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적장애아동의 사회적 능력의 발달을 위한 연극놀이 집단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성에 관한 연구

        신동인(Dong-In Shin),조연호(Youn-Ho Cho)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1

        본 연구는 지적장애아동을 대상으로 한 연극놀이 집단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러한 프로그램을 직접 적용하여 이들의 사회적 능력에 미친 효과성을 입증하며, 궁극적으로는 지적장애아동을 위한 연극놀이 집단프로그램을 제언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연극놀이 집단프로그램은 구성주의의 이론과 원리와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해서 개발되었으며, 약 6개월간 24회의 연극놀이 집단프로그램을 시행한 후에 양적방법의 유사실험설계와 질적 방법의 제 3자 관찰 분석의 방법을 활용하여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본 연극놀이 집단프로그램을 실행한 실험집단(지적장애아동=4명)의 사회적 능력을 사전, 사후에 비교해 본 결과는 p=.015로써 p<.05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반면, 비교집단(지적장애아동=4명)의 사회적 능력을 비교해본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효과성은 사회적 능력의 하위영역인 교사가 선호하는 행동, 또래가 선호하는 행동에서도 나타났으나 학교적응력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질적 방법으로 사회성기술평가척도를 활용하여 첫 번째 회기와 마지막 회기에 관찰한 결과를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의 아동들 4명은 자기주장, 협력, 자아통제의 영역인 사회적 기술영역에서 긍정적 변화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하여, 지적장애아동을 위한 연극놀이 집단프로그램의 유용성과 실행방안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creative drama group program for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To develop this program, the study begins with and in depth examination of the prior creative drama models, techniques and constructivism theory. The style of this creative drama program for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is a 24 session structured program, a small group program. The techniques of this creative drama program are a orientation, warming-up, main performance, feedback and sharing.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4 mentally with mental retardation in creative drama group program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d social competence. Also,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children showed the positive social skill change through the creative drama group program.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for creative drama group program for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were suggested.

      • KCI등재

        논문 : 정신장애인을 위한 연극치료 집단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성에 관한 연구

        신동인 ( Dong In Shin ),조연호 ( Youn Ho Cho ) 한국연극교육학회 2010 연극교육연구 Vol.17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dramatherapy group program for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develop the dramatherapy group program for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the documentary literatures and previous studies were reviewed. The basic theory of this dramatherapy group program was the Robert Landy`s Role Model and mask techniques. Second, this dramatherapy group program was applied to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for 12 sessions. A total of 20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were recruited. This study were carried out in the context of a quasi-experimental study on the impact of drama therapy group program on the emotion management and emotion expression ability of the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The result of this analysis were as follow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which support the research hypothesi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great increase on the emotion management and emotion expression ability. According to the results, implications for research and practice were discussed.

      • KCI등재

        논문: 저소득층 초등학생을 위한 연극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성에 관한 연구

        신동인 ( Dong In Shin ),조연호 ( Youn Ho Cho ) 한국연극교육학회 2011 연극교육연구 Vol.19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drama education program for poor elementary students.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develop the drama education program for people with for poor elementary students, the documentary literatures and previous studies were reviewed. The basic theory of this drama education program was the Constructivism. Second, this drama education program was applied to poor elementary students for 15 sessions. A total of 30 people for poor elementary students were recruited and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N=15) which performed the drama education program and the control group(N=15) which did not performed the drama education program. This study were carried out in the context of a quasi- experimental study on the impact of drama education program on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poor elementary students. The result of this analysis were as follow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which support the research hypothesi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great increase on the emotional intelligence. According to the results, implications for research and practice were discussed.

      • KCI등재

        한국의 초등학생을 위한 연극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신동인(Dong-In Shin),조연호(Youn-Ho Cho) 한국콘텐츠학회 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1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을 위한 연극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전체적으로 통합하여 제시하고 보다 효과적인 연극교육 프로그램의 실행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국내의 연극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대한 연구들을 메타분석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3년 7월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석·박사 학위논문 및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을 대상으로 하였고 최종 19편의 연극교육의 효과를 검증하는 실험연구논문을 분석하였다. 메타분석을 위하여 메타분석의 통계프로그램인 CMA(Comprehensive Meta-Analysis) software 2.0을 사용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을 위한 연극교육 프로그램의 평균효과크기를 살펴보면, 표현력은 가장 강한 효과크기(1.103)를 나타냈고, 자아인식(1.011), 창의력(.858)의 순서대로 강한 효과크기를 나타내었다. 사회성은 보통 이상의 효과크기(.672)를 나타냈다 둘째, 연극교육 프로그램의 효과가 조절변수에 따라 어떻게 차이가 나는지 살펴보았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조절변수로 나타난 것은 표현력과 창의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총 시행횟수”이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생을 위한 연극교육 프로그램의 시행에 대한 함의와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drama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using method of meta-analysi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master`s theses, doctoral dissertations, and journal articles published in Korea up to July, 2013 were systematically reviewed. As a result, a total of 19 studies were eligible for the inclusion criteria. The mean effect sizes and test for homogeneity of effect size(Q-statistic) were analyzed by using Comprehensive Meta-Analysis software 2.0.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effect sizes for drama education program were ES=1.103 of self-expression, ES=1.011 of self-esteem, ES= .858 of creativity and ES= .672 of sociality . Second, by analysing the moderate variables of the effect size for drama education program, ‘session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Based on the study results, the research and practice implication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