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사가 지각한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수준과 다면적 문제행동과의 관계 탐색

        조준오(Jo Junoh),나정(Na Jung)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6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0 No.2

        본 연구는 유아의 일상적인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치는 스트레스와 문제행동에 관심을 갖고, 유아의 일상적인 스트레스 수준과 다면적인 문제행동 및 문제행동의 각 하위 변인들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규명해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만 3, 4, 5세 유아 총 189명이며, 담임교사가 개별 유아를 대상으로 일상적 스트레스와 문제행동 검사를 면접을 통해 실시하였다. 일원변량분석(ANOVA)과 Scheffe 사후검증 및 다변인공변량분석(MANOVA)과 Bonferroni 사후검증을 통하여 분석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수준에 따라 유아의 다면적 문제행동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 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수준에 따라 유아의 다면적 문제행동의 하위변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는, 또래관계, 발달, 기본생활습관, 정서 문제행동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일상적 스트레스 수준이 높을수록 또래관계, 발달, 기본생활습관 및 정서 문제행동이 더 많이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도덕성 문제행동과 성 문제행동은 의미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유아의 문제행동 범주를 확장시켜서 일상적 스트레스가 기본생활습관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새롭게 제시 했다는 점, 문제행동의 예방과 개입 시 일상적 스트레스 수준을 먼저 확인할 필요가 있음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daily hassles and multifaceted problem behaviors in early childhood.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89 young children.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gaps among young children in the level of early childhood multifaceted problem behaviors according to the relative levels of their daily hassles. Second, the differences in terms of the levels of daily hassles and the impact these differences made to their peer relationship, development, emotion, basic living habit which comprise the four subfactors of the early childhood multifaceted problem behaviors inventory were checked after the mutual influence of the six subfactors was controlled. The young children who had a better level of daily hassles exhibi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ly better level of multifaceted problem behaviors in some subfactor.

      • KCI등재

        유아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요구

        조준오(Jo, Junoh) 박창현(Park, Changhyun) 홍광표(Hong, Kwangpy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3

        본 연구는 유아 소프트웨어 교육의 기틀을 마련하기 위한 첫 걸음으로 유아 교사의 유아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부산시, 울산시에 소재한 사립 유치원 28곳에 근무하고 있는 유아 교사 220명을 대상으로 2016년 7월 1주부터 2016년 7월 2주까지 약 2주에 걸쳐 유아 소프트웨어에 대한 교육 인식, 유아 소프트웨어에 대한 교육 요구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에서 먼저, 교육 인식과 관련하여 유아 교사들은 유아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해 들어 본 경우 높고, 교육의 필요성도 긍정적인 성향이 높게 나타났다. 유아 소프트웨어 교육이 필요한 이유는 ‘미래 사회에 필요한 기초 역량‘이 라는 의견이 가장 높았고 관련 교육이 필요 없다고 생각하는 이유는 ’유아들에게 어려울 것으로 걱정되었기 때문‘이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 소프트웨어 교육 요구에서 유아 소프트웨어 교육과 누리과정과의 연계 가능성에 대해 ’보통‘이 가장 높았으며, 누리과정 영역 중 ‘자연탐구’ 영역과 생활주제 중 ‘생활도구’가 연계 가능성이 높다고 인식하였다. 끝으로 유아 소프트웨어 교육 목표는 ‘컴퓨팅 사고력 바탕의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문제해결역량 함양’ 교육과정은 ‘생활 속 정보와 문제해결 방법’ 및 ‘올 바른 정보 생활(정보윤리)’, 교육방법은 ’놀이 중심의 활동‘, 교육평가는 ’협동력 및의사소통능력 평가‘, 적용 시기는 ’5세‘, 적용 시간은 평균 17시간 정도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향후 유아 소프트웨어 관련 교육을 위한 실제적이고 다양한 단서들을 현장에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waren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on early childhood software education and their needs for that in an effort to lay the foundation for early childhood software educat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As for awareness of software education,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had heard about early childhood software education(36.8%) outnumbered the others who hadn t(30.5%), and many took a positive view of the necessity of that education(48.8%). Regarding the reason for the necessity of early childhood software education, they responded that this education was required to foster a basic competency necessary for future society (48.6%), and the teachers who didn t consider that education necessary answered they feared it might be elusive for preschoolers(59.4%). They thought that the articulation between early childhood software education and the Nuri curriculum would neither be absolutely impossible nor absolutely possible(51.4%). And they thought the education would be more likely to be incorporated in the area of natural inquiry(49.5%) among the areas of the Nuri curriculum, and to be conducted under the theme of life tools(72.7%) among the themes of it. Finally, their opinions on early childhood software education were analyzed in terms of object, content, method and evaluation that were the curriculum development criteria. As a result, the object of that education should be to foster an efficient and successful problem-solving competency based on computational thinking faculty(29.1%). That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when living information and problem- solving methods(34.1%) and information ethics(34.1%) are covered. In terms of educational method, play-centered activities were regarded as the best educational method(69.4%). As to evaluation, cooperative skills and communicative competency should be evaluated(30.9%). Concerning the right time for this education, age 5 was looked upon as the best age (83.2%). In regard to the number of hours for this education, a mean of 17 hours was considered advisable.

      • KCI등재

        유아 컴퓨팅 사고력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조준오(Jo, Junoh)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7

        목적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컴퓨팅 사고력을 측정하는 신뢰롭고 타당한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하여 첫째, 문헌고찰 및 델파이 조사를 바탕으로 컴퓨팅 사고력 척도에서 추상화 47문항, 자동화 19문항, 총 66문항을 개발하였다. 둘째, 문항 양호도 분석에서 유아 89명을 대상으로 척도의 문항 변별도와 문항 난이도를 살펴보았다. 셋째, 본검사에서 유아 281명을 대상으로 검사양호도를 분석하였다. 본검사에서 구인타당도, 공인타당도, 그리고 신뢰도를 확인하였다. 결과 예비조사의 문항양호도 분석에서, 유아 89명을 대상으로 문항반응분포와 문항변별도를 살펴본 후, 총 추상화 29문항, 자동화 19문항, 총 45문항이 추출되었다. 본조사의 검사양호도 분석에서, 유아 281명을 대상으로 타당도와 신뢰도를 살펴본 후, 추상화 28문항, 자동차 16문항, 총 44문항이 완성되었다. 결론 본 컴퓨팅 사고력 척도는 유아를 객관적으로 측정하고 평가함으로 소프트웨어 연구를 견인하는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더불어 현재 실시되고 있는 컴퓨팅 사고력과 관련하여 유아 소프트웨어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증명함으로써, 유아의 컴퓨팅 사고력을 보다 깊이 이해하고, 소프트웨어 교육의 정책 방향을 결정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reliable and valid scale to measure children s computational thinking ability. Methods The procedure for this is as follows. First,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Delphi survey, 47 abstraction questions and 19 automation check questions were developed in the computational thinking ability scale, a total of 66 questions. Second, in the item quality analysis, item discrimination and item difficulty of the scale were examined for 89 children. Third, the test quality was analyzed for 281 children in the main test. In this test, construct validity, official validity, and reliability were confirmed. Results In the item quality analysis of the preliminary survey, after examining item response distribution and item discrimination for 89 young children, a total of 29 items of abstraction, 19 items of automation, and a total of 45 items were extracted. In the test quality analysis of this study, after examining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281 young children, a total of 44 questions were completed, including 28 abstraction questions and 16 automobile questions. Conclusions Through the above research results, this computational thinking ability scale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leading software research by objectively measuring and evaluating children. In addition, by proving the effectiveness of the early childhood software education program in relation to the current computing thinking ability, it is expected to be helpful in understanding children s computing thinking ability more deeply and determining the policy direction of software education.

      • KCI등재

        유아교육기관의 창의적 역량과 유치원 교사 역량, 유아 놀이성 간의 경로 분석

        조준오(Junoh J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7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기관의 창의적 역량, 유치원 교사 역량, 그리고 유아 놀이성 간의 경로관계를 알아본 후, 유치원 교사 역량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하여 B지역 유아교사 374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들에게 배부된 설문지를 390부였으며 최종 회수된 것은 380부였고, 그 중 불성실한 응답지를 제외하고 분석의 대상이 된 것은 5부였다. 회수된 자료는 SPSS 25.0와 AMOS. 25.0을 사용하여 빈도, 백분율, 경로분석, 매개효과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기관의 창의적 역량이 높아질수록 유아교사의 역량도 높아졌다. 둘째, 유아교사의 역량이 높아질수록 유아의 놀이성도 높아졌다. 셋째, 유아교육기관의 창의적 역량이 높아질수록 유아의 놀이성 역시 높아졌다. 넷째, 유아교육기관의 창의적 역량과 유아 놀이성 간의 관계에서 유아교사 역량은 부분매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교사의 역량을 향상시키고 다양한 형태로 창의적 역량을 키울 수 있는 환경 및 교육을 제공한다면 유아교육기관의 교육적 질을 높여 유아의 놀이성 발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ath relationship between the creative competenc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the kindergarten teacher s competency, and the child s playability, and then to check the mediating effect of the kindergarten teacher s competency. Method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B local early childhood teachers 374. Retrieved response sheets are SPSS 25.0 and AMOS. 25.0 was used for analysis. The analysis methods were descriptive statistics, path analysis, and mediation effect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analyzed through this method are as follows. First, the higher the creative competenc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the higher the competen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econd, the higher the competency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 the higher the children s playability. Third, the higher the creative competenc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the higher the playability of children.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the competen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reative competenc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nd the playability of children. Conclusions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should provide an environment and education to improve the competen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o cultivate creative competence in various forms. If so, the qualit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will be improved, which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children s playability.

      • KCI등재

        유아교사의 놀이성과 수업전문성 간의 관계에서 교수몰입의 매개효과

        조준오 ( Junoh Jo ),김소향 ( Sohyang Kim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6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놀이성과 수업 전문성 간의 관계에서 교수몰입의 매개효과 확인을 연구의 목적으로 삼았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연구대상은 P시에 소재한 유아교사 320명이다. 다음으로 연구대상에게 놀이성, 교수몰입, 수업전문성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수집된 자료는 jamovi 2.0.0 버전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한편, 교수몰입의 매개효과를 검정하기 위하여 jAMM(jamovi advanced mediation models) 1.0.5 버전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유아교사의 놀이성은 교수몰입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유아교사의 교수몰입은 수업전문성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유아교사의 교수몰입은 놀이성과 수업전문성 간의 관계에서 완전매개역할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mediating effect of teaching flow in the relationship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playfulness and teaching professionalism. The research method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study subjects were 320 early childhood teachers located in P city. Second,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subjects of the study on playfulness, teaching immersion, and class expertise. Third, the collected data is jamovi 2.0. Relation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version. Fourth, the mediation effect test was analyzed with jAMM (jamovi advanced mediation models) version 1.0.5. Results: The results revealed through the execution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layfulness of kindergarten teachers had an effect on teaching flow. Second, kindergarten teachers’ immersion in teaching had an effect on teaching professionalism. Third, the kindergarten teacher’s flow in teaching played a complete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layfulness and teaching professionalism.

      • KCI등재

        유아 스마트폰 중독과 문제행동 간의 관계에서 자기조절력의 매개 및 조절효과

        조준오(Jo, Junoh),홍광표(Hong, Kwangpy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0

        본 연구는 유아의 스마트폰 중독과 문제행동 간의 관계에서 자기조절력의 매개 및 조절효과가 어떠한가를 살펴보기 위한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이를 검증함으로써, 유아의 스마트폰 중독을 이해하고 그 매개변인인 자기조절력의 역할을 이해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부산시에 소재하고 있는 유치원에 재원중인 267명의 유아이다. 유아를 대상으로 스마트폰 중독, 유아 자기조절력, 유아 문제 행동 관련 자료를 수집하여 매개 및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유아의 스마트폰 중독과 문제행동 간의 관계에서 자기조절력은 부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아 스마트폰 중독과 문제행동 간의 관계에서 자기조절력의 조절 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 - control on children s addiction and problem behaviors. For this purpose, researchers set up and verified related research models. We tried to understand the infant s smartphone addiction through the verification result. And we tried to understand the role of mediating self - regulation. The researchers collected and analyzed data related to smartphone addiction, self - control, and infant behavior in 267 infants for the stud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self - regulation plays a partial role in the elationship between infant s smartphone middle and problem behavior. Second,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 - regulation has significant results

      • KCI등재

        텍스트마이닝과 데이터마이닝을 통한 유아 미디어 중독 예측 모형 개발

        조준오 ( Junoh Jo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텍스트마이닝과 데이터마이닝 분석을 통하여 유아 미디어 중독을 예측하는 주요 변인을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국내외 각 포털 사이트에서 자료를 수집한 후, 키워드 분석, 토픽모델링 분석, 감성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먼저 텍스트마이닝 분석을 통하여, 중독이 가장 많은 빈도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인터넷, 유아, 게임, 스마트폰, 교육, 예방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토픽모델링 분석을 통하여, 중요 토픽으로 중독유형, 중독원인, 중독대처, 장애, 신체증상 등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감성분석을 통하여, 긍정적 요인은 교육, 예방, 지원, 자기조절력이 나타났고, 부정적 요인으로 게임, 스마트폰, 폭력, 유해물 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유아의 미디어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이해하기 위한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하여 미디어 중독을 예방하고 중재할 수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major variables of predicting child’s media addiction through analyzing the text mining and the data mining. For this, the key-word analysis, the topic modeling analysis and the sentiment analysis were carried out after collecting materials from each portal site at home and abroad. As a result, first through text mining analysis, addiction was found to be the most frequent, followed by Internet, infants, games, smartphones, education, and prevention. Next, through topic modeling analysis, the major topics were addiction type, addiction cause, addiction countermeasure, disability, and physical symptoms. Finally, through sentiment analysis, positive factors were education, prevention, support, and self-regulation, and negative factors were games, smartphones, violence, and harmful substances. These findings have a significance in that offered basic data available for preventing and mediating the media addiction through providing specific information for understanding the primary factors influencing child’s media addiction.

      • KCI등재

        유아 미디어조절력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조준오(Junoh Jo) 인지발달중재학회 2022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13 No.4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를 대상으로 미디어조절력의 개념 및 구성요소를 도출하여 이를 바탕으로 미디어조절력을 측정할 수 있는 타당도와 신뢰도가 확보된 척도를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이를 위한 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고찰 및 1차 델파이 조사를 바탕으로 미디어조절력의 하위요인을 미디어 계획능력 12문항, 미디어 실행능력 14문항, 미디어 점검능력 11문항, 미디어 평가능력 11문항으로 총 48문항을 개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2차 델파이 조사를 통해 검사도구에 대한 적절성을 검토한 후 1문항을 삭제하고 총 47문항을 개발하였다. 둘째, 예비조사의 문항양호도 분석에서 유아 90명을 대상으로 문항반응분포와 문항변별도를 살펴보았다. 셋째, 본조사의 검사양호도 분석에서 유아 400명을 대상으로 구인타당도, 공인타당도, 그리고 신뢰도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이러한 과정을 통해 최종 개발된 미디어조절력 척도는 미디어 계획능력 7문항, 미디어 실행능력 5문항, 미디어 점검능력 7문항, 미디어 평가능력 11문항으로 총 30문항으로 구성하였다. 결론: 본 척도는 유아의 미디어조절력을 신뢰롭고 타당하게 측정할 수 있는 척도라고 볼 수 있으며, 앞으로 미디어조절력과 관련된 연구에서 유용한 도구로 활용될 것이다.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reliable and valid scale to measure media regulation for young children Methods: The research procedure and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based on a documentary consideration and prior test tool, the sub-factors of media addiction were developed with 48 questions, including media plan with 12 questions, media performance with 14 questions, media check with 11 questions, and media evaluation with 11 questions, according to the procedure of developing test questions. Based on this, after reviewing the adequacy of the inspection tool through the second expert consultation, one question was deleted, and 47 questions were developed. Second, the item response distribution and item discrimination were examined for 90 infants in the item quality analysis of the preliminary survey. Third, construct validity, official validity, and reliability were confirmed for the 400 infants in the test quality analysis of this study. Results: The media control ability scale was developed with a total of 30 items, including seven items on media planning ability, five items on media execution ability, seven items on media inspection area, and eleven items on media evaluation area. Conclusions: This scale can be regarded as a criterion that can measure young children’s media control ability reliably. Moreover, it can be beneficial for future studies related to media control ability.

      • KCI등재

        유아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지도성과 전문성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조준오 ( Jo Junoh ),홍광표 ( Hong Kwangpyo ) 한국아동교육학회 2023 아동교육 Vol.32 No.2

        본 연구는 유아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지도성과 전문성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목적의 실현을 위하여 B시에 소재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유아교사 36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가 이루어졌다. 해당 유아교사에게 원장 지도성, 원장 전문성, 그리고 조직효과성 측정도구에 응답하도록 설계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을 활용하여 기술통계분석과 상관분석을 실시하고 원장 지도성과 원장 전문성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은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원장 지도성과 원장 전문성은 조직효과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원장 지도성의 하위 변인 중 과업 성취, 원장 전문성의 하위 변인 중 비전 및 목표관리, 조직 및 인사관리, 교사전문성 등이 조직효과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향후 유아교육기관의 조직효과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원장 지도성과 원장 전문성의 관련 하위 변인들에 대한 충분한 고려가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purpose of confirming the effect of the director's leadership and expertise perceiv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o realize the purpose of the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320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in kindergartens located in P Metropolitan City. It was designed to respond to the director's leadership measurement tool, the director's professionalism measurement tool, and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measurement tool for the relevant early childhood teacher. The collected data were subjected to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using SPSS 26.0. Results of the study First, the director's leadership and the director's expertise had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ask achievement among the sub-variables of director leadership, vision and goal management, organization and personnel management, and teacher expertise among the sub-variables of director expertise had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in order to improve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fully consider the sub-variables related to the director's leadership and the director's expertise.

      • KCI등재

        누리과정 기반 유아 소프트웨어 교육과정 구성 방향 탐색

        조준오(Jo Junoh),홍광표(Hong Kwangpy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5

        본 연구는 누리과정에 기반 유아 소프트웨어 교육과정 개발의 시사점을 탐색하고 자 하였다. 연구 목적의 실현을 위하여 관련 문헌 및 운영 현황 등을 교육과정의 목적 및 목표, 내용, 교수ㆍ학습방법, 평가 등의 기준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교육과정의 목적은 유아가 소프트웨어에 대한 관심을 바탕으로 일상 속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컴퓨팅 사고력으로 해결하여 창의융합 인재가 되기 위한 기초를 형성하는 것이었다. 교육과정의 목표는 10가지로 이루어지며 내용은 누리과정의 생활 주제에 따라 소프트웨어 교육내용이 각각 대응토록 하였다. 특히 그 가운데서도 생활도구 영역이 유아 소프트웨어 교육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이에 따른 상세 내용을 구안할 수 있었다. 교수ㆍ학습방법은 이야기를 포함한 누리과정 활동 유형 11가지 각각에 소프트웨어 교육 방법이 연결되도록 하였다. 특히 누리과정 기반 유아 소프트웨어 교육에서는 유아 발달 단계를 고려하여 언플러그드가 중심이 된 놀이 활동, 알고리즘, 주제중심 통합, 피지컬 컴퓨팅 등이 통합적으로 구현되었다. 끝으로 평가는 학생들의 역량과 변화 과정 정도를 측정하되 컴퓨팅 사고력, 목표 및 내용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direction for developing software curriculum for preschoolers based on Nuri-curriculum. For this, this study analyzed related literatures, curriculums and current study of software education and Nuri-curriculum. Based on result, this study suggests direction for developing software curriculum for preschoolers based on Nuri-curriculum. First, it needs for four components what are the goal and aims, contents, method of teaching and learning, and evaluations to development the curriculum. The goal and aims are as follows. Based on the interest of software around living, infants form the basis of the convergence talent that systematically and logically solves everyday problems based on computing thinking. Ten goals are set for this. The contents of the curriculum are developed in five areas of the Nuri-curriculm, in particular, five areas of life topic and software education content in each area. Among them, contents of the curriculum can be constituted by considering that the tool of life tool is directly related to the software education.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can derive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11 activity types of Nuri course including the story and the software education contents. In particular, Unplugged-based play activities, algorithms, subject-centered integration, and physical computing are integrated in the Nuri-curriculum based infant software education. Finally, the evaluation of education should measure students’ competence and degree of change process, focusing on the goals and contents to be achieved in the curriculum focusing on computing think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