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셜미디어 소비자 행동별 인게이지먼트의 차이 : 좋아요, 댓글쓰기, 공유, 포스팅 행동을 중심으로

        조준혁(Cho, JunHyuk),홍다현(Hong, Dahyun),전종우(Jun, JongWoo) 한국광고홍보학회 2020 광고연구 Vol.0 No.126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 상에서의 좋아요, 댓글쓰기, 공유, 포스팅 여부에 따라 인게이지먼트의 각 차원별 수준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본 연구이다. 또한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 플랫폼별로도 특성이 다르므로 소셜미디어 전체가 아닌 플랫폼 각각에서의 소비자 행동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 이용량이 많은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유튜브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진행했다. 자료 수집은 소셜미디어를 주로 이용하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진행했다. 연구 결과, 각각의 소비자 행동별 인게이지먼트의 차원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소셜미디어별로 소비자 행동별 인게이지먼트에도 차이가 있었다. 유튜브에서는 ‘좋아요’를 클릭한 집단은 클릭하지 않은 집단에 비해 상호작용과 엔터테인먼트, 자아확인을 느끼는 정도가 높았다. 유튜브에서 ‘댓글쓰기’를 한 집단은 댓글을 쓰지 않은 집단에 비해 자아확인, 상호작용, 신속성, 권한부여 차원의 인게이지먼트가 높았다. 유튜브에서 ‘공유’를 한 집단은 공유하지 않은 집단에 비해 자아 확인, 상호작용 차원의 인게이지먼트가 높았다. 인스타그램에서 ‘포스팅’을 한 집단은 포스팅을 하지 않은 집단에 비해 자아확인, 상호작용 차원의 인게이지먼트가 높았다. 페이스북에서 ‘댓글쓰기’를 한 집단은 댓글을 쓰지 않은 집단에 비해 콘텐츠와 플랫폼에 대한 부정적 감정이 작았고 자아확인과 실용 차원의 인게이지먼트가 높았다. 페이스북에서 ‘공유’를 한 집단은 공유하지 않은 집단에 비해 실용 차원의 인게이지먼트가 높았다. 페이스북에서 ‘포스팅’을 한 집단은 포스팅을 하지 않은 집단에 비해 콘텐츠에 대한 부정적 감정이 많았고 자아확인, 혁신, 권한부여 차원의 인게이지먼트가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소셜미디어 상의 소비자 행동과 각 소셜미디어 플랫폼에 대해 보다 깊이 이해할 수 있는 학문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광고와 마케팅 분야의 실무자에게도 시사점을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the level of each dimension of engagement according to whether likes, comments, shares, or posts on social media. In addition, sinc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ocial media platform are different, this study explored consumer behavior in each platform, not the whole social media. This study was conducted by selecting Facebook, Instagram, and YouTube, which have a lot of social media usag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hrough a survey targeting college students using social media. As a result of looking through the surve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imension of engagement for each consumer behavior. In addition, there was a difference in engagement by consumer behavior by social media. On YouTube, the group who clicked ‘Like’ had a higher degree of social interaction, entertainment, and self-identification than the group who did not click. The group that ‘commented’ on YouTube had higher self-identification, interaction, promptness, and empowerment engagement than the group that did not write a comment. Groups that ‘share’ on YouTube had a higher level of self-identification and social interaction than those that did not. In ‘Instagram’, the group that posted ‘posting’ had higher self-identification and social interaction level than the group who did not post. The group that ‘commented’ on Facebook had less negative emotions about the content and platform than the group who did not write comments, and self-identification and practical use engagement were higher. The groups that ‘share’ on Facebook had higher practical use than the groups that did not share. The group who posted on Facebook had more negative feelings about content than the group who did not post, and the engagement of self-identification, innovation, and empowerment was higher. These results provide academic implications for deeper understanding of consumer behavior on social media and each social media platform, as well as implications for practitioners in the field of advertising and marketing.

      • KCI등재

        집단규범과 인게이지먼트가 신뢰도와 태도에 미치는 영향: 매개된 OOH광고 인게이지먼트 모델

        전종우(Jong Woo Jun),홍다현(Dahyun Hong),조준혁(Junhyuk Cho),이대현(Daehyun Lee) 한국OOH광고학회 2020 OOH광고학연구 Vol.17 No.3

        본 연구는 미국 타임스퀘어에 집행된 갤럭시 광고에 대한 소비자들의 평가를 알아본 것이다. 구체적으로 집단규범과 인게이지먼트를 중심으로 광고 신뢰도와 태도에 미치는 관계를 연구모델로 제안하였다. 연구 결과 집단규범은 인게이지먼트 구성 요인인 브랜드, 크리에이티브, 미디어 인게이지먼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게이지먼트 간의 관계에서는 브랜드 인게이지먼트가 크리에이티브 인게이지먼트와 미디어 인게이지먼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광고 신뢰도에도 크리에이티브 인게이지먼트와 미디어 인게이지먼트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광고태도에는 미디어 인게이지먼트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하지만 크리에이티브 인게이지먼트는 광고태도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고 광고 신뢰도는 태도에 제한적인 수준에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전통적인 미디어와는 다른 OOH미디어의 인게이지먼트 효과에 대하여 학문적으로는 물론 실무적으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This study explored effects of Samsung Galaxy advertising executed at the Time Square. More specifically, the research model was proposed focusing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group norm and advertising trust/attitudes toward advertising. Mediating roles of engagement were other research focuses of this study. The findings showed that group norm influenced brand, creative, and media engagement positively. Among engagement constructs, brand engagement influenced both creative and media engagement. In addition, creative and media engagement directly influenced advertising trust. Media engagement also influenced attitudes toward advertising. However, creative engagement did not influence attitudes toward advertising. We also found the limited relationship between advertising trust and attitudes toward advertising. These results could provide academic and managerial implications regarding engagement effects of OOH media that is different from traditional media.

      • Flat Panel Phased Array Antenna for 2-D Wide-Angle Beam Steering

        Ye-Bon Kim(김예본),Woo-Hee Lim(임우희),Seung-Won Oh(오승원),Junhyuk Cho(조준혁),Han Lim Lee(이한림) 대한전자공학회 2023 대한전자공학회 학술대회 Vol.2023 No.6

        This paper proposes a new refractive dielectric lay-up antenna technology which generates 2-dimensionally (E- and H-planes) wide beamwidth. The proposed antenna is a compact planar structure and thus can be effectively used for mmWave/sub-THz flat panel phased array with 2-D wide scan angles. To verify the proposed antenna, both single and 4x4 array structures in E- and H- planes were fabricated and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patch antenna at 28 GHz. The array antennas are integrated with a 4-channel beamforming IC to perform beam scanning. The proposed 4x4 array antenna measured scan angle in E-plane and Hplane were 156° and 156° whereas the conventional patch antenna showed the measured scan angle in E- and H- planes of 90° and 86° at 28 GHz. Lastly, high speed modulation test is also performed by comparing general patch and proposed 4x4 array antennas. Error Vector Magnitude (EVM) characteristics of the 64-QAM signal are verified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position with beamforming perform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