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요트 VR 체험에서 데이터 기반의 인공풍이 정적 정서에 미치는 영향

        조예솔,이예원,임도전,류태동,John Claud Jonas,나대영,한다성 (사)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 2022 컴퓨터그래픽스학회논문지 Vol.28 No.3

        The sense of touch by natural wind is one of the most common feels that every person experiences in daily life. However, it has been rarely studied how natural wind can be reproduced in a VR environment and whether the multisensory contents equipped with artificial winds do improve human emotion or not. To address these issues, we first propose a wind reproduction VR system guided by video and wind capture data and also study the effect of the system on positive affect. We collected wind direction and speed data together with a 360-degree video on a yacht. These pieces of data were used to produce a multisensory VR environment by our wind reproduction VR system. 19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s, where the Korean version of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Schedule (K-PANAS) was introduced to measure their emotions. Through the K-PANAS, we found that ‘inspired’ and ‘active’ emotions increase significantly after experiencing the yacht VR contents with artificial wind. Our experimental results also show that another emotion, ‘interested’, is most notably affected depending on the presence of the wind. The presented system can be effectively used in various VR applications such as interactive media and experiential contents. 자연풍에 의한 감각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일상 생활에서 경험하는 가장 흔한 느낌 중 하나이다. 그러나 가상현실 환경에서자연풍이 어떻게 재현될 수 있는지, 인공풍이 결합된 다감각 콘텐츠가 인간의 정서를 개선하는지에 대한 연구는 거의수행되지 않았다. 이러한 문제를 다루기 위해, 본 연구는 녹화된 영상 및 바람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Wind Reproduction VR System 을 제안하고, 이 시스템이 사용자의 정적 정서에 주는 영향을 확인하는 연구를 진행한다. 실험을 위해요트상에서 360 도 영상과 함께 풍향 및 풍속 데이터를 수집했다. 수집한 데이터는 제안한 시스템을 통해 다감각 VR 환경을만드는데 사용되었다. 총 19 명의 대학생들이 실험에 참여했으며, K-PANAS(Korean version of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Schedule)를 통하여 참가자들의 정서 변화를 측정했다. 실험 결과, 인공풍이 추가된 요트 VR 콘텐츠 체험 이후 참가자의‘영감을 받다’, ‘활기차다’ 정서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뿐만 아니라, 바람의 유무에 따라 ‘흥미롭다’ 정서가 가장 큰영향을 받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제안한 시스템은 인터랙티브 미디어, 체험형 콘텐츠와 같은 다양한 VR 응용 프로그램에서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 BIM을 활용한 건설사업관리에 관한 연구 - CM Part를 중심으로 -

        조예솔(Cho, Ye Sol),김경순(Kim, Kyoung Soon) 대한건축학회 2021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4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irection in which construction projects following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should move forward. In particular, it discusses construction business management using the digital industry. cm is not limited to site management, but rather to management throughout the construction business cycle. It also analyzes examples of cm using BIM to explain and present how bim can be used in future construction project management.

      • KCI등재

        특허 고급화를 통한 생산성 증대 방안에 관한 연구

        김수민,유진만,조예솔,홍혜림 한국지식재산연구원 2023 지식재산연구 Vol.18 No.4

        현재 한국은 선진국과 신흥국 사이에 낀 넛크래커(nut-cracker) 상황에 직면해 있으며, 경제성장률 또한 완만한 하락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에 많은전문가들은 한국의 장기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기술, 지식 향상을 통한 생산성 증대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조언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하에 본 연구에서는 지식 향상과 기술혁신을 대리하는 변수인 특허의 고급화가 국가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 특허를 고급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산업융합을 제시하여 이들 간의 관계를 실증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특허 고급화는생산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으며, 1인당 PCT 특허 수보다특허 고급화가 생산성에 더 큰 영향을 미쳤다. 또한, 산업융합은 특허 고급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기술의 양적 성장보다 질적 성장이 이루어져야 생산성이 향상되며, 활발한 산업 간 융합을통해 기술의 질적 성장을 이뤄낸다면 현재 겪고 있는 저성장을 극복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se days, Korea faces the situation where it is between developed and emerging countries(which is called a nut-cracker phenomenon) along with gentle decrease in economic growth rate. Experts suggest that Korea should ameliorate its productivity through the enhancement of technology and knowledge, thereby achieving higher economic growth in the long run. This study investigates how sophistication of patent(which is a proxy for knowledge and technology innovation) affects productivity in Korea. The empirical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at sophistication of patent has a greater positive effect on the productivity, compared with the effects of the number of its patent on the productivity. This result of the analysis also indicates that industrial convergence is a positive driving force behind sophistication of patent. These results present the evidence of what qualitative growth is more significant in promoting its productivity than quantitative growth. Furthermore, the results suggest that qualitative growth via active convergence across industry sectors can play a pivotal role in getting through its low growth where Korea faces at present.

      • KCI등재

        Interactive Wind System을 이용한 VR 사이버 멀미 개선 연구

        임도전(Dojeon Lim),이예원(Yewon Lee),조예솔(Yesol Cho),류태동(Taedong Ryoo),한다성(Daseong Han) 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 2021 컴퓨터그래픽스학회논문지 Vol.27 No.3

        본 논문은 자동차 핸들과 가속 페달로부터의 온라인 사용자 입력에 따라 Virtual Reality (VR) 환경에서 인공적인 바람을 생성하는 상호작용형 윈드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사용자가 레이싱 자동차 VR 응용 콘텐츠에서 세 방향으로부터 불어오는 바람으로부터 촉감을 느끼도록 하기 위해 머리장착형 디스플레이(Head-Mounted Display: HMD)와 세 개의 선풍기로 구성된다. VR 멀미를 개선하는 것에 대한 바람의 효과성을 평가하기 위해, 본 논문은 멀미에 대한 가장 기본적인 척도 중의 하나인 SSQ (simulator sickness questionnaire)를 도입한다. 13명의 피험자들을 대상으로 바람이 있는 경우와 그 다음 그렇지 않은 경우 또는 그 역으로 레이싱 자동차 콘텐츠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는 인공적인 바람을 사용하는 경우 긍정적인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면서 명확하게 멀미를 개선하는 것을 보여주었다. This paper presents an interactive wind system that generates artificial winds in a virtual reality (VR) environment according to online user inputs from a steering wheel and an acceleration pedal. Our system is composed of a head-mounted display(HMD) and three electric fans to make the user sense touch from the winds blowing from three different directions in a racing car VR application.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winds for reducing VR cybersickness, we employ the simulator sickness questionnaire (SSQ), which is one of the most common measures for cybersickness. We conducted experiments on 13 subjects for the racing car contents first with the winds and then without them or vice versa. Our results showed that the VR contents with the artificial winds clearly reduce cybersickness while providing a positive user experi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