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新羅 下代 金憲昌의 亂과 그 性格

        朱甫暾(Ju Bo-Don) 한국고대사학회 2008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51

        김헌창의 반란 사건은 신라사의 전개 과정에서 지닌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그 동안 별로 큰 관심을 끌지는 못하였던 것 같다. 대개 하대의 政治過程을 다루면서 극히 부분적으로만 취급되었을 따름이다. 난이 비록 실패로 끝나기는 하였어도 國號를 따로 내세웠다는 점에서 신라왕조를 그대로 이어가지는 않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읽어낼 수 있다. 이는 난의 주도 세력이 신라사회가 안고 있는 구조적 모순점을 제대로 인지하고 그를 革新하려는 의도를 갖고 있었음을 반영하는 사실이다. 게다가 이미 오래전에 소멸되어 버린 독자적 年號 사용의 관행을 되살리려 하였다는 점도 그와 관련하여 깊이 吟味해 보아야 할 대상이라 하겠다. 이는 기존의 신라왕조와는 달리 강한 자주성을 지닌 새로운 성격의 국가 건설을 표방하고 있음을 엿보게 하기 때문이다. 한편 王京 출신의 유력한 귀족이 地方長官으로서 지방민을 규합하여 도모하였다는 점도 주목된다. 어쩌면 뒤이은 軍鎭勢力 張保皐의 등장 징후가 이미 여기에서 나타나며 나아가 먼 훗날 後三國 鼎立의 한 端初도 이 난에서 읽을 수 있겠기 때문이다. 이를 통하여 김헌창의 난을 실마리로 이제 정치적ㆍ사회적인 무게 중심이 점차 지방으로 옮겨지는 현상을 더듬을 수도 있다. 이는 지방이 그만큼 정치적ㆍ사회적으로 크게 주목받을 만큼 두드러지게 성장하였음을 뜻하는 사실이기도 하다. 이 글에서는 김헌창의 난과 관련 사료를 치밀하게 분석하여 그 원인과 배경, 참여범위 경과 등을 새롭게 살펴보고 나아가 그를 토대로 성격과 영향을 구체적으로 밝혀보고자 시도한 것이다. 난이 수습된 이후 진행과정에서 드러난 신라사회의 모순구조를 해소하고자 하였으나 그것은 미봉책일 뿐 근본적인 치유책은 되지 못하였다. 그나마 신라사회가 100여년 더 지속되게 된 것은 어쩌면 김헌창 난 덕분일지도 모른다. Kim Hun-Chang's Riot has not attracted a significant attention till now, in spite of its importance in the development of Silla history. Mostly, only an extremely small part of it has been dealt in the discussion of the political process of its later period. Although the Riot itself ended in failure, a strong will shown by it to discontinue the Silla dynasty can be read in its hanging up a new name of the nation. It reflects that the leading power of the Riot had correctly recognized the structural contradiction within the Silla society and had the intention to reform it. In addition, its efforts to restore the custom of using the independent name of an era which had disappeared long time ago should be deeply appreciated. It is because the leading power advocated an establishment of a new kind of nation that distinguished itself from the established Shilla dynasty in its strong independent spirit. Meanwhile, it is remarkable that a powerful nobility from Peking as a provincial governor instigated the local people to a rebellion. It is because we can predict from the Riot the subsequent appearance of the military power (군진세력) Chang Bo-Go and, furthermore, a cornerstone for the establishment of Post-Three Countries in the far future. Kim Hun-Chang’s Riot could be a clue to the phenomenon through which the political and social center of gravity was gradually transferred to the province. It means that the province had conspicuously developed both politically and socially as to be worthy of a great notice. In this article I attempted to examine the cause and background of the Riot, closely by analyzing Kim Hung-Chang's Riot and its related historical materials, and to illuminate the character and effect of the Riot in the concrete. After the Riot had been settled, Silla dynasty tried to solve the contradictory structure of its society revealed in the process, but it just ended as a makeshift, not a fundamental redress. Probably it was by virtue of Kim Hun-Chang’s Riot that the Silla society had continued for more than 100 years afterwards.

      • KCI등재

        신라 骨品制 연구의 새로운 傾向과 課題

        朱甫暾(Ju Bo-Don) 한국고대사학회 2009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54

        이 논문은 대략 1980년대 이후 행해진 골품제 관련 연구 성과를 그 이전의 그것에 견주에 정리함으로써 특징적 양상을 살펴보고 나아가 앞으로 과제를 전망해 보려는 의도로 작성된 것이다. 기존의 연구가 골품제의 성립기에 만들어진 특성이 해체기에 이르기까지 유지된 것으로 경직되게 봄이 특징적이었다. 이를테면 골품제의 기본적 구조가 거의 변함없이 유지된 점, 지방민은 골품제에 편입되지 못하였다고 본 점, 신분 하강은 일반적으로 이루어졌으나 하강은 불가능한 점 등등이다. 그러나 새로운 연구에서는 새로운 계층이 생성되어 구조가 변화한 점, 지방민도 골품제 속으로 편입된 점, 신분 하강만이 아니라 상승도 가능한 점 등등이 지적되었다. 그 특징과 문제점을 지적함으로써 장차의 논의를 활발하게 진행할 실마리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achievements of the Golpum system done after 1980s and its future task by comparing with the research outcomes in the past. The existing research on Golpum system show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Golpum system have not underwent significant changes from the beginning to the deconstruction of the system. The characteristics include that the basic structure of the Golpum was not changed, and the people living in the provinces can not be included in the Golpum system, and finally, the rise of status was impossible while the fall of status was done. However, the new research indicates that the structure of Golpum was changed with the advent of new social class. Also, the people in the provinces were included in the Golpum system, and finally, the rise of social position as well as the fall of the social position was possible. I offer the possibility of the active debate on the Golpum system by suggesting some characteristics and problematics of the system.

      • KCI등재

        浦項 中城里新羅碑에 대한 硏究 展望

        朱甫暾(Ju Bo-Don) 한국고대사학회 2010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59

        2009년 봄 포항에서 중성리신라비로 명명된 새로운 신라비가 발견되었다. 이 비는 여러 가지 측면에서 볼 때 지금까지 알려진 신라 금석문 가운데 연대가 가장 이른 시기의 것으로 판명되었다. 그 연대는 대체로 501년으로 보는 쪽으로 정리되었다. 그러나 비문의 문장이 고졸하고 복잡하며 또한 처음 접하는 용어로 말미암아 내용 파악이 쉽지가 않아 논자 들 사이에 의견이 합치되지 못하고 있는 형편이다. 이 글에서는 그런 결과를 갖고 오게 된 요인의 하나로서 그 동안 진행된 접근방법상에서 심각하게 반성해 보아야 할 근본적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다고 진단하였다. 이에 비문에 담겨진 내용을 선명하게 드러내기 위해서는 지나친 선입견을 버리고 虛心한 자세로 비문 자체를 치밀하게 분석하는 새로운 방법론이 동원되어야 함을 각별히 강조하면서 그 구체적인 실례를 소개하였다. 나아가 본 비의 발견이 갖는 의의와 의미를 지적하는 한편 장차 논의의 진전을 위하여 밝혀져야 할 몇몇 과제를 제기함으로써 연구 진행상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A new Silla-stele which has been named Jungseong-ri Silla-stele was found in Pohang in spring in 2009. It has been proved that this stele is the earliest one in many aspects among the inscriptions known so far. It seems that the stele was built in about 501. However, because the sentences on it are very old, complicated and the new terms that have never been known make it difficult for scholars to understand them fully, it is not easy to agree with the supposed date. I want to point out that the reason why we have this result is because of the way which we have been approaching it and I also claim that there are some fundamental problems to think about. To get the evident contents from the inscription, we definitely need to have a new way to analyze the sentences precisely with our open-minded attitude, putting aside some prejudiced and narrow-minded attitude. Therefore, I wish to introduce some specific examples about it. I also wish to address the meaning of discovering the new stele and bring up a few assignments for future discussion.

      • KCI등재

        百濟 七支刀의 의미

        朱甫暾(Ju Bo-Don) 한국고대사학회 2011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62

        일본의 이소노까미징구(石上神宮)에 소장되어 있는 백제 제작의 七支刀는 1874년 발견된 이후 지금까지 백 수십년 동안 韓日 두 학계의 논쟁거리가 되어 왔다. 연구의 밑바탕에는 당시의 정치적인 사정뿐만 아니라 민족적인 시각과 입장까지 자리하고 있어 해석이 평행선을 달려 통설은 없다. 그와 같은 근본적인 입장 차이가 拂拭되지 않는 한 앞으로도 견해 차이가 좁혀질 가능성은 별로 보이지 않음이 실상이다. 필자는 어느 한 쪽도 완전하지는 못하지만 각기 일부의 진실을 지녔을 것이라는 절충론적인 시각에서 문제를 해명하여 보고자 하였다. 주된 대상은 칠지도에 보이는 年號의 歸屬, 제작의 배경과 목적 등이었다. 그 결과 칠지도에는 백제 近肖古王이 369년 치룬 고구려와의 싸움에서 승리한 뒤 내부 체제를 정비하면서 스스로 皇帝라는 의식을 갖고 연호를 처음 사용하기 시작한 내용이 들어 있다고 보았다. 나아가 백제는 371년 다시 고구려의 故國原王을 戰死시켰는데 그에 대비할 목적에서 372년 동진과 통교하여 우호관계를 맺고 그리고 倭와 군사적 동맹관계를 맺을 목적에서 칠지도를 제작하여 보내었다고 보았다. 이 칠지도는 『日本書紀』 신공기에 보이는 바로 그것이라고 해석하였다. 이렇게 풀이함으로써 『日本書紀』에 보이는 한반도 관계 기사를 비판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端緖도 확보하는 효과를 거두었다고 하겠다. Chiljido, made by Baekje dynasty and currently held at Isonokamijinggu(石上神宮) in Japan, has long been controversial since its discovery in the year of 1874. At the heart of the controversy lie an unclear political situation at the time and disparate cultural perspectives of the treasure interweaved with national interests of the two countries. By maintaining an impartial and collective view of divergent historical material of the two countries, this paper uncovers the following. The King of Geonchogo(近肖古王) of Baekje dynasty defeated Goguryo in A.D.369, and began to use an era name, proclaiming himself as an emperor. In A.D.371, the Baekje dynasty won another victory against Goguryo by killing its king Gokugwon(故國原王) in a battle. In preparation for an expected counterattack, Baekje had to enforce its alliances with the surrounding countries. Baekje first entered into a friendly relation with the Chinese dynasty Tongjin in A.D.372, and it also wanted to form a military alliance with the Japanese dynasty Wa(倭). Chiljido was thus made and presented to Wa(倭) for this end. The era name inscribed on Chiljido supports the reasoning here. The name of Chiljido also appears on Singonggi(神功紀) of Japanese historical document Nihonsoki(日本書紀). This interpretation of Chiljido helps us maintaining a critical view of a Japanese description of Korean xxx in Nihonsoki as well.

      • KCI등재후보

        새로운 대가야사(大加耶史)의 정립(定立)을 위하여 -연구상(硏究上)의 새로운 도약(跳躍)을 기대하며-

        주보돈 ( Bo Don Ju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08 嶺南學 Vol.0 No.13

        본 논문은 그 동안 가야사연구 동향을 되돌아보면서 기왕에 大勢를 이루고 있다시피 한 金官國 중심의 경향을 비판하고 大加耶를 주체로 하여 가야사의 흐름을 나름대로 정리해 보고자 시도한 것이다. 대체로 4세기 전반에는 弁韓에서 가야로의 변화가 있었던 것으로 간주하고 이후 대가야사의 전개과정을 추적해 보았다. 그 결과 대가야사는 562년 新羅에 의해 완전히 멸망할 때까지 200여년 기간 동안을 크게 母胎期, 成立期, 百濟의 干涉期, 自立期, 沒落期로 나누어 볼 수가 있었다. 이는 물론 전적으로 필자의 創意에 근거한 것만은 아니며 기왕에도 비슷한 견해가 제기된 바 있으나 일관된 시각에서 대가야사 전체를 그렇게 정리한 것은 첫 시도라 하겠다. 비록 대가야사 관련 사료는 빈약하기 이를 데 없는 형편이지만 이 글을 통하여 대략적인 흐름은 짐작할 수 있게 되었다고 판단한다. 대가야사의 체계적 理解에 일정 정도 기여한 데에 본 논문이 지닌 의미가 있다. This paper attempts to criticize the major research tendency to focus on Kumkwangook and to state the stream of the history of Kaya, from the perspective of Great Kaya as a subject. I considered that roughly in the early part of the fourth century Byunhan became Kaya, and pursued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Great Gaya thereafter. As the result, the history of Great Gaya could be classified into largely the period of womb, the period of coming into existence, the period of interruption by Baekje, the period of self-reliance, the period of collapse, for about 200 years until it had been completed destroyed by Shilla in 562. Of course this view is not based only on my original idea but there were similar views in the past, but my paper is the first attempt to sum up the whole history of Great Gaya from a consistent point of view. Although there are very scanty number of related historical materials concerning the history of Great Kaya, this paper enables to guess its general stream of history. This paper would be meaningful in that it contributes a bit to the systematic understanding of Great Gaya.

      • KCI등재

        역사철학 : 7세기(世紀) 나당관계(羅唐關係)의 시말(始末)

        주보돈 ( Bo Don Ju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1 嶺南學 Vol.0 No.20

        7세기 동아시아는 격동기였다. 오래도록 분열 상태였던 중국 대륙에 隋와 唐이라는 통일정권이 등장하면서 새로운 질서 재편을 도모하고 있었다. 바로 그때 한반도에서는 고구려 백제 신라의 삼국간 생존을 위한 角逐戰이 치열하게 전개되었다. 어떻게 그들 사이의 관계가 정리되느냐에 따라 전개과정은 판이하게 달라질 상태였다. 마침내 당과 신라가 긴밀한 관계를 맺게 되면서 백제와 고구려를 멸망시키기에 이르렀다. 백제와 고구려가 멸망한 뒤 최후로 신라와 당의 한판 대결이 불가피하였다. 두 나라의 내부 사정을 깊숙이 들여다보면 전쟁의 목적과 방향이 달랐다. 그로 말미암아 나당의 동맹관계는 고구려와 백제를 공략하기 위한 일시적 수단에 지나지 않았다. 그리하여 두 나라는 설정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마침내 직접 대결할 수밖에 없었다. 그처럼 신라와 당은 각기 다른 생각을 갖고 동맹관계를 맺고 있었던 것이다. 기왕에 그런 사정이 치밀하게 검토되지 않았다. 이를테면 김춘추와 당태종이 동맹관계를 맺는 과정과 그 성격, 그 내부적인 상태, 그리고 왜 660년에 이르러 백제를 공략한 것인지 등등에 대해서는 전후맥락이 닿게 검토되지를 못하였다. 이 글에서는 7세기 나당관계의 시말 전반을 槪觀하면서 그런 점이 갖는 의미의 一端을 대략이나마 지적하여 두었다.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검토는 다음의 과제로 남겨두었다. East Asia was in the middle of turbulent times in the 7th century. For a long period, the Chinese Continent had been divided but as the unified regimes, such as the Sui Dynasty and the Dang Dynasty seized the integral power on the continent/ unified the whole continent the new order began to take place. At that time, on the Korean peninsula the Three States, Goguryeo, Baekje, and Silla engaged in a heated competition for survival. The developments of history would differ greatly depending on how their relation would settle down. At last, the Tang Dynasty and the Silla Dynasty had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each other to overthrow the kingdoms of Goguryeo and Baekje. After Baekje and Goguryeo fell into the ground, the Silla-Tang war could not be avoided in the last resort. The scrutiny into the innermost situations of the two states implied that the objectives and directions of the war for each country were different. Accordingly, the alliance between Silla and Tang was just a temporary means to attack Goguryeo and Baekje. So, the two states had to be in a confrontation against each other with a view to achieving their own goals. In this manner, Silla and Tang dreamed of the two different purposes while keeping ties with each other. Those circumstances were not carefully examined before. In other words, the overall context could not be understood, for example, the process how Kim Chun Chu and Emperor Taizong of Tang became allied with each other and the characteristic and internal situation of the alliance, and the reason why they happened to attack Baekje as late as in 660, etc. This article points out at least part of such an implication by taking a survey of the whole story about the Silla-Tang relation in the 7th century. A More detailed and systematic review is left for the further study.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