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언어의 유희적 기능에 대한 국어교육적 고찰

        주경희 ( Kyung Hee Chu ) 국어교육학회 2008 國語敎育學硏究 Vol.33 No.-

        국어교육현장에서 분명한 개념 정의 없이 빈번하게 사용되는 용어 중의 하나가 언어의 유희적 기능이다. 이 논문에서는 이 용어의 개념을 살펴보고 이들을 국어교육에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았다. 언어의 유희적 기능은 기표와 기의의 새로운 결합을 통하여 웃음을 유발하는 것으로 화자의 의도를 반영한 특정한 기능을 나타낸다는 점에서 지식, 기능, 맥락으로 부여되는 교육과정의 내용 요소로서 독립적 설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여러 면에서 활용 가치가 높은 용어이다. 재담은 그 본질적 특성상 언어의 관습적이고 습관적인 사용에서 벗어나는 데에서 시작한다. 이 점에서 재담에 대한 논의는 그것을 구성하는 언어 형성 방법과 분리할 수 없다. 재담을 구성하는 언어 형성 방법 중 그 빈도수가 가장 많은 언어 유희적 기능을 활용한다면 재담 교육의 여러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언어의 유희적 기능은 언어 현상이나 텍스트에 모두 사용되기 때문에 재담 교육의 대상을 분명히 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전과 현대의 시대적 구분 없이 어느 장르에서나 공통적으로 사용되므로 그간 웃음 표현에 관한 용어의 문제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제재 선택에 필요한 객관적인 기준이 될 수 있으며 성취 기준 실현을 구체적으로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재담 교육에서 활용할 수 있다. The function of pun is one of terms used without clear definition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function of pun causes laughter through new combination of signifiant and signiefie. Also this works specific function in used situation. This is appropriate as curriculum contents of knowledge, function and context in this view point. The essence of humor makes laughter unexpectedly getting out of the usual and habitual using of language and is not separated from the language making method composing the humor. The highest frequency among the language making methods is the function of pun. There for we can solve many problems of humor education to make use of it. Also we can show a standard of accomplishment of humor education. The function of pun of language is used in all the expressions causing laughter. Therefore we can overcome severance of time of classical literature and modern language usage. As it is commonly used in any genre, we can solve the problems of terms about expression of laughter. Also it can be an objective standard necessary in selecting subjects and we can concretely show realization of accomplishment standard. We can make use of it in humor education in this view point.

      • KCI등재

        면접 담화에서의 대답 방법에 대한 연구 -스토리텔링을 중심으로-

        주경희 ( Kyung Hee Chu ) 국어교육학회 2011 國語敎育學硏究 Vol.41 No.-

        면접 담화는 질문과 대답으로 이루어지는 언어 행위이다. 그러므로 국어교육에서의 교육내용 구성은 질문하는 법과 대답하는 방법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특히 학습자의 입장에서 보면 대답하는 방법에 대한 학습의 필요성이 많은데 이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다. 이 논문에서는 취업 면접에서 스토리텔링을 이용하여 대답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다. 스토리텔링은 여러 분야에서 활용하고 있다. 예를 들면 고전문학에서는 원소스 멀티유즈로서 현대적 가치를 모색하게 한다. 한국어 교육에서는 맥락 중심의 교육 내용 구성을 하는 방법론으로 제시할 수 있다. 글쓰기나 대화 등에서는 설득의 기법으로, 현대 문학에서는 다양한 매체에서의 내용 구성 방법과 관련하여 논의하고 있다. 이처럼 스토리텔링은 담화 형태로 사회적 상황과 관련된 의사소통능력을 나타내므로 국어교육의 패러다임 내에서 충분히 논의할 수 있다. 스토리텔링으로 대답을 하면 기억하기 쉽고, 감동을 주며, 설득적이므로 단순히 사실만을 전달하는 대답보다는 효율적이다. 이에 이 논문에서는 스토리텔링을 위한 소재 선택 방법, 구성 방법 그리고 평가 방법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An Interview is a discourse consisting of questions and answers, therefore the most critical contents of an interview are how to present questions and how to answer them. From the learner`s perspective, they have greater desires to know different methods of answering questions. For that reason, this paper focuses on the answering method using storytelling approach during a job interview. Storytelling has been used in multi field. We discuss that by storytelling, we try to find modern value as one source multi use in classical literature, the context oriented education in Korean education and the strategy of persuasion in writing, conversation. Thus storytelling can be discussed in paradigm of Korean education as it shows communicative competency related to social situation in the form of discourse. It is more effective to use storytelling approach because it is easier to remember and results in stronger impression and persuasion when compared to an answer providing facts plainly. This paper presents how to choose contents, how to organize, and how to evaluate storytelling.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대명사의 특성

        주경희(Kyung Hee Chu) 한국어의미학회 2001 한국어 의미학 Vol.8 No.-

        This article discusses a few features of pronoun. First of all, I show that pronoun has unique characteristics by syntactic and pragmatic features different from those of noun. Secondly, I attempt to review the fact that pronouns replace nouns. Also, I deal with the functions of pronouns in terms of interpretation. I explain the features of the pronouns in terms of interpretation. As pronouns do not only substitute for nouns or noun phrases they relate all the context rather than just the antecedent. In this article I discuss that pronouns have their own meaning and function more than just the function of substitution. Therefore the context which is larger than a sentence should be object of research. It is not the extension of the research unit. But the choice of pronoun, it`s function and it`s interpretation change depending the type of the text.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