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인장시험체 맞대기 용접부의 피로강도

        조재병,Jo, Jae-Byung 한국방재학회 2004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4 No.4

        Fatigue tests were carried out for butt welded joints with SM520-TMC steel plate with thickness between 20mm and 80mm. The test results were analysed statistically and the effect of plate thickness on the fatigue strength investigated. The fatigue strengths based on nominal stress range satisfy the requirement of the standards. Due to misalignment of the specimens, the measured stresses are higher than the nominal stresses especially for 20mm thick plates. If fatigue strengths are evaluated based on the measured stresses, then the fatigue strengths are greater than those based on nominal stresses. The results show that the thickness effect is similar to the formula proposed by Gurney. 축방향 인장응력이 작용하는 두께 20-80mm의 SM520-TMC강 맞대기 용접부를 대상으로 피로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 결과를 통계 분석하여 두께의 변화 및 용접방법에 따른 피로 강도를 검토하였다. 공칭응력을 기준으로 한 피로강도는 국내외의 기존 기준을 만족한다. 두께가 작은 경우에는 시험체의 제작오차에 따른 휨응력이 상당히 큰 것으로 나타났다. 측정값을 기준으로 한 피로강도는 공칭응력을 기준으로 한 경우보다 두께가 작은 20mm 경우 크게 증가하였다. 피로강도의 감소는 Gurney의 제안식과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각형 강관의 축방향 압축강도에 관한 연구

        조재병,임정순,한충성,Jo, Jae Byung,Lim, Jeong Soon,Han, Choong Seong 한국강구조학회 1998 韓國鋼構造學會 論文集 Vol.10 No.2

        각형 강관(${\boxe}-75{\times}75{\times}3.2,\;{\boxe}-100{\times}100{\times}4.2,\;{\boxe}-125{\times}125{\times}6.0$) 기둥의 단면 치수와 초기 변형을 측정하였다. 인장시험, 단주 압축강도 실험, 그리고 세장비 $46{\sim}84$ 사이의 기둥에 대한 압축강도 실험을 수행하였다. 유한요소법에 의한 기둥의 압축 강도를 산출하였다. 단면의 공칭 치수에 대한 측정값의 오차는 무시할 정도이며, 초기변형은 각 단면별로 세장비 100에 해당하는 기둥길이에 대해 초과 확률 2.5% 값이 각각 1/490, 1/1121, 1/1395로 나타났다. 인장시험 결과 강재의 항복강도는 최소 규정 강도보다 30% 이상 높다. 기둥 실험 결과 얻은 각형 강관 기둥의 압축강도는 단주 압축강도를 강재의 항복강도로 간주하고 비교하면 유한요소 해석 결과나 AISC, Eurocode의 강도 곡선과 거의 같거나 약간 높은 값이나, 강재의 최소 규정강도를 기준으로 비교하면 실험 결과가 훨씬 높은 강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sectional dimensions and initial crookedness of the RHS(rectangular hollow section, ${\boxe}-75{\times}75{\times}3.2,\;{\boxe}-100{\times}100{\times}4.2,\;{\boxe}-125{\times}125{\times}6.0$) were measured. The axial compressive strength tests for columns with slenderness $46{\sim}84$ were performed as well as stub tests and tensile tests. FEM analysis was also used. The measurement shows that the errors of sectional dimensions are negligible. For the column length corresponding to ${\lambda}=100$, the initial crookedness with the 2.5% probability estimated from the measured results is 1/490, 1/1121 1/1395 for each section respectively. The yield strengths obtained from tensile test are higher than the specified minimum value by more than 30%. The column test shows that the maximum axial resistances are almost same as, or a little higher than the FEM results and the specified strength curves of AISC Specification and Eurocode, when the maximum strengths from the stub tests are used as the yield strength of the steel. But the test results show much higher column strength than those specified in the Standard and Code, when the specified minimum yield strength of the steel is used.

      • KCI등재

        플레이트거더 지하철교량 세로보의 피로 균열에 관한 연구

        조재병,Jo, Jae Byung 한국강구조학회 2004 韓國鋼構造學會 論文集 Vol.16 No.5

        거동이 복잡한 실제 구조물의 사용하중으로 인한 피로 균열 해석 방법을 제시하기 위해 구 당산철교 플레이트교 세로보에 발생한 피로균열을 대상으로 하여 사용 기간에 따른 피로균열의 길이를 계산하였다. 계산의 편리와 컴퓨터의 계산 용량 등을 고려하여 특정 부분만 정밀하게 해석하였고, 구조해석의 오차와 열차의 운행 하중 등을 고려하기 위해 여러 보정계수를 사용하였다. 상부구조 1개 경간을 보요소로 모델링하여 열차 통과로 인한 세로보의 거동 이력을 해석하였으며, 세로보 연결부의 플랜지가 절취된 곳에 집중된 응력을 구하기 위하여 세로보 한 개를 쉘요소로 모델링하여 정밀해석을 수행하였다. 피로균열의 진행은 파괴역학적 모델을 사용하여 계산하였으며, 응력확대계수는 유한요소해석 방법으로 J-Integral를 구하여 환산한 값을 사용하였다. 가정한 초기균열의 크기와 균열 진행속도 계산식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계산된 피로균열의 길이는 현장에서 조사된 피로균열길이에 잘 부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A fatigue crack found at the coped stringer of the old dismantled Dangsan Subway Bridge was numerically simulated. A model of a single span of the plate girder bridge with its beam elements was created and analyzed in order to obtain the nominal stress history caused by trains. A detailed FEM analysis of the coped stringer was conducted using a shell element model. A fracture mechanical model was used to estimate crack propagation. The stress intensity factors were calculated using the J-Integral method. The simulation with some reasonable assumptions showed that the calculated crack lengths were comparable to those found on the site.

      • KCI등재

        콘크리트에 매입된 강관 핀컵의 역학적 거동

        조재병,임석빈,Jo, Jae Byung,Im, Seok Bean 한국강구조학회 2004 韓國鋼構造學會 論文集 Vol.16 No.5

        To investigate the mechanical behavior of pin cups created from steel pipes embedded in concrete, test blocks were made and load tests were conducted. The pin was inserted in the pin cup at various depths and was loaded in a lateral direction at a constant displacement speed. A formula, which took into consideration the deformation and failure shapes of the pin cups, observed during and after the tests, was used to estimate its mechanical behavior. The test values were determined to be relevant to the formula and were distributed within a reasonably narrow range. The mean and the 95% survival probability value of maximum resistance were determined by factoring the formula at 1.01 and 0.92, respectively. 콘크리트에 강관을 매입하여 만든 핀컵의 역학적 거동을 파악하기 위해 재하 시험을 수행하였다. 핀컵에 핀을 각기 다른 깊이로 근입하고, 핀의 근입 방향에 직각인 방향으로 변위가 일정한 속도로 증가하도록 변위를 제어하면서 하중을 증가시켰다. 시험을 통해 관찰한 핀컵 강관과 핀컵 주변의 콘크리트 변형 및 파괴 형태를 바탕으로 계산모델을 구성하고, 핀컵의 역학적 거동을 예측할 수 있는 계산식을 유도하였다. 제안된 계산식과 시험결과는 서로 좋은 관련성을 보이며, 일정한 범위 내에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험값과 계산값을 비교한 결과 핀컵 최대 저항력의 평균과 생존확률 95% 값은 각각 계산식에 보정계수 1.01과 0.92를 곱한 값과 같은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모재의 두께와 용접치수에 따른 필릿용접부의 강도

        조재병,정경섭,이정우,Jo, Jae Byung,Jung, Kyoung Sup,Lee, Jeong Woo 한국강구조학회 2006 韓國鋼構造學會 論文集 Vol.18 No.3

        최근 고성능 대형 강구조물에 많이 적용되고 있는 TMC 강재에 대해 두께 20m, 60m, 82m의 후판을 6m~16mm의여러 용접치수로 필릿용접하여 겹이음부가 있는 시험체를 제작하고, 인장시험을 통하여 필릿용접부의 강도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필릿용접부의 강도는 모재의 두께, 용접 치수, 용접축에 대한 힘의 작용방향 등을 달리한 모든 경우에 설계기준에서 적용하고 있는 강도 계산식에 의한 공칭강도의 값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60mm와 82mm 두께의 모재에 대해 국내도 로교설계기준에서 요구하고 있는 최소 용접치수보다 더 작은 용접치수를 적용한 경우에도 시험체 제작과정에 용접의 어려움이나 용접부의 결함, 균열 등이 발견되지 않았으며, 용접부의 강도도 다른 경우와 거의 동일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Specimens with fillet-welded lap joints were fabricated from 20 mm, 60 mm, and 82 mm thick steel plates produced by Thermo Mechanical Control Process. The designed sizes of filet welds were betwen 6 mm and 16 m. The welds' axes were parallel with or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loading or a combination of them. Specimens were axialy loaded in tension and the strength of fillet-welded joints were measured. Test results showed that the strengths of filet-welded joints are higher than the nominal strengths calculated for all the cases tested, and also approximately on the same level regardless of plate thickness and fillet weld size. Especially, the specimens with weld size les than that required by Korean design rules showed no visible defects on welds and also no str ength redu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