지고 1 ㎛ 이하의 입자의 봉우리만 남는 형태로 상대적으로 큰 입자의 농도가 미미했다. 사무실의 밀폐가 초미세먼지 농도의 감소에 효과가 있었지만, 대부분은 1 ㎛ 보다 큰 입자가 제거되었고, 인체에 더 영향을 미치는 1 ㎛ 이하의 입자는 실내로 쉽게 침투하였다. 결국 밀폐된 사무실 실내에서 공기청정기의 사용은 1 ㎛ 이하의 인체에 더 해로운 크기의 입자를 제거하는데 큰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단지 80시간의 짧은 시간의 실증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이지만, 초미세먼지 주의보가 1년 중 1주일 이내로 발생하는 한정된 기간에 발생한다는 점에서 측정 및 분석 데이터가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생각된다. 또한 실내 초미세먼지 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수들을 고려하여 측정 계획을 작성하여 실증 측정이 이루어졌기 때문에 비교적 신뢰성 있는 분석데이터를 제시할 수 있었다. In this study, the indoor fine dust concentration in an office of the Korea Knowledge Industry Center was measured for about 80 hours when the concentration of atmospheric PM<sub>2.5</sub> was very high. The effect of the operation of the air cleaner and the forced ventilation system on the indoor PM<sub>2.5</sub> was investigated, and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the indoor and outdoor particles was analyzed. When forced ventilator and air purifiers were partially used, the indoor PM<sub>2.5</sub> concentrations were maintained between 27.7 ㎍/㎥ and 32.9 ㎍/㎥ when the atmospheric PM<sub>2.5</sub> was 127.7 ㎍/㎥ to 141.6 ㎍/㎥ during working hours. It is more effective to operate the air purifier without operating the forced ventilation system when the concentration of the PM<sub>2.5</sub> is high since the PM<sub>2.5</sub> penetrating the installed filter is continuously introduced indoor from the outside.

      • 팬시 문자 서비스 앱

        김영철(Young-Chul Kim),주상우(Sang-Woo Joo)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4 한국컴퓨터정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2 No.2

        본 작품은 학생들의 캡스톤디자인 작품이다. 현대인들은 자신의 감정을 특정한 문자를 통해서 상대방에게 전달하고자 한다. 하지만, 현재 모바일 폰의 문자 메시지는 텍스트 위주의 평범한 문자를 보내기 때문에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기에는 불충분하다. 따라서 본 작품은 텍스트 기반의 문자 서비스를 탈피하여 편지지와 아이콘을 활용하여 지산의 감정을 표현할 수 있는 모바일 편지 서비스 앱이다. 본 작품은 바쁜 현대인의 특성상, 자신의 필체가 악필일 경우가 많아 꺼려하고 있다. 당장 자신의 글씨를 고치기에는 시간이 부족한 경우도 많고 동시다발적으로 메시지를 전하고 싶어 하는 사람들에게 항상 지니고 있는 스마트폰으로 자신의 진심이 느껴지고 특별한 편지를 제작 하여 전송을 하고자 개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