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공동주택의 종이팩 재활용 단계별 진단 및 개선방안 마련 연구

        조은해 ( Eun-hae Cho ),김경 ( Kyung Kim ),이재호 ( Jae-ho Lee ),배재근 ( Chae-gun Phae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21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21 No.-

        종이팩 중 살균팩은 고급화장지 원료로써 재활용가치가 높고 재활용이 용이함에도 불구하고 분리배출에 대한 국민 인식 저하 및 폐지 수입 증가로 EPR 대상품목 중 재활용률이 가장 낮은 20%대로 전락하였다. 현재 재활용률을 제고하기 위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므로, 분리배출단계에서 재활용단계까지 전 과정을 조사 진단하여 문제점을 도출한 후 각 과정별 개선방안을 마련하고자하였다. 연구수행을 위해 우선 공동주택, 수거업체, 회수·선별업체를 대상으로 현장조사 및 설문조사를 수행하는 방식으로 문제점을 인식하고자 전국 17개지역 공동주택(n=41)을 현장조사를 통해 분리배출 및 혼합배출, 분양 및 임대, 요일제 및 상시수거로 분류하여 지역별 종이팩의 성상비율을 파악하였다. 이후 수거·보관방식, 회수품 판매단가 등의 항목을 (사)한국순환자원유통지원센터의 회원사를 대상으로 종합수거업체, 회수·선별업체, 지자체 선별장, 폐지업체를 선정하여 현장조사 및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전국 공동주택에서 배출되는 종이팩 성상비율(wt%)은 살균팩 62.8%, 멸균팩 29.7%로 조사되었고, 이는 2020년 출고량 대비 살균팩은 2.8% 낮고, 멸균팩은 4.7%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멸균팩의 사용량과 폐기물로써의 발생량이 증가 경향에 있으므로 별도 분리배출 및 재활용이 필요하며, 이를 위한 개선방안으로 첫째, 멸균팩 회수·재활용 체계 구축을 위한 멸균팩 분리배출 시범사업 및 수거보상제 확대, 둘째, 회수·선별단계에서 공공선별장 수거나 광학선별기 도입, 셋째, 수입 원단에 대한 경쟁력 확보를 위한 재활용지원금 지원, 넷째 수요처 확대 및 정부 의무구매를 통한 수요처를 유지할 것을 도출하였다. 다만, 본 연구는 조사대상 지역의 전체 종이팩 발생량 및 거주 인구당 원단위를 산출하지 못한 한계가 있으므로, 향후 상기와 관련된 연구가 추가적으로 진행될 경우, 종이팩의 자원순환체계 구축에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 KCI등재후보

        청소년기에 보행장애로 발현된 일차성 뇌석회화 1례

        이용희(Yonge Hee Lee),조은해(Eun Hae Cho),유수정(Su Jeong You) 대한소아신경학회 2016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24 No.2

        일차성 뇌 석회화는 특별한 원인 없이 뇌에 석회화가 진행하는 퇴행성 신경질환으로 상염색체 우성으로 유전되는 경우도 있으나 특별한 가족력 없이 발병하기도 하는 질환이다. 증상은 다양하지만 주로 운동장애, 인지장애가 나타나는 경우가 많으며 기분 장애, 언어 장애, 감각이상 등이 동반되기도 한다. 본 증례의 16세 남아는 특별한 주산기 병력 및 가족력이 없이 3년전부터 점차 악화되는 양상의 보행장애를 호소하여 내원하였다. 뇌 전산화단층촬영 및 자기공명영상에서 대뇌, 기저핵, 시상, 소뇌의 치상액 부위에 석회화가 확인되었으나 원인 질환에 대한 검사에서는 특이소견을 보이지 않아 본 저자들은 일차성 뇌 석회화를 진단하게 되었으며 동반되는 가장 흔한 유전자의 이상으로 SLC20A2 혹은 PDGFRB 가 알려져 있어 이에 대한 검사를 시행하였으나 유전자 변이를 발견하지는 못하였다. 환자는 현재 정형외과적 보조기 치료, 재활치료, L­도파 투약 등의 시도에도 증상은 악화되는 양상을 보이는 중으로 소아 및 청소년기에서는 거의 보고되지 않은 일차성 뇌 석회화를 진단하여 그에 대한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Primary brain calcification (PBC) is a neurodegenerative disorder characterized by idiopathic calcification of the basal ganglia that is rare in children and adolescents. This report describes a 16-year-old boy who complained of progressive walking difficulty and gait disturbance for 3 years. Physical examination showed positive reaction to ankle clonus and increased deep tendon reflex on both legs. There was no family history of metabolic disorder or neurologic diseases. Brain computed tomography (CT) and brain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revealed extensive calcifications in the bilateral cerebral white matter, basal ganglia, thalamus and dentate nucleus of the cerebellum. Laboratory and genetic studies showed nothing of note. This case report describes an unusual case of sporadic primary brain calcifi-cation, diagnosed in adolescence by the presence of gait difficulty and mild mental retardation and its review.

      • 엽채류의 유통단계 분석을 통한 부산물 발생량 추정에 관한 연구

        김영신 ( Yeong-shin Kim ),조은해 ( Eun-hae Cho ),배재근 ( Chae-gun Phae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20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20 No.-

        과채류의 부산물 및 폐기물은 발생원에 따라 혹은 유통경로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배출되는데, 수거 방법에 따라 결국 최종지에서는 가장 저급의 형태로 모이게 된다. 다량의 부산물이 균질하게 발생하는 채소류의 경우 재활용 가치가 크나 현재로서는 유통경로에 부산물량을 나타낸 자료가 없어 그 활용에 제약이 따르고 있다. 과채류 부산물은 농식품의 범주에서 감모 및 폐기 대상이며, 폐기물 법상 동ㆍ식물성 잔재물의 범주안에서는 잔재물이다. 과채류의 감모 및 폐기는 과채류의 생산, 유통, 가공, 소비과정의 여러 요인에 의해 발생되고 폐기 과정에서 경제적ㆍ사회적으로 다양한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구체적인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며, 파생되는 여러 가지 문제해결을 위해서는 감모 및 폐기 실태에 대한 면밀한 조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채소류 중 가장 많은 생산량을 차지하고 있는 엽채류(14품목)를 대상으로 생산에서부터 최종 소비자까지의 전체 과정을 유통경로 별 단계를 구분하고, 각 단계별 유통량을 파악하여 유통경로 단계별 부산물 량을 예측하였다. 각 단계별로 생산량 검색 및 확인, 유통 경로 별 물량 비중 확인, 유통경로에 따른 유통량 파악, 유통경로 별 부산물 원단위 파악, 부산물 량 산정, 최종 회수 가능한 부산물 량 파악의 순서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엽채류(14품목)는 2017년 기준 3,038,947 톤이 생산지에서부터 총 9단계를 거쳐 소비지까지 유통되었다. 산지유통인 단계로 82.5 %, 생산자단체로 14.0 % 거래되었으며, 저장량 9.0 % 이었다. 최종적으로 회수 가능한 부산물의 양은 509,379 톤/년으로 추정되었다. 이는 총 생산량 대비 16.76 %에 해당하는 양이다. 단계별로는 산지유통인 단계에서의 회수 가능량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김치 공장 등의 대량수요처에서의 회수 가능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초석으로 유통단계 별 통계자료가 정형화 되면 각 단계별 재활용 자원의 이용 및 관련 산업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3대의 ADVIA 2120 System 평행시험에 대한 연구

        장상우 ( Sang Wu Chang ),조은해 ( Eun Hae Cho ),김남용 ( Nam Yong Kim ),추경복 ( Kyung Bok Chu ),이숙정 ( Suk Jong Lee ),홍성노 ( Sung No Hong ),오종도 ( Jong Do Oh ) 대한임상검사과학회 2006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KJCLS) Vol.38 No.1

        Parallel testing means ordering a number of tests at the same time so abnormalities in any of the tests can be found quickly and used in making the diagnosis. This is a good medical strategy to eliminate diseases and it is relatively inexpensive if all the tests are potential sources of information and performed on the same analyzer. In regression, the equation for the straight line is recast as y = bx + a. This change in terminology leads to confusion. Here a is the y-intercept or constant and b is the coefficient or slope of the line. A few more words of caution about regression - as in all of statistics there are certain assumptions: the x value is a true measure, both X and Y distributions are normal, and homoscedasticity, i.e., the variance of y is the same for each value of x. In this study the linearity classification made by different scientists were always in agreement. Typical examples of curves that were considered linear are presented in Fig. 1-5. Because these automated procedures values were usually within five percent of each other the curvature could be easily detected. The plot of the WBC, RBC, hemoglobin, hematocrit and platelet concentrations from approximately 74.4 to 0×103/μL and 80.4-0×103/μL, 5.6-0×106/μL and 6.1-0×106/μL, 18.3-0 g/dL and 19.0-0 g/dL, 54.1-0% and 56.8-0% and 642.0 to 0.03×103μL and 754.0-0×103/μL on the ADVIA 2120 C Versus and A and B typical of an acceptable linear study as shown in Fig. 1-5. The grand mean of R2, intercept and slope is 0.99898, 0.99459 and 1.54626.

      • 무색페트병 별도 분리배출 운영성과 분석 - 시범사업 대상을 중심으로 -

        이재호 ( Jae-ho Lee ),조은해 ( Eun-hae Cho ),배재근 ( Chae-gun Phae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20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20 No.-

        현재 재활용가능자원(분리배출품목)은 4종 이상에서 분리배출 되고 있으나 이물질 및 잔재물로 인해 처리효율 하락, 재활용 품질 저하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무색 페트병은 가치가 높은 상급(장섬유)으로 재활용 될 수 있으나 페트병 재활용실적 중 약 30%가 이물질로 인해 중·저급으로 생산 되고 있었다. 따라서 환경부에서는 무색 페트병의 재활용품질 증대를 위해 기존 재활용 체계에서 무색 페트병만 별도로 분리배출하는 시범사업을 운영하였고, ‘20년도 2월부터 6월까지 배출·선별·재활용 각 단계별 운영성과를 검토하기 위해 시범사업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종말품 변화량, 무색 페트병 가격 변화량 등의 성과지표를 통해 시범사업 전·후를 비교하여 각 단계별 시범사업 운영성과를 도출하고, 전국 확대 시행 시 기대할 수 있는 경제적 편익과 시행착오를 최소화하기 위한 단계별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배출단계에서는 별도배출 참여율이 공동주택의 경우 66%수준으로 양호하였으나, 단독주택에서는 30%로 미미하였다. 선별단계에서는 별도배출된 무색 페트병 종말품 비율은 시범사업 전 34%에서 1%로 감소하였으며, 전국적으로 확대 시행 시 경제적으로 약 259억 원의 경제적 편익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나타났다. 재활용 단계에서는 페트병 재질의 한계 및 무색페트병 별도 재활용 공정 미비 등으로 인해 운영성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에 따라 배출단계에서는 단독주택을 위주로 별도배출 홍보 및 교육이 필요하며, 선별 및 재활용 단계에서는 무색 페트병 시장 확대, 무색 페트병 재질개선 등을 개선방안으로 제시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수영 하수처리장 방류수의 해중 방류법과 3차 처리시설 설치시 비용 비교 분석

        박해식,조은,박청길 한국환경과학회 1999 한국환경과학회지 Vol.8 No.1

        Sewage has been almost treated by secondary treatment process. Secondary-treated effluent of sewage treatment plant caused the pollution of nearby beach. Nitrogen(N) and Phosphorus(P) in effluent water have caused many problems on estuary, such as red tide, eutrophication and aquatic toxicity. Therefore, the effective nitrogen and phosphorus removal from sewage treatment plants is necessary to prevent those pollution problems. However, little sewage treatment plant in Korea is effectively being operated for the removal of the nutrients. This study is analyzed for the effectiveness of cost when tertiary treatment process and Ocean Outfall are applied for the water quality of Suyong Bay After secondary treatment process, the effluent was discharged from the seabed in the depth of 32m of 4000m offshore. Pollutant concentration is decreased as much as the 180 times after the result of initial dilution, so that environmental protection requirement of Suyong Bay can satisfied. This Ocean Outfall process can save the 2.6∼3.5 times as much as the cost of construction and operation for tertiary treatment process running over a 20 yea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