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17세기 시조 한역의 성격과 의미

        조해숙 배달말학회 2003 배달말 Vol.33 No.-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aspect of a Classical Chinese translation of Sijo in the 17th century and its literary-historical meaning.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re are two methods of Classical Chinese translation in the late 17th century. The one is to transform Sijo into Sino-Korean poetry privately, and the other is to convey Sijo just as like that in accordance with the surroundings of a performance. The former is to take over the aspect of a Classical Chinese translation until the 16th century, while, the latter is to show a new trend that takes a serious view of Sijo music and is eager to record Sijo. The early stage of Classical Chinese Translation of Sijo is an experimental and fragmentary work which is not only customary but also regarded as an expediency. Arriving around the late 17th century and the early 18th century, it shows a trend of generalization by many authors. Two methods of Classical Chinese translation, a 'representation' for 'record' and a 'conversion-to-poem' by 'conversion-to-self, can be understood as a transitional figure in the history of Classical Chinese translation of Sijo. The process of Classical Chinese translation of Sijo puts a series of repetitional process into its own body. With studying such Classical Chinese translation of Sijo, we'll be able to step up to literary-historical facts of late Chosun more concretely and precisely.

      • KCI등재

        <關東別曲> 한역의 추이와 그 시가사적 의미 ― 兪漢宰의 『山雷關尺牘』 소재 한역시 검토를 중심으로

        조해숙 한국한시학회 2008 韓國漢詩硏究 Vol.16 No.-

        이 논문은 조선전기 대표적 가사인 정철의 <관동별곡>이 17세기 이후 거듭 한역된 양상을 고찰하고 이를 통해 가사 한역이 지니는 시가사적 의미를 밝히고자 하였다. 국문시가의 한역은 대개 작품이 창작되고 난 후 상당한 전파와 확산을 거친 후 한역을 시도하게 되므로, 한역 작품의 존재 자체가 그 시기 국문시가의 수용과 향유 방식에 관한 지표 역할을 한다. 가사 한역은 시조 한역에 비해 한역을 시도한 작가나 대상 작품이 매우 제한적이어서, 여태까지 가사 한역 작품을 본격 고찰하고 적극적으로 의미를 부여한 연구는 드물다. 현재까지 발견된 가사 한역 대상 작품은 10여 편에 불과하나, 정철이 지은 네 편의 가사는 모두 여러 차례 한역되었다. 특히 <관동별곡>은 가장 일찍부터 이름난 문인들에 의해 한역되었는데, 학계에 널리 알려진 한역시들 및 관련 기록은 17세기의 것이었다. 이들로부터 <관동별곡>에 대한 당대의 관심과 평가가 대단하였을 뿐만 아니라, 작품의 향유 방식이나 한역자의 취향에 따른 다양한 수용 태도가 당시에 존재했음을 알 수 있다. 초기 한역 시기를 벗어난 18세기 이후의 <관동별곡> 한역 양상은 알 수 없었는데, 최근에 19세기 申升求(1810~1864)의 한역시가 발견, 소개되었다. 그의 한역시는 초기 한역시들과는 대조적으로 가사의 의식과 내용에 최대한 충실하려는 한역 태도를 보인다. 본고에서는 18세기 후반 兪漢宰(1757~1817)가 엮은 『山雷關尺牘』 소재 <관동별곡> 한역시를 소개하고 그 성격을 살펴 이들 사이의 연결 근거를 논의하였다. 유한재의 한역은 가사 1행을 대부분 5언 2구로 옮겨 간결하고 자유로운 한역 방식을 택하고, 우리말의 섬세하고 미묘한 표현 또한 함축적으로 최대한 살려낸 반면, 가사에서 감탄 혹은 설의적 의문을 통해 시적화자의 정서를 드러낸 부분은 한역에서 제외하였다. 이러한 한역 태도는 일차적으로 척독 문학의 성격과 관련되며, 다른 한편으로 한역자가 시적 서정성을 강화하려는 의식을 지니면서도 평이한 어휘에 의한 정경 묘사에 치중함으로써 독자 스스로 내면의 정서적 고양을 체험하도록 하려는 의식을 지닌 데서 비롯한 것이다. 곧 그의 한역시는 18세기 문인들의 문학적 지향과 함께 유한재 개인의 의식을 동시에 보여준다. <관동별곡> 한역의 추이에 대한 고찰은 시가사적 문제를 해결하는 데 유효한 실마리를 제공하기도 한다. 17세기 한역시들에서 보듯 문인들의 <관동별곡> 수용은 초기에 보다 다양하고 개성적이었으며, 이후 변화하는 시대의 문학의식을 반영하며 향유되다가, 오히려 19세기에 이르면 가사 본래의 내용과 의식을 전달하는 데 치중한다. 가사 한역에서 정철의 창작시기와 가까울수록 한시다운 변용과 한역자의 취향이 과감하게 나타난 반면, 후대로 올수록 가사 원작의 의식과 내용에 최대한 충실하려는 소극적 태도를 보이는 것이다. 이를 가사 한역의 동기와 관련시켜보면, 가사 한역의 목적은 본래 한시 향유층에 의한 희작(戱作), 또는 문자에 의한 기록성 추구 정도에 그치지 않고, 일종의 재창작에 가까운 변용을 추구하거나 당대 문인들의 의식과 취향을 반영하는 하나의 방식이었다고 하겠다. 그러므로 한역의 의도와 방향 규명은 가사의 수용과 향유 과정을 단계적으로 해명하는 중요한 단서가 될 수 있다. 또 <관동별곡> 경우처럼 동일 가사가 반복해서 한역된 양상을 살피는 것은 국문시가의 향유와 ... The aim of this paper is to consider the aspects of the Chinese translation of Jeong Cheol(鄭澈)'s 「GwanDongByeolGok」which is a representative work of early Gasa(前期歌辭), and to examine the meaning of the Chinese translation of Gasa(歌辭). The results are as follow. All four pieces of Jeong Cheol's Gasa had been translated into Chinese over and over again, and 「GwanDongByeolGok」was translated in earliest by well-known writers. The Chinese translated poems and their relational records in 17th century show us two facts that the interest and evaluation of the day about 「GwanDongByeolGok」was great, and that various enjoying ways and accepting attitudes about the work according to translaters' tastes existed. On the contrary, Shin Seung-Gu(申昇求)'s Chinese translated poem in 19th century which has just been found and introduced let us see the translation attitude being faithful to the consciousness and content of the original work of 「GwanDongByeolGok」. I could connect both of the 17th century's and 19th century's, with the Chinese translation poem of 「GwanDongByeolGok」in 『SanRoe GwanCheokDok(山雷觀尺牘)』 which was edited by Yu Han-Jae(兪漢宰 ) in late 18th century. His translation mostly shifted 1 line of Gasa to 5 syllable 2 verse of HanSi(漢詩), and tried to vivify delicate and subtle expressions of Korean language. He emphasized to describe a scene with using easy and everyday words, though he wanted to strengthen the lyricism of poetry. We can consider it as an inclination of 18th century writers and his personal consciousness. To accept 「GwanDongByeolGok」was more various and personal in early stage, but it focused on conveying the original consciousness and content faithfully in 19th century. It may be summarized like this. The nearer it was to Jeong Cheol's creating time, the more daringly HanSi-like transformations and translaters' tastes appeared; and the later it became, the more passively they did. The translation of Korean poems into Chinese was a kind of re-creation, and it was possible for translaters to pursue their individualities and incorporate tastes by Chinese translation. I could approach the process of enjoyment and accession of Korean medieval poetry both synchronically and diachronically, by observing carefully the process that a same work of Gasa as for 「GwanDongByeolGok」had been translated into Chinese repeatedly.

      • KCI등재

        조선후기 시가 속의 여성 인물 형상(1)

        조해숙 국문학회 2013 국문학연구 Vol.0 No.27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aspect of the relation between literature and social history, with focusing on the new and various characters in the narrative-oriented gasa texts of the Late Choseon. Main targets to analyze are the female characters in YongBuGa(용부가), BokSeonHwaEumGa(복선화음가), DenDongEoMiHwaJeonGa(덴동어미화전가), NoCheoNyeoGa(노처녀가), SinGaJeon(신가전). The females in the texts experience troubles and crises related with each one's marriage, go through channels to overcome or depart from it, and arrive at the end of reward and punishment. Based on it, I can interpret the ideal and the desire of gasa's enjoying group of those days. The enjoying group showed an ambivalent attitude about the reality elements such as wealthy and labor, raised the problem of stability and settlement in a community, and emphasized the responsibility of the independent life to follow the fortunes and to know one's place. The phenomenon itself that female characters stood out in the late gasa is worth noticing. The narrative elements in the texts of the character-oriented gasa have different functions and qualities than what are in the works of novel do. The readers of novel appreciate a work based upon the premise of typicality, but the readers of gasa appreciate a work to understand and empathize the realistic elements and the reality of the character. The character-oriented gasa is a good literary example that a traditional poetry form didn't stay at an immobilized frame but respond to the changes required by the real society. 문학과 사회사의 관련 양상을 논할 때, 조선후기의 서사지향 가사 작품들은 적절한 논의 대상이다. 본고는 조선후기 가사 속에 새롭고 다양한 인물이 등장하고 있는 점에 주목하고, 특히 여성 인물의 형상을 담은 작품들을 분석해 그 양상과 의미를 살폈다. 주된 분석 대상은 <용부가>, ‘복선화음가’ 계열 가사, <덴동어미화전가>, <노처녀가>, <신가전>의 주인공 여성들이다. 작품 속에 형상화된 여성 인물들은 결혼과 관련하여 고난과 위기를 겪고 이를 극복하거나 이로부터 일탈하는 과정을 거쳐 상벌의 결말에 이른다. 이러한 여성 인물의 현실 모습을 바탕으로 당대 가사 향유층이 추구한 이상과 욕망을 논할 수 있다. 향유층은 부(富)와 노동이라는 현실 요소에 대해 양면적 태도를 보이며, 삶의 태도 면에서 공동체 내에서 안정과 정착 문제를 자주 제기하고 삶의 주체적 책임을 강조한 운명론 내지 분수론을 역설하였다. 후기가사 작품들에서 여성 인물이 부각되고 유형화하는 현상은 그 자체만으로 주목할 만하다. 인물 중심 가사작품들의 서사적 요소는 소설의 그것과는 다른 기능과 성격을 지닌다. 소설의 독자가 인물의 전형성을 전제하고서 작품을 수용하는 반면, 가사의 독자는 인물의 현실 요소와 현실성을 이해하거나 공감하면서 작품을 수용한다. 인물 중심 가사는 전통적 시가양식이 고정된 틀에 머무르지 않고 조선후기 현실이 요구하는 변화에 대응한 문학적 사례로서 의미를 지닌다.

      • KCI등재

        설화교육의 수준별 적용과 한계- 초?중등교과서에 수록된 설화를 중심으로 -

        조해숙 한국구비문학회 2006 口碑文學硏究 Vol.0 No.23

        The Application and Limitation by Level in Narrative Education- Focused on the narration printed in both elementary and secondary textbooks Seo, Hae Sug(Chonnam National University)This paper is about how to be educated according to the level of learning the narration printed in both elementary and secondary textbooks, a way that we have recognized to be the educational signification and limitation. 구비문학 가운데서 설화는 여느 장르에 비해 교육 제재로 적극 활용되고 있다. 설화 가운데서도 특히 동화, 전설, 민담 등은 일찍이 문학 교재로 채택되어 교육적 수용의 좋은 모델이 되어 왔다. 이는 설화가 시대를 초월한 교훈과 윤리를 담고 있다는 점에서, 그리고 이를 통해 문학교육의 중요한 목표인 상상력을 고양하고 수용자의 미적 체험과 세계관을 확장시킬 수 있다는 점, 여느 장르와는 달리 누구나 말하고 들을 수 있으며 이를 재구성할 수 있다는 점에서 교육 제재로 적극 활용되고 있고, 다양한 교육 방법이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설화가 실제로 초중등교과서에서 어떻게 교육되고 있는지 살펴본 결과, 초등학교 국어의 <읽기>, <쓰기>, <말하기>, <듣기> 교과서에서는 다양한 학습방법을 동원하여 점층적, 학년별, 단계별로 층위화하여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중등교육에서의 설화교육은 초등교육과는 달리 설화의 내용 이해, 서사구조 파악, 구비문학적 특성만을 탐색하는 것으로 학습이 이루어지고 있다. 설화교육은 국어교육이나 문학교육과 함께 하면서도 설화의 본래적 기능과 상응할 때 비로소 교육적 효과가 증대된다. 초등교육에서 설화는 읽기, 말하기, 듣기, 쓰기 능력을 배양하기 위한 방법으로 궁극적으로 광의의 국어교육을 실현하고 있는 반면, 중등교육에서 설화는 내용, 구조, 개념, 특성 등을 파악함으로써 문학교육을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장치로만 활용되고 있고 읽기 중심의 교수, 학습방법으로 획일화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설화교육을 위한 다양한 교육 영역의 개발과 함께 이를 비판하고 이해하는 활동 그리고 자신의 사상이나 정서를 창의적으로 표현하는 언어활동 등이 교과과정에 지속적으로 적용되면서, 아울러 문학작품으로써 설화에 대한 세세한 분석과 이해가 병행되어야 한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