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태아 슬관절 발육에 관한 전자현미경적 연구

        김백윤,주기중,남광일,윤재룡,Kim, Baik-Yoon,Joo, Ki-Jung,Nam, Kwang-Il,Yoon, Jae-Rhyong 한국현미경학회 2000 Applied microscopy Vol.30 No.2

        슬관절은 발생초 중간대에서 관절원판, 관절내인대 및 활액막세포들이 분화, 발육한다. 최근 관절경을 이용한 수술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이때 관절내 구조들의 재생과정을 이해하기 위하여 이들의 발육과정을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함은 매우 의의 있는 일이라 생각된다. 본 연구는 태생 초기부터 말기까지의 인태아를 대상으로 슬관절의 관절강 발생에서 중간대의 중간층세포의 운명과 활액막, 관절원판 및 관절내인대의 분화, 발육과정을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좌고 30mm(태령 9주)때 십자인대와 관절원판의 원기들이 출현하였고 초기 관절강은 40mm(태령 10주)때 중간대의 중간층이 연골형성층에 결합하여 출현하였다. 반월연골은 60mm(태령 12주)때 간엽세포에서 섬유모세포로 분화하였고 100mm(태령 15주)때 섬유모세포는 내측에서는 난원형을, 중간과 외측에서는 장타원형을 각각 취하였다. 260mm(태령 30주)때 교원섬유의 주행은 내측에서 평행히 달리고 중간에서는 평행 또는 방사상 방향을, 외측에서는 상호교차 방향을 하고 있었다. 십자인대는 30mm때 섬유모세포로 분화하였고 세포질에 조면내형질망과 사립체를 함유하고 있었다. 교원원섬유는 섬유모세포의 돌기내에서 출현하였다. 100mm때는 교원 원세포는 세포의 간격을 가득 채우고 있었다. 260mm때 섬유모세포는 난원형 또는 방추상 핵을 가지고 있었고 교원섬유를 싸고 있지 않았으며 교원원섬유는 평행 또는 파상 방향으로 달리고 있었다. 활액막은 관절강의 초기 출현과 동시에 발생하였고 관절강이 확대되는 60mm때는 A와 B세포로 구분되었다. 100 mm때 활액막세포는 B세포가 대다수였고 B세포는 세포질에 다량의 조면내형질망과 잘 발달된 골지복합체를 함유하고 있었고 A세포는 사상위족, 음소포, 용해소체 및 공포를 가지고 있었다. 260mm에도 B세포가 대다수 관찰되었다.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Estradiol benzoate를 4일간 매일 일정량을 투여한 흰쥐의 난관섬모세포내 $\alpha-tubulin$의 면역반응은 estradiol 투여후 1일, 3일 및 5일군에서 강한 반응을 나타내었다. 2. Estradiol beozoate를 4일간 투여한 후 cia-platin을 투여한 흰쥐 난관섬모세포내 $\alpha-tubulin$ 반응은 cis-platin 투여 1일군과 3일군에서 약한 반응을 나타내었으나 제 5일군에서는 강한 반응으로 회복되었다. 3. Cis-platin투여한 후 제 1일 및 3일군의 흰쥐 난관 섬모세포내 $\alpha-tubulin$반응은 첨부세포질에서는 감소되었고 기저체, 섬모등에서는 $\alpha-tubulin$반응이 대조군과 비교하면 변동이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난관섬모세포내 $\alpha-tubulin$은 cis-platin투여에 의해 감소되는 것으로 결론 지을 수 있었다.調節) 작용(作用)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라 사료된다. 해수(海水)에 적응(適應)된 대부분의 틸라피아는 신장(腎臟)의 보우만 주머니를 가득 채운 신사구체(腎絲球體)를 가지고 있으며, 신사구체(腎絲球體)의 수축은 담수(淡水)에 적응된 개체보다 10%o, 20%o, 30%o에 적응된 개체에서 훨씬 더 많이 발생되었고, 울혈현상(鬱血現象)은 10%o보다 20%o, 30%o에 적응(適應)된 개체의 신장조직(腎臟組織)에서 더많이 발생되었다. 틸라피아의 신사구체(腎絲球體)는 담수(淡水)에서 10%o의 해수(海水)로 이주된지 14일(日) 이후에 신장(腎臟)에서 수축된 것으로 나타났다. 30%o의 해수(海水)에 적응(適應)된 틸라피아의 평균 신사구체(腎絲球體)의 면 The development of the knee joint was studied by electron microscopy in human fetuses ranging from 20 mm to 260 mm crown-rump length ($7\sim30$ weeks of gestational age). The appearance of the primordium of the meniscus and cruciate ligament was conspicuous as the mesenchymal cells , preceeding that of joint space at 30 mm fetus. The primitive joint cavity was first seen in the interzone from the 40 mm fetus and its intermediate layer proceeded developing as a narrow cleft which was closely incorporated with two chondrogenic layers. Poorly differentiated mesenchymal cells of the meniscus at 40 mm fetus containing predominantly free ribosomes differentiated into fibroblasts at 60 mm fetus. By 100 mm fetus, the fibroblast in inner zone of the meniscus presented as oval profiles with a short cell processes, whereas middle and peripheral zones presented as elongated cells. Differentiation of the synovial membrane coincided with clarification of the joint cavity When dilatation of the synovial cavity occurred, the two types of synovial cells were identified at 60 mm fetus. By 100 mm fetus a majority of the intimal cells were B-type. B-type cells were clearly distinguishable from A-type cells by their content of extensive rough endoplasmic reticula and well developed Golgi complexes. In contrast, A-type cells had numerous filopodia, pinocytotic vesicles, lysosomes and large vacuoles. At 260 mm fetus the B-type cells were also a majority of intimal cells. At 260 mm fetus the inner zone of the meniscus was filled with parallel oriented fascicles of collagenous fibers and oval fibroblasts. The middle zone was constituted of parallel and radially arranged fibers and fibroblasts. The outer zone was populated by elongated fibroblasts encircled by crossed collagenous fibers with the blood vessels. At 30 mm fetus the fibroblasts of the cruciate ligament contained rough endoplasmic reticula and mitochondria. Collagen fibrils were noted within narrow cytoplasmic processes which were continued with the extracellular space. Collagen fibrils of ligament were filled in the bulk of extracellular space at 100 mm fetus. By $150\sim260mm$ fetus, the cruciate ligaments were constituted of longitudinally oriented bundle of collagen fibrils with irregular rows of round cells between.

      • IS-BSC를 이용한 보건소정보시스템 성과 평가

        안봉근(An, Bong Kun),윤경일(Yoon, Keyung Il),주기중(Joo, Ki Joong) 계명대학교 산학연구소 2008 經營經濟 Vol.41 No.2

        IS-BSC는 Kaplan과 Norton의 BSC를 기반으로 조직의 정보시스템으로 인한 성과를 평가하기 위한 개념이다. 이 개념은 조직의 단기적인 성과 뿐 아니라 미래의 성장가능성을 함께 평가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닌다. 본 연구는 IS-BSC의 개념을 활용하여 보건소 조직의 형태, 목표 그리고 보건소정보시스템 구축 전략에 적합한 보건소정보시스템의 성과평가 항목 및 지표 그리고 평가모델을 제안하고 경로분석을 통해 통계적으로 검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보건소정보시스템의 효율적 활용과 이를 통해 보건소의 전략적 목표를 달성하고자 하는데 의미있는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교합성 골수강내 금속정으로 치료후 발생한 대퇴골 골절의 부정정렬

        김엽,전용범,주기중,허해룡 대한골절학회 1999 대한골절학회지 Vol.12 No.1

        Interlocking intramedullary nailing has become a common method of treatment for femoral shaft fractures in adults. But sometimes the malalignment of the femoral fracture results in pain, limb length discrepancy, and traumatic osteoarthritis of the knee, etc.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know what makes the malalignment after the femoral shaft fractures. We performed CT scan in 46 patients who had femoral shaft fractures, treated by interlocking intramedullary nailing at the orthopaedic department of the Kwangju Verterans Hospital. There were thirty-five men and eleven women, and their mean age was 36 years at the time of the operation. We measured the rotational deformity of both femurs by the CT scanning and the angulation deformity by plain radiographs in forty-six patients. We also compared the amount of the angulation and rotational deformity according to the type or the site of fracture, the degree of comminution, the time from injury to operation and the associated injury. Average angulation deformity was 2.7' in sagittal plane and 2.5 in coronal plane. Average rotational deformity was 10.2. Fourteen patients(30%) had angulation more than 5. Ten patients(22%) had rotational deformity more than 15. Angulation deformity was severe significantly at proximal 1/3 fracture, segmental fracture and severely comminuted fracture group. But becaus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rotational deformity according to the level of fracture, the amount of comminution, and associated injury, increased rotational deformity seems to be resulted from the preoperative traction and the intraoperative technique. Therefore, we must determine the accurate entry point of intramedullary nailing and reduce the fracture accurately by intraoperative ultrasonography or fluoroscop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