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교육용 어휘의 단위

        조창규 국어교육학회 2002 國語敎育學硏究 Vol.14 No.-

        어휘 교육에 대한 관심의 제고와 함계 다양한 논의가 있었으나 교육용 어휘의 단위에 대한 논의는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교육용 어휘의 단위로 이용될 가능성이 있는 언어 단위인 ‘형태소, 단어, 어휘소’가 각각 교육용 어휘의 단위가 되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검토하였다. 세 언어 단위를 검토한 결과. ‘형태소’는 공시성과 통시성이 고려되지 않은 언어 단위로, 교육용 어휘의 단위로서는 부적합 하다고 판단하였다. 단어는 형태소나 어휘소가 갖는 문제점 일부를 해결할 수는 있었으나, 여전히 ‘관용구 처리, 생산적 접사의 제외, 생산적 접사에 의해 생성된 단어의 개별적 등재와 교육’과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지 못했다. 마지막으로 어휘소는 두 가지로 나누어 검토하였는데 ‘ 어휘소Ⅰ’는 ‘단어의 여러 변이형을 대표하는 추상적 단위’로, 앞선 언어 단위가 갖는 문제점을 대부분 해결하여 매력이 있었다. 하지만, 여전히 미해결 상태로 남겨두어야 할 문제점이 있음을 확인 하였다. 검토한 언어 단위들 모두 일정한 문제점이 있어서 피자는 어휘소의 개념을 보다 폭넓게 규정하여 그것을 ‘어휘소Ⅲ’이라 하고 이것을 어휘 교육의 단위로 제안하였다. ‘어휘소Ⅲ’은 부차적인 문제를 제외하면. 검토한 언어 단위가 갖는 문제점을 모두 극복한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in this paper is two. One is to examine units of educational vocabularly; morpheme, word and lexeme. The other is to seek out the best unit among these three as units of educational vocabulary. A morpheme is a linguistic unit which does not regard synchronic and diachronic one. Therefore it is excluded from an educational vocabulary unit. A word is excluded also, because it has many problems. A definition of the terminology :Lexeme" is two. One is "synchronically a meaningful minimal unit". The other is "an abstract unit that represents variations of words". But these concepts are not sufficient. Hence I revise the notion of lexeme and designate lexmeⅢ. It is defined as follows.(1) sysnchronically a meaningful minimal unit. (2) a unit that includes all of inflections of the rood word. (3) an item that functions as a single meaning unit, regardless of the number of words it contain. Excepting secondary questions lexemeⅢ settles all problems. Consequently, I conclude that lexemeⅢ is suitable as an educational vocabulary unit.

      • KCI등재

        국어 음운 변동의 교육 방법 -개념 획득 학습 모형과 음운 체계 이용을 중심으로-

        조창규 한국언어문학회 2012 한국언어문학 Vol.83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pply Concept Attainment Teaching Model(CATM) and to use phonological systems in Korean phonology teaching. CATM composes with four steps, which is to present examples and non-examples, to set hypothesis, to test hypothesis and to generalize. Since this model is easier to Inquiry Learning Method, it is easy to apply to low grade students and to reach instructional objectives. And yet, CATM has similar advantages to Inquiry Learning Method; to cultivate inquiring mind, to raise abilities of finding out knowledge and to keep a resolutive and applicable capability, etc. Phonological changes or variations are needed to teach connecting with phonological systems in Korean phonology teaching. Because we can explain most phonological phenomena which are connected with consonants or vowels by phonological system. By doing so, a teacher can explain several phonological phenomena at once and students are able to know phonological order well.

      • KCI등재

        19세기 한국어의 의성어 연구

        조창규 인문사회 21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3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onomatopoeia in the nineteenth century, focusing on the onomatopoeia extracted from the 19th century manuscripts of Shin JaeHyo Pansori words, Pansori novels, and other Korean novels. The following is a summary of the discussions. First, about 300 Korean onomatopoeia in the nineteenth century are identified. Second, the vocabulary that can be used both mostly transformed from onomatopoeia to mimetic words but the reverse was also possible to extend function. Third, although the onomatopoeia expresses the auditory image experienced by the speaker, it could be intentionally changed to express the intention of the speaker according to the situation or context. Fourth, the 19th Century onomatopoeia words were those that preceded, transformed, and newly used. This study can be a basis for understanding the onomatopoeia of modern Korean. Also, it will enrich the historical research of onomatopoeia, and can be used for the production of onomatopoeic dictionary and Korean onomatopoeic education. 본고는 19세기 문헌인 신재효의 판소리 사설집과 판소리계 소설, 기타 한글 소설 등에서 추출한 의성어를 대상으로 19세기 한국어 의성어의 특성을 밝히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논의된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19세기 한국어 의성어로 약 300여 개가 확인된다. 둘째, 의성어와 의태어로 모두 쓰일 수 있는 어휘들은 의성어에서 의태어로 전성되는 것이 주된 방향이나 의태어가 의성어로 기능이 확대되는 것도 가능했다. 셋째, 의성어는 화자가 경험한 청각적 영상을 묘사하기도 하지만, 상황이나 맥락에 따라 화자의 의도를 표현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변용될 수 있었다. 넷째, 19세기의 의성어들은 그 이전 시기의 것들이 이어진 것들도 있고, 변형된 것도 있으며, 새로 쓰이게 된 것들도 있었다. 본 연구는 현대 한국어의 의성어를 이해할 수 있는 토대가 될 수 있다. 또한 의성어의 역사적 연구를 풍부하게 하여줄 것이며, 의성어 사전 제작, 한국어 의성어의 교육 등에 이용될 수 있다.

      • KCI등재

        19세기 한국어의 의태어 형성 접미사 연구(Ⅱ)

        조창규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6

        19세기 한국어의 의태어 형성 접미사 연구(Ⅱ)조 창 규** 연구 목적: 19세기 한국어에서 의태어를 형성하는 접미사를 공시적으로 분석하는 데에 있다. 연구 방법: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의 순서로 자료를 분석할 것이다. 먼저, 19세기 문헌 22종에서 의태어를 추출한다. 다음으로, 추출된 의태어 중 접미사에 의해 파생된 어휘들을 분류한다. 마지막으로, 세 가지 기준을 적용하여 접미사들을 분석해 낸다. 연구 내용: 본고에서 분석 대상으로 삼은 접미사는 선행 연구들에서 논의되지 않은 ‘-금/-음, -걱/-억, -실, -은’ 그리고 기타 접미사들이다. 결론 및 제언: 19세기로 한정할 때, 의태어 형성 접미사들은 자립적인 어근뿐만 아니라 비자립적인 어근에도 결합하여 의태어를 형성한다. 이들 중 상당 부분은 어근을 확인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한계가 있으나, 이는 더 많은 자료를 확보한 후속 연구를 통해 밝히도록 하겠다. 이 연구는 선행 연구의 빈칸을 채우고, 19세기 한국어에서 의태어 형성 접미사의 전반적 양상을 파악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이다. 핵심어: 의태어, 의태어 형성 접미사, 19세기 한국어, 공시적, 비자립적 어근 □ 접수일: 2022년 11월 8일, 수정일: 2022년 12월 2일, 게재확정일: 2022년 12월 20일* 이 논문은 2022학년도 원광대학교 교내 연구비 지원을 받았음. ** 원광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Professor, Wonkwang Univ., Email: ccgyoo@wku.ac.kr) A Study on Suffixes Forming Mimetic Wordsin the 19th Century Korean (Ⅱ)Changgyu Jo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uffixes that form mimetic words in the 19th century Korean in a synchronic manner. To achieve this purpose, I will analyze the data in the following order. First, the research method of this paper extracts mimetic words from 22 types of 19th century literature. Next, among the extracted mimetic words, vocabularies derived by the suffix are classified. Finally, I will analyze suffixes by applying three criteria. The suffixes analyzed in this paper are ‘-geum/-eum, -geok/-eok, -sil, -eun’ and other suffixes that have not been discussed in previous studies. However, limited to the 19th century, mimetic-forming suffixes form mimetic words by combining not only with independent roots but also with non-independent roots. However, there is a limitation of this study in that it is difficult to confirm the root of many of them. This problem will be revealed through follow-up studies with more data. This study will help to fill in the blanks of previous studies and to understand the overall aspects of suffixes forming mimetic words in the 19th century Korean. Key Words: Mimetic Words, Suffixes, The 19th Century Korean, Synchronic, Non-independent Root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