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CORBA 환경에서 역할 - 기반 접근제어 기법을 이용한 보안정책 관리

        조은정(Eunjung Cho),이금석(Keumsuk Lee) 한국정보과학회 1998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5 No.2Ⅲ

        분산 컴퓨팅 환경에서 응용 프로그램들은 다른 응용 프로그램들과 자원을 공유하고 통신하면서 보다 효율적으로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침입자들에 의한 자원 손실을 막고 정보 무결성을 유지하는 것은 중요한 문제가 된다. 따라서 분산 환경에서는 분산된 자원 사용에 대한 인증(Authentication) 및 인가(Authorization) 과정 등의 중요성이 증대되었다. 이질적인 시스템간의 분산 환경을 구축할 수 있는 미들웨어(Middleware)중 가장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COREA에서는 보안 서비스를 제공해 주기 위해 COSS(Common Object Service Specification)3에서 보안 서비스를 정의했다. 하지만 COSS3에서 정의한 객체 접근제어 기법만으로는 효율적인 보안정책 관리가 어렵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CORBA 보안 서비스 중 객체 접근제어를 위해 역할-기반 접근제어(RBAC: Role-Based Access Control) 기법을 이용한 효율적이고 융통성 있는 보안정책 관리에 대해 논한다.

      • KCI등재

        문화예술교육사의 지역화 과제와 역할 : 목포대학교의 「문화예술교육개론」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조은정(Eunjung CHO) 한국조형교육학회 2021 造形敎育 Vol.- No.77

        본고는 2014년 개정 문화예술교육사 2급 교육과정의 직무역량 교과목 중 하나로 편성되어 있는 「문화예술교육개론」의 운영 현황을 목포대학교의 사례를 통해서 분석한다. 「문화예술교육개론」은 개정 교육과정의 전체적 출발점으로서, 학습자가 문화 예술교육사의 정체성과 역할을 가늠할 수 있는 역량을 키워주기 위한 분야 간 통합 교과목이다. 목포대학교 재학생과 졸업 생, 교수자 인터뷰 내용과 교과목 운영 자료들은 개정 교육과정에서 이 교과목이 차지하고 있는 중요성을 명확하게 보여주고 있다. 지역사회에서 문화예술교육사가 수행해야 하는 역할, 해당 지역 문화예술 자원의 교육 콘텐츠 활용 필요성에 대한 공감, 세부 분야별 직무역량과 교수역량을 융합하는 토대로서의 문화예술교육 개념에 대한 이해 등이 선행될 때 주체적이고 능동적인 기획 역량이 발휘될 수 있다는 의견이 교수자와 학습자들 사이에서 제기되었다. 이러한 현장의 요구는 중앙 주도형 문화예술 교육정책에서 벗어나서 지역 문화예술교육 생태계를 활성화해야 한다는 최근 정책 방향 및 정부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의 지향점인 지역화 과제와도 연결된다. 문화예술교육사를 양성하는 지역 대학과 교육기관에서는 예비 예술가-교육자 들이 지역사회와의 관계 맺기를 통해서 향후 지역사회에 뿌리를 내리고 활동할 수 있도록 도와줄 필요가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operation status of the course Introduction to Arts and Culture Education, focusing on the case of Mokpo University. Introduction to Arts and Culture Education is the starting point of the 2014 Revised Curriculum for the Art & Culture Education Instructor (2nd Grade). Its purpose is to make the learners recognize social role of the Instructor, as well as to provide them the concept of consolidating various fields of art & culture education. The survey interview with the course participants of Mokpo University shows us that it is preferentially important for the learners to recognize the role of the Instructor in their community, and to understand the value of local cultural resources for educational context. Such opinions posed in the field accord with the current directions of community-led local development policy and government support projects. And it is the responsibility of local universities and institutions to train Art & Culture Education Instructor to teach the future instructors how to build a relationship with the community where they would take root and act.

      • KCI등재

        보육교사가 지각한 아동학대 인식과 수행 정도 및 신고의무자 실천의지에 관한 연구

        조은정 ( Eunjung Cho ),박은영 ( Eunyoung Park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2

        본 연구는 보육교사가 지각한 아동학대 인식과 수행 정도의 차이를 살펴보고, 신고의무자 실천의지에 따라 보육교사가 지각한 아동학대 인식과 수행 정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G 지역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담임교사로 전체 276명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보육교사가 지각한 아동학대 인식은 아동학대 수행 정도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학대 신고의무자 실천의지가 있는 보육교사가 없는 교사보다 아동학대 인식을 더 잘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셋째, 아동학대 신고의무자 실천의지가 있는 보육교사가 없는 교사보다 아동학대 수행 정도를 더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본 연구결과는 아동학대 예방을 위해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아동학대 신고의 무자 교육을 강화하여 교사의 실천의지를 함양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child abuse perceptions and performances perceived by childcare teachers, and to find out the degree of child abuse perceptions and performances perceived by childcare teachers according to mandatory reporter’s practical volition. The study was analysis on a questionnaire of 276 child care teachers in the G area.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perception of child abuse perceived by childcare teachers was higher than performances of child abuse. Second, childcare teachers with mandatory reporter’s practical volition on child abuse are more aware of child abuse perception than childcare teachers without mandatory reporter’s practical volition. Third, childcare teachers with mandatory reporter’s practical volition on child abuse perceived a higher degree of child abuse performances than childcare teachers without mandatory reporter’s practical vol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important to foster the will of teachers to practice by strengthening the education of child abuse reporters for child care teachers to prevent child abuse.

      • KCI등재

        한국근현대조각 연구사

        조은정(Cho Eunjung)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 2012 한국근현대미술사학 Vol.24 No.-

        Sculpture also became the target of criticism as a part of art in 1920s, when Kim, Bok-jin had returned to Korea from Japan after majoring in sculpture. Mentioning the artist and the existence of criticism became the hub of the study, unlike the prior positions of the masons or craftsmen in palaces, or the buddhistic artists who served the Buddhist rituals. The fact that rapidity on the progress of research could only arise when there are studies on coeval works or artists, was confirmed by the relations of the traditional engraver and Kim, Bok-jin, the sculptor. The fact that there are unknown artists in many artworks, such as mason and Buddha statues, demonstrates the differences of the modern period sculptors from calligraphic painters. Unlike painting, sculpture occupies the space and therefore it exposes the social character. The social character of sculpture has taken place as a tool of spotting the political and economical phenomena of the society, which engraver’s studies has been created as not only the artist’s, work’s argument, or mode but also further to the fundamental data and work about various social conditions. Studies regarding commemorative sculpture or statue are based on the deployment of these characters. However, eventually, the interest on the external conditions of a sculpture had limited the amplification of the researchers’ interest of the internal mode or the artist. In terms of describing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sculpture history, the absence of arguments between researchers about the works’ style or tendency, or the expansion of discussions, explains these circumstances. The studies of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sculpture history are not only small in quantity, but also still lack the discovery of fundamental data and the research on the artist’s lifetime and on the work itself. In this respect, sculpture has a lot of opportunity in allowing the creation of raisonne once the sculpture work is identified, unlike having the difficulties of reverting to the painting artists that were actively engaged in dealings. Also, inversely, this respect allows the possibility of studying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sculpture history with precise data. The object of studies in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sculpture history depends on continuous production and discovery. The various exhibitions and the writings that are published there are mostly professional theses. Nevertheless, as this study had only considered published writings, catalogs and statements, and master’s theses have been ruled out from consideration. In order to supplement the study later, the results of the major studies will be reflected in the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sculpture history statement.

      • KCI등재

        청자 海⽯榴華 문양을 통해 본 고려시대 官樣의 형성과 유행

        조은정(Cho, Eunjung)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24 美術史學 Vol.- No.48

        본고는 청자와의 해석류화 문양이 강진의 자기소 생산 청자에 관양을 적용한 왕실 진공품의 대표적인 사례라는 점에서 출발하였다. 또한 유사 용례를 비교 검토하고 문양의 사용범위와 확산 과정을 규명했다는 점에서 다른 문양 연구와 차별성을 갖는다. 그 결과, 문양 연구에 있어 회화, 석각, 도자기, 금속공예 등 여러 분야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과 고찰의 중요성을 제시할 수 있었다. 해석류화는 중국 당대에 신라와 왜에서 수입했던 동백을 의미하는 용어이고, 연화와 비슷한 식물학적 특성을 갖는 동백을 불교의 정토화생 개념에 대입시켜 창안해 낸 문양이다. 이러한 상징적 의미는 당대를 거쳐 송대 건축과 석각장식에서 충분히 확인할 수 있었다. 물론 중국 당송대 금속기와 도자기에도 해석류화가 간략화된 형태로 일부 시문되기는 하지만, 문양의 탄생과 발전이 주로 건축과 석각 장식에서 주로 이루어졌다. 그러므로 고려사회에 해석류화 문양이 유입된 경로 역시 건축과 석각이었다. 1085년 지광국사탑비가 대표적인 예이며, 아마도 고려 전반의 건축에도 반영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고려 11세기 후반 북송과의 교류를 통해 고려에 유입된 해석류화 문양은 12세기에 관양으로 정착되었다. 12세기 전반 왕사‧국사의 탑비, 12세기 중반 태평정, 양이정, 서루같은 왕실 이궁의 청자와, 만월대 출토 청자의 용례가 이를 뒷받침한다. 13세기에도 해석류화 문양을 관양으로 사용한 용례가 금속기와 사경에서 확인되었다. 뿐만 아니라 해석류화 문양의 시문 주체가 12세기 중반부터 관장에서 승장과 사장으로까지 확산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어서 관양이 상류층에게까지 유행했던 정황을 유추할 수 있었다. 고려에서의 해석류화 문양의 사용 범위는 건축, 석각을 비롯해 금속기, 도자기, 불화, 사경, 목조각에 이르기까지 문양의 발상지인 중국보다 훨씬 광범위하다. 따라서 해석류화는 문양의 원류와 상징적 의미, 명칭의 근거 자료, 관양으로서의 용례가 분명한 고려시대의 관양이자 시대양식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article is primarily a case study of the haeseongnyuhwa(海⽯榴華, exotic camellia flower), a representative example of a decorative motif made in accordance with gwanyang(官樣, royal standards of decoration), which was applied to tributary celadon roof tiles fired at jagiso(磁器所, semi-official porcelain kiln) sites in Gangjin. In contrast to previous scholarship, this article focuses on a comparative analysis of haeseongnyuhwa along with other similar examples, and charts the employment and propagation of such decorative motifs throughout the Goryeo dynasty. By accounting for diverse mediums such as painting, stone carving, ceramics and metal crafts, this study demonstrates the importance of taking a comprehensive approach to art historical research of Korean decoration and ornamentation. Haeseongnyuhwa refers to the camellia flower imported by Silla and Japan from the Tang dynasty of China. Exhibiting botanical characteristics similar to lotus flowers, the camellia came to embody the Buddhist concept of a miraculous Pure Land birth. The symbolism attached to the camellia flower during the Tang dynasty persevered in subsequent periods. During the Song dynasty, the camellia’s conversion from an intangible symbol to a visually flourishing decorative motif became manifest in architecture and stonework.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a simplified form of the motif also appears on the metal crafts and ceramics of the Tang and Song dynasties. However, the development of haeseongnyuhwa was focused primarily in architecture and stone- work, the two mediums through which the decorative motif was introduced to Goryeo society. One such example is the 1085 Stele of State Preceptor Jigwang at Beopcheonsa Temple Site in Wonju, which provides an idea of how haeseongnyuhwa may have been portrayed in the architecture of the early to mid Goryeo dynasty. Haeseongnyuhwa first came to Korea through the exchange between Goryeo and the Northern Song dynasty during the mid to late eleventh century. Soon after in the twelfth century, haeseongnyuhwa was established as a gwanyang decorative motif as evidenced by its appearance on both royal and state steles of the early twelfth century. The camellia motif was also used to decorate the celadon roof tiles of I’gung palaces such as the Taepyeongjeong and Yangijeong Pavilions as well as the celadon excavated from Manwoldae Palace during the mid-twelfth century. Examples of haeseongnyuhwa employed as a gwanyang motif are even found on metalware and in sagyeong(寫經, transcriptions of sutras) from the thirteenth century. Moreover, starting in the mid-twelfth century, the use of haeseongnyuhwa spread from the gwanjang(state-appointed artisans) to the seungjang(僧匠, monk artisans) and sajang (私匠, private artisans) craftsmen, showing that gwanyang had also become prevalent among the upper-class. In Goryeo, haeseongnyuhwa was used across a much wider range of mediums than in China, the home of motif. Appearing primarily in architecture and stonework, haeseongnyuhwa was also employed as a decorative motif in metal crafts, ceramics, Buddhist paintings, sagyeong, and woodwork. In conclusion, haeseongnyuhwa is a decorative motif of great significance as attested to by an analysis of its origin, symbolism, historical documentation, and the numerous extant examples available to us today. Therefore, it is undoubtedly one of the predominant gwanyang and thus defining aspects of decorative style in the Goryeo dynasty.

      • KCI등재

        미토스와 히스토리아: 기원전 5세기 아테네 사회에서의 시각적 역사 기술과 신화적 수용의 문제

        조은정(Cho, Eunjung)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21 美術史學 Vol.- No.42

        본 논문은 페르시아 전쟁 종전부터 펠로폰네소스 전쟁 발발에 이르는 기원전 5세기 아테네 사회에서 ‘히스토리아’와 ‘미토스’가 서로 어떻게 상호작용하면서 동시대 텍스트와 조형물들에서 기록되고 기념되었는지를 고찰한다. 특히 아테네 아고라와 아크로폴리스 공공 조형물들에서 등장하기 시작한 역사적 주제의 시각적 서술 방식과 신화적 수용 양상이 헤로도토스와 투키디데스의 저술에서 강조된 ‘히스토리아’ 개념과 어떻게 연결되는지 분석한다. 고대 그리스인들에게 히스토리아가 지닌 영향력은 자신이 직접 보거나 알고 있던 것들을 넘어서는 과거 일들에 대해서 증거와 정보를 모으는 문의 행위에서 나오는 것으로, 근거가 확인되지 않은 채로 전해져 내려오는 미토스와 구별되는 지점이다. 동시대의 사건들이 지닌 역사적 가치에 대한 자각은 페르시아 전쟁을 통해서 헬라스인들 사이의 ‘첫째가는 힘(ἀρχή)’으로 부상했던 아테네인들 사이에서 더욱 두드러진 움직임으로 나타났다. 수십 년 전의 역사적 사건들이 신화의 사건들과 어우러져서 복합적인 층위를 이루고 있는 아고라와 아크로폴리스의 공공 조형물들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기원전 5세기 히스토리아 개념의 전개 양상은 당시의 ‘아포덱시스(ἀπόδειξις)’ 방식과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다. 과거 구전되었던 미토스와 달리, 고전기 저자들의 역사 저술을 통해서 사실 여부에 대한 문의 행위와 교차 검증이 이루어지면서 훨씬 더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구속력을 지니게 되었다. 그러나 고전기 그리스인들에게 신화와 역사는 현대적 관점에서 인식되는 것처럼 엄격하게 구분되는 것은 아니었다. 〈독재자 살해자들〉 동상과 스토아 포이킬레 회화, 파르테논과 아테나 니케 신전 부조들은 기원전 5세기 아테네 사회에서 동시대 역사적 업적들이 공공기념물의 영역으로 침투하여 신화화되는 양상을 보여준다. This paper explores the phases of interactions between ‘historia(ἱστορία)’ and ‘mythos(μῦθος)’ in the 5th century B.C. Athenian society, focusing on the public monuments built in Athenian Agora and Acropolis from the end of the Persian War till the outbreak of the Peloponnesian War. The ways of visualizing and mythologizing of historical subjects in these monuments are closely connected with the concept of historia emphasized in the writings of two contemporary historians, Herodotos and Thucydides. Ancient Greeks considered that the power of historia derived from the act of inquiry, which made a person collect enough evidences and data to judge its reliability, surpassing his limitation of time and space. It also made historia divided from mythos, an unconfirmed story delivered from the unknown past. Athenians became keenly aware of the historical value of contemporary events after the Persian War, with their arche(ἀρχή) among the Hellenes. The public monuments of the Agora and the Acropolis show us the various layers of narrative, where recent historical events mingled with the traditional mythological themes. The development of the concept of historia during the 5<SUP>th</SUP> century B.C. were interrelated with the changing method of apodexis(ἀπόδειξις). Contrasted to the oral tradition of mythos, writing of the Classical authors provide the narrative of historia concrete and binding power. Yet we have to keep in mind that historia and mythos are not the equivalent of history and myths in the modern definition, and they often affected each other. The Tyrannicides statue, the battle scenes of the Stoa Poikile, the Parthenon, and the Temple of Athena Nike show us how the historial achievements of the 5<SUP>th</SUP> century B.C. became mythologized and monumentalized in the public domain.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조은정 ( Eunjung Cho ),신수경 ( Sukyung Shin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6

        본 연구는 교사효능감과 또래 및 교사와의 상호작용 관계를 촉진시킬 수 있는 변인에 관한 연구가 상대적으로 부족하기에 두 변인들 간의 관계에서 그릿이 어떠한 매개효과가 있는지를 본 연구를 통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G광역시에 소재한 유아교사 165명을 대상으로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 그릿에 관한 설문지 배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Pearson 적률상관분석과 매개회귀분석 방법을 통해 수합 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그릿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결과, 먼저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그릿, 교사-유아상호 간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은 교사-유아 상호작용과 그릿에 정적 영향을 교사의 그릿은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그릿은 교사효능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교사와 유아의 상호작용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교사효능감의 유지뿐 아니라 개인적 변인인 그릿을 증진시킬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gri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because there is relatively little research on the variables that can promote teacher efficacy and interactive relationships with peers and teachers. As a way to realize the purpose of the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165 early childhood teachers located in G metropolitan city, and distributed questionnaires on teacher efficacy, teacher-toddler interaction, and gri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the Pearson moment correlation analysis and each regression analysis method.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as a result of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er efficacy and grit on teacher-child interaction,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er efficacy and grit,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 Efficacy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eacher-child interaction and grit, and teacher grit had a positive effect on teacher-child interaction. Second, the teacher’s grit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efficacy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These results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show that it is necessary to not only maintain teacher efficacy but also to enhance grit, a personal variable of teacher, in order for teacher and child to interact smoothl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 KCI우수등재

        [서양미술사] 외연의 성장과 내면의 위기

        조은정(Cho, Eunjung) 역사학회 2015 역사학보 Vol.0 No.227

        The article reviews the current state of Western art history in Korea, focussing on the latest years from 2011 to 2014. When we survey the published results of these 4 years, we can find out that this relatively new discipline has grown quite rapidly even in comparison with the phase of the previous years. 310 articles were published in the field of Western art history excluding the theses and dissertations for degree. A lot more significant change rather than the quantitative growth has occurred in the aspect of specializations and concentrations. Although still limited in numbers, new scholars were supplemented in the minor fields like Ancient and Medieval periods, Northern European Renaissance and Baroque art. Also there are several attempts of interdisciplinary studies and expanding disciplinary boundaries, especially in the established major field of comtemporary art history. It is paradoxical, yet true to say, that such an external growth provoked internal crisis in the discipline. The Korean scholars in the field of Western art history are forced to trace various conflicting theories, methodologies, and perspectives which they absorbed from abroad simultaneously back to the historiographical contexts, and to rebuild their own concept of the disciplinary identity.

      • KCI등재

        베르기나 대 봉분과 마케도니아 왕조의 정치적 이데올로기

        조은정(Cho Eunjung)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08 美術史學 Vol.22 No.-

        베르기나는 마케도니아의 수도이자 왕가의 성소로서 고대 그리스 역사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특히 대 봉분의 왕가 무덤들은 필리포스와 알렉산드로스부자가 통치하던 기원전 4세기 후반 급속하게 변화했던 마케도니아의 국가적 위상과 지배 계층의 사고방식을 집약적으로 반영하는 조형물로서 마케도니아자체의 문화적 전통에 대한 긍지와 고전기 그리스 문화의 계승자로서의 자부심이 혼재된 양상을 드러내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대 봉분의 조형 양식적 특징과도상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알렉산드로스와 그 후계자들의 정치적 이데올로기와 선전 정책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알렉산드로스와 고대 마케도니아는 현재의 정치적 입지를 위해서 과거의 역사가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로서, 기원전 4세기 후반 알렉산드로스의 후계자들은 이처럼 마케도니아 왕가의 장례 조형물을 활용하여 자신들의 정통성을 대외적으로 입증하고 이를 토대로 초기 헬레니즘 제국의 패권을 차지하려 하였다. 베르기나 대 봉분 내의 왕조 무덤들은 궁륭형 매장실과 신전 건축 형태의 파사드로 이루어진 소위 마케도니아 형 무덤들로서 이러한 구조 자체가 전통적인 그리스 매장 풍습과 대비되는 과시적인 성향과 개인에 대한 숭배 의식을 반영한다. 더욱이 사자 사냥의 테마를 다룬 프리즈 벽화를 비롯하여 부장품에 나타난 도상과 명문들은 마케도니아 왕조가 헤라클레스를 시조로 하는 영웅적인형통임을 강조하는 동시에 매장된 인물의 마케도니아적 정체성을 과시하려는 의도를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증거들은 필리포스와 알렉산드로스 시대에 발행된 주화 도상들의 변화와 맥을 같이하는데, 마케도니아의 전통적인 도상들 대신에 제우스/ 아테나 등과 같이 보편적인 도상들과 함께 알렉산드로스 개인의 신격화된 초상이 주화에 도입되기 시작했던 것이다. 이는 기원전 4세기 후반에 와서 마케도니아가 고전기 그리스 시대까지 아테네가 누렸던 정치적 패권과 문화적 정통성을 이어받았음을 주장하는 일종의 선언이기도 하지만 또한 마케도니아의 문화적 전통이 약화되어 일반적인 ‘그리스’ 문화, 더 나아가서는 ‘헬레니즘’으로 불리는 보다 보편적인 성격의 문화권역으로 흡수되고 있음을 알리는 표지이기도 하다. 당시 필리포스와 알렉산드로스에 의해서 급속도로 성장했던 마케도니아는 알렉산드로스의 동방 원정 이후 새롭게 구축된 헬레니즘 사회 안에서 다시금 주변부로 밀려날 수밖에 없었으며, 마케도니아의 문화적 전통과 정체성은 퇴색되는 결과를 낳았다. The Great Tumulus in Vergina (ancient Aegae) is a monumental burial mound which was constructed by the Macedonian king Antigonos Gonatas around c. 270 BC. Underneath the tumulus there are four tombs which date back to the second half of the 4th century BC. The chronological gap between the inside tombs and the Great Tumulus shows that this massive artificial mound was constructed in order to conceal older state monuments at the time of great danger. The construction date of the tumulus was after the king Antigonos Gonatas was defeated by Pyrrhus, the King of Epirus in 274/3 BC and returned to Aegae, the old capital of Macedonia. Although the capital of the Macedonian kingdom was transferred to Pella at the beginning of 4th century BC, the Macedonians maintained the tradition of burying their kings at Aegae. And the royal tombs in Vergina were of great symbolic meaning to the successors of Alexander the Great during the political turmoil of the 3rd century BC. The significance of the royal tombs in Vergina remains among modern Greeks as well, especially since the Socialist Republic of Macedonia was founded in the Balkan Peninsula. The political background of the excavation of Vergina by Manolis Andronikos in the late 20th century and the on-going arguments of ancient Macedonian history nowadays reveal that Alexander the Great and the ancient Macedonian Dynasty are still crucial factors of the legality of the Greek Nation and the ‘Greekness’, just as they were in the early Hellenistic age after the death of Alexander. The ancient Macedonians drew elements from various contexts and combined into an original composition of architectural structure and painted decoration for their funerary monuments. Especially the themes and iconology of the painted Ionic frieze of a lion hunting scene and of other burial objects found at Tomb Ⅱ show the political culture and ideologies of the Macedonian dynasty during the second half of the 4th century BC, when the Macedonian kingdom was at its height. The royal tombs in Vergina and contemporary coinage are fine examples to show that Alexander and his successors in early Hellenistic period tried to blend general Greek icons into the traditional Macedonian standard, and by doing this, to build a new footing of an absolute monarch for the old society of inland Greece and the new society of Macedonian-occupied Mesopotamia altogeth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